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진 - 황제내경과 서양의학이 만났다
팽청화 지음, 이상룡.김종석 옮김 / 청홍(지상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두께와 인체 면부 반영도가 디자인 된 표지에서 위엄이 느껴진다. 지금까지 살면서 병원에 간 적이 거의 없지만 몇 번 갔던 것도 대부분 감기나 예방접종 때문이었다. 고1때 국어 보충수업 시간에 오른쪽 아랫배가 살살 아팠다. 쿡쿡 찌르는 게 나아지질 않고 맹장이 위치한 자리라 슬슬 겁이 났다. 옆에 있던 친구는 맹장염 수술 경험까지 이야기하니 안절부절못했다. 결국 조퇴하고 동네 병원에 갔다. 누운 자세에서 의사 선생님께서 배를 누르시는데 아무렇지도 않으니 귀신이 곡할 노릇이었다. 도대체 왜 아팠던 것일까. 학교 다닐 적에는 아무 이유 없이 배가 아팠던 적이 많다. 병원에서 자세히 검진해본 적도 없거니와 병원 가는 것 자체가 겁이 난다. 고3 올라가기 전에는 장염이었는지 보약지어 먹을 겸해서 한약방에 갔었다. 한의사 선생님께서 진맥을 짚고 약을 지어 주셨다. 진맥만으로 진단한다는 게 무척 신기했다. 

생활하면서 신체에 변화가 생기거나 병의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책 한 권으로 조기진단은 물론이고 중간중간에 나오는 팁 또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말 그대로 가정의학 백과사전이다. 머리카락부터 발바닥까지 목차만 해도 여덟 장이다. 두꺼운 책을 처음부터 읽어나간다면 금새 지루해질 것이다. 목차를 보고 필요한 부분부터 골라 보는 쪽이 좋겠다. 

얼굴의 형태에 따른 사람의 특징은 재미있었고, 얼굴형과 걸리기 쉬운 질환의 소개는 걱정스러웠다. 특수한 얼굴의 종류가 엄청나다는 사실에 놀랐다. 눈이나 귀, 코, 입술, 혀뿐만 아니라 손톱과 피부 등 몸의 어느 한 부분도 빠지지 않았고, 심지어 체내의 분비물까지 나와 있어서 병을 진단하는 데 무척 유용한 책이 틀림없다. 제목이 병상(病狀)을 진단한다는 뜻의 망진(望診)이긴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증상에 따른 치료법이 간략하게라도 소개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