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한다면 우리도 이들처럼
김하인 지음 / 이른아침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국화꽃 향기, 일곱송이 수선화, 소녀처럼, 목련꽃 그늘...'

 예전에 읽은 김하인의 소설은 하나같이 순수함을 지녔고 은은한 향기를 내뿜었다.

 아무리 읽어도 질리지 않으면서 애틋함이 느껴지는 그런 사랑이야기였다.

<사랑한다면 우리도 이들처럼>은 소설이 아니다.

 작가가 직접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아는 사람들에게 들은 이야기이다.

 우리 주변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이기에 더욱 애절함이 느껴지고

 아프게 다가오고 결국 아름다움을 남긴다.

 

 나에게 전화를 걸어주고, 내 손을 따스하게 잡아주고,

 나를 포근하게 안아주고, 토닥여주고, 편지를 쓰고,

 그리고 나를 생각하며 턱을 괴어줬을 손.

 사랑하는 사람의 손을 씻겨주기.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색이 다른 두 자루의 양초를 준비하기.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돌아와서 기쁘고 즐거우면 이쪽 양초에,

 화나고 실망했다면 저쪽 양초에 불을 붙인다.

 1년 후, 저쪽 양초가 훨씬 길다면 두 사람은 진정으로 사랑하는 게 틀림없다.

 결국 두 자루의 양초를 통해 서로 사랑 훈련을 하는 것이다.

 

 가장 견디기 힘든 때 어른 키만한 커다란 봉지 튀밥을 안겨주며

 다 먹을 때까지만 만나자고 하는 남자.

 커다란 튀밥을 먹기까지 3년이란 긴 시간이 걸린 여자.

 무능력하고 별 볼일 없던 남자는 3년의 기간 동안 크게 성공해서 나타나고.

 여자는 집안의 강요를 버텨내느라 인내심과 함께 그에 대한 사랑의 힘을 발휘한다.

 원태연 시인이 주인공인 '튀밥 한 봉지에 담긴' 사랑이야기가 제일 기억에 남는다. 

 

 사랑한다면 기다릴 줄 알고,

 사랑하는 사람이 간절히 원한다면 인정해주기.

 사랑하는 사람에게만은 기꺼이 져주기.

 그리고 존댓말 쓰기.

 간단한 듯하지만 행동으로 옮기기엔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랑을 지켜내기에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 것같다.

 사랑한다면 우리도 이들처럼 . . .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행복은

                                        우리가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다.

                                                    _ 빅토르 위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