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힘 (프레더릭 레이턴 에디션) - 최상의 리듬을 찾는 내 안의 새로운 변화 그림의 힘 시리즈 1
김선현 지음 / 세계사 / 2022년 6월
평점 :
품절



앞표지에 그림만 들어간 책은 처음인 것 같다. 책 제목인 '그림의 힘'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프레더릭 레이턴의 <타오르는 6월>을 표지로 사용했다고 한다. 책장을 덮은 채 가까이만 두어도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니 힐링책이다.

미술치료계 최고 권위자이자 트라우마 전문가인 김선현 저자는 미술치료 현장에서 가장 효과 있었던 세기의 명화들을 누구나 쉽고 즐겁게 감상하도록 <그림의 힘>에 담았다. 삶에서 가장 스트레스 받고 가장 향상시키고 싶은 다섯 가지 영역(일, 관계, 돈, 시간, 나)으로 나누어 각각 15~16점의 그림을 보여 준다. 그림에 대해 이야기하고, 어떤 힘을 주는지 알려 준다. 책을 통해 미술치료를 받을 수 있으니 위로가 필요한 이들에게 따뜻한 선물이 될 것이다.




책에서 소개하는 첫 그림은 고흐의 <밤의 카페 테라스>다. 고흐의 여러 작품을 좋아하여 프랑스 여행에서 들렀던 아를. <밤의 카페 테라스>의 장소를 방문했을 때, 그림처럼 반짝이는 별과 사람들이 없어서 그랬는지 큰 떨림은 없었다. 하지만 명화 속 장소에 서있는 것만으로 들뜬 기분이었다. 이 그림은 마음이 피곤한 사람들에게 좋다고 하니 과연 처음 소개될 만하다.

칸딘스키의 <동심원들과 정사각형들>을 이야기하며, 투우 경기의 빨간 천을 언급한다. 소는 색맹인데도 불구하고 굳이 빨간 천을 쓰는 이유는 소가 아닌 관객을 흥분시키기 위함이다. 빨간색은 사람을 업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우울증 치료제를 일부러 빨간색으로 만들기도 한다.




집중력을 위한 최상의 분위기를 보여준 조르주 드 라 투르의 <작은 등불 앞의 막달라 마리아>. 어두운 공간에서 촛불에 집중하고 있는 여성의 손 아래 놓여진 해골머리에 눈길이 갔는데, 그에 대한 설명은 없어서 궁금하다. 

 

불 같은 성질에 비타협적이었던 고흐가 자화상이 아닌 초상화를 남겼다. <우체부 조제프 룰랭의 초상>의 주인공은 고흐가 아를에서 유일하게 우정을 나눈 친구였다니 애잔한 마음이 들었다. 




이중섭의 <해와 아이들>을 이야기하며, 사교적인 활동을 할 때 주황색을 활용하면 좋다고 한다. 선생님이 아이들을 처음 만날 때, 주황색 액세서리를 하면 친근함을 느낄 수 있다니 유용한 팁이다. 

 

뭉크 하면 <절규>가 유명한데, 책에서는 뭉크의 작품 중 편안한 색상이 가장 많이 쓰인 <태양>을 이야기한다. 내면의 화를 조절하고 미움의 악순환을 멈추는 데 보탬이 되니 미워하는 사람이 있을 때 보라고 한다. 

 

책의 양쪽에 걸쳐 보여지는 커다란 그림은 책 사이 접히는 부분 때문에 제대로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어서 아쉽다. 예컨대 청량감과 사랑의 설렘을 일깨워주는 로렌스 알마 타데마의 <더 묻지 마세요>나 산드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이 그렇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집에서 보여주던 명화카드가 있다. 책에 나오는 그림과 9점이 겹치는데, 그 중 두 작품이 <세네치오>와 <이카루스>다. 파울 클레의 <세네치오>는 따뜻한 난색이 다양하게 활용되어 어린아이들의 정서에 매우 좋고, 앙리 마티스의 <이카루스>는 에너지와 역동감을 주기 때문에 자신감이 떨어질 때 보면 좋다고 한다. 

 

<그림의 힘>을 읽으면서 눈에 익은 그림도 있고, 처음 보는 그림도 있었다. 한 작품에 대해 (2~3쪽 정도로) 길지 않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300쪽이 넘는 두꺼운 책인데도 쉽게 읽을 수 있었다. 말이 어렵지 않아서 술술 읽힌다.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미술치료가 궁금한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그림의힘, #김선현, #자기계발, #프레더릭레이턴에디션, #미술치료, #세계사출판사, #책추천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