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론의 세미라미스 공중 정원(Hanging Garden)

<낚시뜰>이라고도 한다. BC 600년 무렵 신바발로니아왕조 네부카드네자르 2세 때 만들어진 정원으로, 전설에 의하면 산악국가 출신인 왕비를 즐겁게 해주기 위해 단(壇)모양으로 만들었으며,위에서 물을 흘려 내려보냈다고 한다

"당신이 나를 가지시려거든 저 사막에 꽃들이 만발하게 해 주세요."

서아시아 바빌론의 성벽(城壁)에 있었다는 기이한 정원. 조경사가(造景史家)들은 각종 문헌에 근거를 두어 현재 텔 아므란 이븐 알리(Tel-Amran-ibn-Ali), 즉, <추장(酋長)알리의 언덕>이라고 부르고 있는 곳을 그 유구(遺構)로 보고 있다. 고대의 바빌론은 내외 이중의 성벽(城壁)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으며 이 언덕은 내성(內城)속에 위치한다.

특히 세계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의 하나로 손꼽힌 이 정원은 후년(後年) 이곳을 찾은 그리스 사가(史家)가 남긴 기록과 현재도 아무란(Amuran)의 언덕에 흩어져 있는 가공석(加工石)을 대조해 볼 때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한다. 각종 기록을 더듬어 보면 그것이 피라미드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기단(其壇)의 한 모서리의 길이가 100m를 넘었고, 높이 15m의 토대(土臺)를 쌓았으며 그 위에 층상(層狀)의 건조물(建造物)을 세우고, 제일 위의 노단(露壇)은 넓이 60㎡, 높이 105m로 30층 건물 높이와 같았다고 한다. 각 단(壇)마다 거름흙을 운반해서 화단과 수림을 만들어 놓고, 유프라테스강에서 퍼 올린 물을 탱크에 모았다가 관수했다고 한다.

이 피라미드와 같은 노단의 외곽은 공랑(控廊)의 형태를 가졌고 그 내부에는 크고 작은 많은 방과 동굴촵욕실 등이 있었으며, 벽체(壁體)는 벽돌에 아스팔트를 발라 굳혀서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단부분을 둘러싼 평지에는 흙을 쌓아 올려 크고 작은 나무를 심어 놓았으며 이러한 노단이 마치 숲에 덮힌 작은 언덕과 같아 보인다. 그것이 바빌론의 평야 중앙부에 마치 하늘에 걸쳐 있듯이 높이 솟아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중정원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이 정원은 일명 현수원(懸垂園)촵수하원(垂下園)이라고도 부른다. 이라크정부는 이 정원을 오늘날 다시 복원할 것을 추진중에 있으며, BC 4세기까지 약 1500년 동안 번창했던 바빌론은 오늘날의 바그다드 남쪽 약 95㎞ 지점인 유프라테스강변에 해당된다.

얼핏보면 삭막한 이 공중정원에는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전설처럼 내려온다.
BC 600년경 신(新)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성경에도 나오는 느브갓셀 2세, 느부갓네살 2세라고도 표기함)가 왕비 아미티스를 위하여 수도인 바빌론에 건설한 것이라는 것이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바빌론의 왕이 되자 메디아 왕국의 키약사레스 왕의 딸 아미티스를 왕비로 맞았다. 산이 많아 과일과 꽃이 풍성한 메디아에서 자란 왕비는 평탄하고 비가 잘 오지 않는 바빌론에 마음을 두지 못한 채 항상 아름다운 고향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하였다. 이 모습을 보고 안타깝게 여긴 왕은 왕비를 위하여 메디아에 있는 어떤 정원보다도 아름다운 정원을 바빌론에 만들기로 결심했다.
왕의 명령을 받은 재주가 뛰어난 건축가, 기술자, 미장이들은 곧장 작업에 들어가 왕궁의 광장 중앙에 가로·세로 각각 400m, 높이 15m의 토대를 세우고 그 위에 계단식 건물을 세웠다. 맨 위층의 평면 면적은 60㎡에 불과했지만 총 높이가 105m로 오늘날의 30층 빌딩 정도의 높이었다.
한 층이 만들어지면 그 위에 수천톤의 기름진 흙을 옮겨 놓고 넓은 발코니에 잘 다듬은 화단을 꾸며 꽃이랑 덩굴초랑 과일 나무를 많이 심도록 한 이 파라미드형의 정원은 마치 아름다운 녹색의 깔개를 걸어놓은 듯이 보였다.
그런데 비가 거의 오지 않는 이 곳에서 이렇게 큰 정원에 물을 대는 것은 여간 큰 문제가 아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왕은 정원의 맨 위에 커다란 물탱크를 만들어 유프라테스 강의 물을 펌프로 길어 올리고 그 물을 펌프로 각 층에 대어줌으로써 화단에 적당한 습기를 유지토록 하였으며 또한 그때그때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정원의 아랫부분에는 항상 서늘함을 유지하는 방을 많이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창 너머로 바라보는 꽃과 나무의 모습은 어떤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다고 한다. 또한 방에 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방 위에는 갈대나 역청을 펴고 그 위에 납으로 만든 두꺼운 판을 놓았다.

공중 정원에 대한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지만 바빌로니아 왕국의 수도 바빌론의 페허는 오늘날까지도 그 모습이 남아있다(위 사진)
그리고 왕비를 위해 공중정원을 만든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사랑 역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