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이양贵阳에서 탄 야간 버스가 8시간을 달려 꾸이린桂林에 도착한 것은 새벽녘이었다. 꾸이린은 '桂林山水甲天下꾸이린산수이쨔텐샤(꾸이린의 풍경이 천하 제일이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국에서도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카르스트 지형의 영향으로 둥글둥글하고 나지막한 산들이 작은 어깨를 맞대어 있는 모습이 정겹다. 개인적으로 중국하면 떠오르는 가장 중국다운 풍경으로 여기는데 아마도 무협지의 영향이 아닐까 싶다. 그런 꾸이린의 풍경중에서도 더욱 아름다운 곳으로 버스로 시간 반을 더 달려 도착하는 양수오阳朔라는 지역이 손꼽힌다. 대나무 땟목을 타고 강을 내려오며 천천히 바라보는 풍경은 압권이다. 리강漓江을 따라 땟목을 타거나 강변을 산보하는 것은 한 폭의 수묵화 속을 유영하는 느낌이었다.

<둥글둥글하고 나지막하게 어깨를 맞댄 산들이 이어진다. 수묵화처럼 여백이 느껴진다>


저녁 나절 강가에서 늙은 뱃사공을 만났다. 대나무 땟목을 타고 천천히 강을 거슬러 올라오던 그는 마침 해 지는 강가에 앉아 있던 나에게 다가왔다. 양수오의 풍경에 대하여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가 가마우지 낚시를 보여주겠노라고 제안했다. 해 저문 이후라 잠시 망설이다 좁다란 땟목에 올라탔다. 다시 강을 거슬러 힘겹게 한참을 지나 강변에 위치한 어느 배 옆에 멈추었다. 그 배 위에는 나무집이 올려져 있었고 그 곳에서 가족이 생활하고 있는 듯 했다. 저녁 식사 중이었는지 숟가락을 입에 문 아이가 창문을 통해 밖을 바라보고 있었고 그 뒤로 백열등의 붉은 기운이 창문을 통해 번져 나오고 있었다. 석양이 마지막 긴 꼬리를 감춰버린 어두운 강가에 창문에서 작게 번지던 불그스름한 기운이 묘하게 따뜻하게 느껴졌다. 그 옆으로 타고 온 땟목과 유사한 형태의 땟목이 두 대 가량 메여 있었고 주위에 가마우지 몇 마리가 자유롭게 노닐고 있었다.


식사를 마치기를 기다려 선상가족의 뱃사공과 강으로 다시 나갔다. 낚시용 땟목은 강을 거슬러 온 땟목에 비해 좀 더 넓었고 후미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있었다. 가운데에는 물고기를 담을 커다란 둥근 통이 놓여져 있었고 그 중간에 뱃사공이 서서 삿대를 저었다. 선수에는 집어등 역할을 하는 백열등이 'ㄱ'자 형태로 높다란 장대에 매달려 밝게 빛나고 있었고 그 집열등 아래에 목욕탕 의자를 펼치고 내가 앉아 있었다. 그러니까 아귀의 주둥이에 해당하는 자리에 앉아 있는 셈이었다. 둥근 대나무가 이어진 위에 의자를 펼쳐야 해서 수평을 잡기가 쉽지 않아 낚시하는 내내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대여섯 마리의 가마우지들은 땟목 곳곳에 자리를 잡고 꽥꽥거리고 있었고 낚시 지점에 도착해서야 사공의 삿대에 떠밀려 물로 잠수하였다.

<당시에는 손떨림 방지 기능이 없는 카메라여서 다 흔들렸다>


보통 가마우지가 물고기를 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마우지의 목에 줄을 묶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줄이 묶여져 있지 않았다. 원래 그러한 것인지, 이 지역만의 특성인지, 아니면 이 사공만의 배려인지 확실히 알 수는 없었다. 다만 줄이 묶여져 있지 않으니 물고기의 크기에 따라 가마우지들의 행동 양식이 바뀌었는데 그 모습이 참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먼저 작은 물고기를 잡았을 때 가마우지들은 배로 다가오지 않는다. 물 위로 떠올라 그 자리에서 가볍게 울대를 움직여 꿀꺽 삼켜버린다. 맛을 음미하는지 잠시 물 위에 둥둥 떠서 노닐다 노동을 재촉하는 뱃사공의 삿대가 다가오고 나서야 다시 물로 자맥질해 들어간다. 뱃사공 또한 작은 물고기에 신경쓰지 않는 모습이었다.


큰 물고기를 잡았을 때는 주변이 온통 떠들썩해진다. 입 안 가득 담고도 모자라 몸통의 절반 정도가 입 밖으로 나와 버둥거리는 물고기를 물고 표면으로 튀어 나온다. 월척을 알리는 신호인지 다른 때에 비해 유독 시끄럽게 꽥꽥 소리를 내는데 그 순간 주변에 잠수 중이던 다른 놈들까지 몰려와 합창으로 떠들어 댄다. 개선 장군의 후광 효과를 노리는 것인지, 상금 쟁탈전을 치르려는 것인지, 주인공을 중심으로 몰려드는데 별다른 소요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전자일 가능성이 커 보였다. 배 위로 올라온 주인공은 쥴리메 컵을 들어 올리던 펠레처럼 의기양양하게 잠시 두리번거리다 커다란 통에 물고기를 뱉어내고 잠시 숨을 고르는데 월척에 대한 보상인지 사공도 잠시의 휴식 시간을 허락한다. 주변에 몰려들었던 추종자들도 배에 오르려다 삿대에 쫓기어 다시 자맥질 하는데 그걸 바라보는 월척 사냥꾼의 눈빛이 거만하다. 그도 잠시 후 삿대에 떠밀려 다시 자맥질한다. 

<월척을 잡은 애들만이 잠시의 휴식시간이 허락된다. 노동은 가혹하다>


어중간한 크기의 물고기를 잡았을 때는 야밤의 살풍경한 추격전이 벌어진다. 보통 가마우지는 땟목의 집어등을 기준으로 주변을 돌며 자맥질을 하는데 넘어갈 듯 말 듯한 물고기를 문 가마우지는 순간 땟목으로부터 달아난다. 그 순간을 포착하기 어렵지 않은 것은 눈치 없는 주변의 추종자들도 그 뒤를 무리 지어 따르기 때문이다. 사공이 후미의 모터를 켜는 것이 이 순간이다. 한 손으로 모터를 조정하고 한 손으로 삿대를 들어 올려 도망자 가마우지가 숨을 쉬러 나오는 포인트를 사전에 명확히 선점한다. 강물은 맑고 집어등이 밝아 한 밤에도 물 속을 유영하는 가마우지의 날쌘 몸놀림이 선명하게 보이는데 이리 저리 방향을 트는 가마우지보다 쫓아가는 사공의 실력이 한 수 위다. 물 위로 나오는 지점에 삿대가 먼저 자리 잡아 숨 쉴 틈을 주지 않는다. 몇 차례 타이밍을 놏쳐 버린 가마우지는 잠시 후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긴 탄식을 쏟아내며 배로 다가온다. 나무통에 물고기를 뱉어내고 애처로이 사공을 바라보는 가마우지에게 이번에는 괘씸죄가 적용되어 휴식 시간의 보장도 없이 삿대에 떠밀러 다시 물 속으로 자맥질한다. 


자맥질에 지친 가마우지와 돌아오는 길, 땟목에 올라타 숨을 고르는 그들을 바라보다 문득 욕망은 인간이나 가마우지나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감당할 수 있는 욕망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가늠하기 힘든 욕망이 다가올 때이다. 욕망은 절대 불가능한 모습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목울대를 넘어갈 듯 부드럽고 젠틀하게, 손만 뻗치고 조금만 노력하면 잡힐 듯 가깝고 친밀하게, 하지만 그건 허상이고 미끼다. 욕망은 허상을 삼키며 그 크기를 키운다. 미늘에 꿰여 끌러갈 때에야 비로소 욕망은 아프고 허탈하다. 삼킬 수 없이 커져버린 욕망 앞에서는 오히려 가마우지가 현명하다. 인간은 이룰 수 없는 욕망 앞에서 좌절하지만 가마우지는 포기할 줄 아는 현명함을 가졌다. 하루의 노동을 마치고 땟목 위에 엎드린 그들을 보니 놀고 먹는 놈이 뭘 보냐며 다시 꽥꽥거린다. 

<낚시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멀리 양수오 시내가 보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10-22 01: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손떨방이 없느 카메라라고 하시니 오래전에 찍으신 사진이신가 보네요.그나저나 댜큐에세 본 가마우지 낚시는 다시 봐도 신기하긴 한데 너무 동물학대인 것 같아서 보기 안쓰럽네요.

잉크냄새 2025-10-22 18:27   좋아요 0 | URL
네, 십 년 조금 넘었네요. 특히 야밤에 흔들리는 작은 배 위라 더 심했던 것 같아요.

가마우지가 가축의 범주에 속할진 않겠지만 수 만년 동안 인간에게 길들여진 가축의 운명이 서글프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뚜렷한 방향이 보이는 것도 아니고,,,생명으로 존중되어야 한다는 말 밖에...

2025-10-26 0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10-26 09: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10-26 0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10-26 09: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25-10-30 11: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멋진 수묵화네요. ˝저녁 식사 중이었는지 숟가락을 입에 문 아이가 창문을 통해 밖을 바라보고 있었고 그 뒤로 백열등의 붉은 기운이 창문을 통해 번져 나오고 있었다. 석양이 마지막 긴 꼬리를 감춰버린 어두운 강가에 창문에서 작게 번지던 불그스름한 기운이 묘하게 따뜻하게 느껴졌다.˝ 멋진 문장입니다.

잉크냄새 2025-10-30 19:34   좋아요 0 | URL
네, 여행을 하다 보면 오래도록 잊히지 않는 모습들이 있어요. 이 모습도 여행지의 멋진 풍경 못지 않게 기억 속에 남아있던 따뜻한 풍경입니다.
양수오의 풍경은 좀 더 높은 곳에서 멀리 바라보면 진짜 멋진 수묵화의 한 장면처럼 붓이 이리저리 지나간 느낌이 들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