데일리 음양 - 음양을 맞추면 하루가 잘 풀린다
김인곤 지음 / 시골생활(도솔)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음양이라 하면 기억나는 것이 있다. 대학 입학 수시모집 때 논술 시험 주제가 음양에 관한 것이었다.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처음에 태극기를 그리고 시작하라는 문제였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음양(陰陽)'이란 말을 들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한번 쯤 관심가져 보았을 것이다. 물리에서든 철학에서든 서로 반대되는 두 가지 기운을 가리켜 음과 양이라 한다. 심지어 남녀의 성에 관련된 것까지 음양으로 이른다. 

음양을 맞추면 하루가 잘 풀린다는 부제 때문에 책에 관심을 가졌다. 옛 선조들이 살아가던 방식을 학문으로 남겨준 것이 음양학이라니 시간을 내어 배운다 해도 해가 될 것은 없지 않겠는가. 차례를 아침, 출근, 일터, 점심, 오후, 저녁, 밤으로 나눈 것도 그렇고 음양 식사법이나 몸 건강 챙기기가 특히 눈에 띄었다.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이야기를  지루하지 않게 술술 읽히도록 해서 독자들이 오래 간직할 수 있는 한 권의 음양학 강의서가 되지 않을까.

아침마다 시끄러운 소리에 벌떡 일어나는 습관은 꽤 오래되었다. 눕고 엎드린 상태에서 몸을 조금씩 풀어준 다음에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다고 몇 번씩 들었거늘 실천하기는 얼마나 힘든지. 기운으로 본 나의 음양에서 내 사주팔자에 천간과 지지를 결합시켜 간지로 표시한 뒤 알아보는 여러가지를 정확히 살피지 못하여 아쉬웠다. 기운을 보태주는 풍수 인테리어 원칙은 하나하나 읽어나가며 우리집과 비교해 보았다. 초간편 사주풀이를 보면서는 고등학교 때 몇몇 선생님들께서 지루한 수업 시간에 재미로 친구들의 사주나 관상 풀이를 해주시던 게 생각났다. 이마나 입꼬리를 확인하시며 미래의 남편 직업이나 가족과의 관계 등을 말씀해주셨다.

책에 나온대로 우천산풍의 식대로 생활한다면 물론 음양학에 따라 하루 뿐 아니라 인생이 잘 풀리겠지만 얼마만큼의 제약이 따르기도 하고 모든 것을 실천하기는 사실 어려울 것이다. 조금씩 바꿔나가면서 새로운 설계를 해보는 것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