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아카데미 - 행복한 연애로 향하는 10개의 계단
홀거 쉴라게터.파트릭 한츠 지음, 송소민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의 자줏빛 하트가 매혹적이고, L-o-v-e란 철자가 괜히 쑥스럽다. 각 학기별로 나뉘어진 편집 구성은 깔끔해서 읽는 동안 지루하지 않았다. 러브 아카데미의 따뜻한 강의실에 앉아 교재 한 권을 앞에 두고 강의를 듣는 느낌이었다. 본격적으로 사랑학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 전에 내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진짜 내 꿈은 무엇인지.

현실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서도 내 삶의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다.

내 자신을 성찰하고나서야 비로소 '관계'를 이룰 수 있지 않을까. 

연인이라는 사이를 떠나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는 것을 좋아한다.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를 좋아하게 되고 꾸준히 연락하고 싶은 사이가 되는 것. 서로 다른 사람들을 만나 여러 세상을 접해보는 것. 난 그런 것을 좋아한다. 마지막으로 사랑에 대해 생각해보고 가슴 두근거림을 느낀 것이 언제인지 기억하지 못한다.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단단히 묶여서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다. 책을 읽으면서 몇 년 전 행복했던 때를 떠올리게 되었다. 당시에는 나와 상대방 이외의 것에 눈 돌릴 새도 없이 마냥 즐겁고 행복했다. 현재로서는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느껴본 사랑이었으며, 여러 가지의 사랑을 접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제7 학기- 연인관계의 30가지 유형을 확인했을 때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각 유형에 대한 예시며 '한계'와 '기회' 정리는 한 편의 보고서를 보는 듯했다. 또한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걸림돌은 주변의 많은 커플들이 왜 다투고 헤어지는지, 연인(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 어느 나라든 연인의 모습은 대부분 비슷한 모양이다.

사랑에 관한 이론적인 부분을 이렇게 자세히 배울 줄이야. 그 누구도 일부러 시간 내어 가르쳐주지 않을 강의를 몇 시간만에 들은 셈이다. 이로써 앞으로 사랑을 할 때에 조금더 조심스럽고 조금더 치밀해질 수 있지 않을까. 러브 박사님과 두 분의 강사님께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