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돌바람 > 다시 왼손가락으로 쓰는 편지 -고정희
다시 왼손가락으로 쓰는 편지
고정희
그대를 만나고 돌아오다가
안양쯤에 와서 내가 꼭 울게 됩니다
아직 지워지지 않은 그대 모습을
몇번이고 천천히 음미하노라면
작별하는 뒷모습 그대 어깨쭉지에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독자적인 외로움과 추위가 선명하게
그려지기 때문입니다
그대 독자적인 외로움과 추위가
안양쯤에 와서
더운 내 가슴에 하염없는
설화로 흔들리기 때문입니다
그대 독자적인 외로움과 추위를 마주하며
집으로 돌아오는 나는 처절합니다
되돌아가기엔 나는 너무 멀리 와 버렸고
앞으로 나가기엔 나는 너무 많은 것을
그대 땅에 뿌려 놓았습니다
막막궁산 같은 저 어둠 어디쯤서
내 뿌린 씨앗들이 꽃피게 될런지요
간담이 서늘한 저 외롬 어디쯤서
부드러운 봄바람 나부끼게 될런지요
기우는 달님이 집 앞까지 따라와
안심하라, 안심하라, 쓰다듬는 밤
열쇠를 끄르며 나는 웃고 맙니다
눈물로 녹지 않을 설화는 없다!
불로 녹지 않을 추위는 없다!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0) 수록
>> 시인은 <노을풍경>에서 "그 한번의 따뜻한 감촉/단 한번의 묵묵한 이별이/몇 번의 겨울을 버티게 했습니다"라고 고백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벽이 허물어지"면 "그 한번의 그윽한 기쁨/단 한번의 이슥한 진실이/내 일생을 버티게 할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시인은 사랑을 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오늘 빼어든 시집 속의 그녀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벽이 허물어지던 때의, 각자의 독자적인 외로움을 눈물 한 방울로, 그래 한 방울의 눈물로 녹여낼 수도 있었으나, 녹이지는 않았다. 다만 웃고 만다. 눈물로 녹지 않을 설화는 없으므로. 불로 녹지 않을 추위는 없으므로, 아름다운 사람의 뒷모습을 더듬는 것으로 자신을 놓아준다. 그리고 다시 왼손가락으로 편지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