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별 여행자
류시화 지음 / 김영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도 가보고 싶은 곳을 꼽으라면 어김없이 다섯손가락에 안에 꼽히는 곳이 인도의 갠지스강이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냥 막연한 동경이다. 명상가들이 수두룩하게 모여 갠지스강의 아침해를 맞이하는 장면을 떠올리더라도 그 이면에 존재하는 불결함, 반쯤 타다만 시체가 떠다니는 물에서 몸을 씻고 그 물로 밥을 짓는 장면에서 성스러움과 순결함을 떠올린다는 것은 아무래도 쉽지 않다. 세상이 어떠한가보다 우리가 그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중요하다는 명제를 대입시키려하여도 쉽지 않은 일이다. 

여행가 한비야씨는 인도를 '못생긴 어머니의 나라'라고 말하고 있다. 인도에 있는 동안 맞이하게 되는 온갖 부조리,구걸,도둑질,사기,게으름,나태,가난... 현대 사회에서 죄악으로 치부시되는 온갖 부조리에 치를 떨며 인도를 떠날 때쯤 뒤통수를 맞은 듯한 느낌과 함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어찌할수 없는 모성과도 같은 힘이 존재하는 나라가 인도라는 것이다. 인간이 성장하는 배경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사회의 부조리가 그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면 그녀의 말 또한 수긍이 간다.

그러나 류시화 시인이 바라본 인도는 또 다른 의미이다. 타인의 모습에 자신을 비추어 스스로의 모습을 발견해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가 바라보는 인도는 인도인들의 삶 그 자체인 것이다. 우리의 눈에 비춰지는 온갖 부조리가 그들에게는 신이 부여한 삶의 한 형태일 뿐인 것이다. 인도인들이 말하는 깨달음이란 인간 존재 개개에 존재하는 신을 바라보는 일이다. 그들의 부조리한 삶 자체가 의미가 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들은 가면을 쓰고 다가오는 현실너머의 자신을 바라볼수 있는 눈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현재의 삶은 신이 부여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 어쩌면 인도에서 부조리란 말은 우리가 만들어낸 스스로를 구속하는 감옥과도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고통은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의 눈에 상처투성이인 그들이 ' 아 유 해피?'로 인사하고 ' 노 프라블럼'을 외치고 '다음'이란 단어는 존재하지 않고 오직 현실의 세상속에서도 자신이 행복하다고 말할수 있는 이유일 것이다.

삶이 힘들고 외로울때 인도로 떠날 일이다. 그들의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여도 좋고 우리가 생각한 고통이 한낱 부질없는 망상이라고 결론내려도 좋다. 인도의 뜨거운 사막에 머리를 내려쪼일 일이다. 불에 닿으면 형체가 드러나는 오렌지 과즙으로 쓴 글씨처럼 나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그곳에서 벌거벗은 나와 대면할 일이다. 어차피 삶은 그곳에도 오롯이 존재할 것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대 2004-10-02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도에서 주어진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체념'과는 다른 의미이겠지요. '순응'이라는 표현이 어울리겠네요. 언뜻 비슷한 듯한 둘 사이의 차이를 저는 아직 온전히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리뷰 잘 봤습니다^^

설박사 2004-10-02 2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도한번 가보고 싶네요. ^^

미네르바 2004-10-02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같은 시기에 같은 책을 읽었네요. 인도 꼭 가보고 싶은 나라지요. 그 곳에 가면 삶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sweetmagic 2004-10-03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도... 이번 여름에 갈까했는데 이러저러한 구질한 사정이 생겨서 못 갔습니다. 꼭 한번 가보고 싶은 나라입니다. 저 역시.... 그나 저나 리뷰 참 담백하게 잘 쓰시네요 ^^
추천입니다.

잉크냄새 2004-10-03 09: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올 여름에 인도 여행을 계획했다가 구질구질한 사정으로 가지 못했답니다. 언젠가는 꼭 한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 나라입니다.
체념과 순응. 저도 알듯 모를듯 쉽지 않은 개념인것 같습니다. 그냥 단어적인 어감으로 무어라 말할수 없는 부분인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