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황소개구리가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등장하여 대단한 이슈가 되었던 적이 있다. 뱀의 입장에서도 얼마나 가슴 뜨끔한 일이겠느냐며 농을 주고받던 기억이 난다. 어느 작은 저수지의 생태계의 파괴를 이슈를 삼으면서도 정작 인간이 파괴하고 있는 생태계에는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다. 자연안의 인간이 살수 있는 것이지 인간안의 자연이란 존재할수도 없다.

흔히들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보는 견해도 없지 않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숭배의 대상에 대한 모험 정신의 도전인 것이지 지금처럼 자연파괴를 포장하기 위한 단어가 아니다. 

땅의 울음에 귀 기울이고, 파도의 부서짐에 눈을 돌려라. 아직 세상에는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다. 그래서 아직 살아볼만한거다.

그래, 봄비 한 방울이 쌀 한톨인거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 2004-03-30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그림을 보니 주역수업이 생각나는군요. 음양오행, 건곤감리 어쩌구 저쩌구 복잡한 내용도 많았지만 결국 '자연에 순응해서 살자'라는 생각만이 남더군요.

비로그인 2004-03-30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부터인가 '개척','개발'이라는 이름 뒤에 숨겨져 있는 '야만'과 '오만'을 발견하게 되었지요...'자연에의 순응'..그것만큼 지혜롭고 섭리를 거스르지 않는 삶은 없을 겁니다.
근데 봄가뭄인 것 같죠, 요새?

잉크냄새 2004-03-30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배워고 깨달아야 할것은 자연에 대한 겸손과 겸허한 자세가 아닌가 싶네요.
갑자기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가 떠오르네요.

waho 2004-04-29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림 한장이 주는 의미가 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