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 보고 단순히 아프리카 여행기로 생각했다. 서른한 살의 영화 마케터인 저자는 아프리카에 서른 가지를 버리고 한 가지를 가지고 왔단다. 영화 마케터와 아프리카 여행, 뭔가 색다른 느낌이었다. 책을 처음 잡았을 때 드넓은 평원의 해질녘 모습이 담긴 우표가 붙여진, 얼룩말 그림의 엽서를 받은 것만 같았다. 서른한 살이 내게는 멀게만 느껴진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대학생이 되고 사회인이 되는 몇 년 후의 내 모습이 아득하게 여겨졌지만 세월의 흐름은 겁없이 빠르다. 그렇다면 서른하나까지 남은 5년이란 시간 또한 길지는 않을 것이다. 앞으로의 내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30대에 버려야 할 서른 가지를 눈여겨보았다. 목차를 보면서 '이건 정말 버려야 해. 하지만 저것도 버려야 한다고?' 혼자 묻고 대답했다. 나태나 선입견, 짜증, 열등의식, 절망, 상실감 등 마땅히 버려야 할 것들을 확인하며 속이 다 시원했다. 하지만 예감이나 기대는 좋은 쪽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순수나 외로움도 가끔은 필요하지 않을까. 저자는 꿈과 도전으로 행복한 30년을 살았지만 서른 해를 넘어가며 시작된 인생 고민으로 아프리카 행을 택한다. 그리고 삶의 변화를 맞이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제1도시 케이프타운에서 시작하여 요하네스 공항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마치는 저자의 여행기는 한달이라는 길고도 짧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프리카 여행이야기와 영화 마케터로 살면서의 이야기를 잘 혼합하여 들려주고 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여행이야기를 풀어쓴 다음에 버려야 할 서른 가지를 찾아냈는지 아니면 서른 가지를 골라낸 후에 여행이야기를 접목(接木)했는지이다. 글쓰기에 관심이 있은 후로 책을 쓰는 사람들의 집필 관련한 문제에까지 호기심이 유발된다. 가보지도 들어보지도 못한 아프리카 이야기를 즐겁게 읽을 수 있었고, 내게는 생소한 직업인 영화 마케터의 솔직한 이야기를 엿들을 수 있어서 신기하면서도 재미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