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닝 만켈 지음, 권혁준 옮김 / 좋은책만들기 / 2004년 7월
여름이면, 습관적으로 추리소설을 읽는 사람. 있겠지? 그러니까 출판사도 꼭 여름에 때를 맞춰 새 작품을 출시하곤 하지. 쿠르트 발란더. 그는 이년 전 친구가 된 이래, 지금까지도 변함없이 좋은 친구로 남아있다. 헤닝 만켈의 소설을 읽을수록 나는 어떤 익숙함, 친숙함을 발견하게 된다.
현대사회 및 현대인의 인간관계와 닮은꼴을 하고 있는 그의 소설은, 발란더와 그의 친구들이 있어서 그나마 정서적으로 안정된다. 스트로베리의 죽음을 시시때때로 애도하는 발란더를 보면서, 나 역시 그를 기억하고 회상한다. 이해하기 힘든 타입이라던 발란더의 아버지, 경찰 안내실의 에바, 수단으로 떠나버린 오케손 검사. 이제 막 새삶을 시작하려는 스텐. 그들은 발란더의 사람들이지만, 오히려 내 친구라고 할 정도로 심리적 거리는 가깝다.
한 편의 소설이 이렇게 정겹고, 친근한 느낌을 계속해서 가질 수 있다는 것만으로 헤닝 만켈에게 경의를 표한다. 그는 현대사회를 너무 잘 알고 있어서 무한히 삭막해질 수도 있었는데, 결코 삭막함-허망함-쓸쓸함에 머물지 않는다. 헤닝 만켈의 새 작품은, 우리에게 '전율과 충격'을 주는 한편, '편안함'도 안겨주기 때문이다.
독서를 하면서, 이미 알고 있는 누군가를 다시 한번 만난다는 건 너무나 특별하다. 어린시절 읽었던 동화나 소설이 지금까지도 가슴 깊이 남아있는 것도 우리가 그 인물들을 창조했다고 믿기 때문이 아닐까? 물론 작가가 모든 상황과 인물을 창안해내지만 작가가 만든 그 인물이 내가 알고 있는 그 인물과 같다고 누가 말할 수 있나 말이다. 결국, 독서를 통해서 그 인물은 자기 안에서 창조된다.
그래서 발란더는 내게 자별하다. 자기만의 자리를 가진 발란더. 어떤 소설 인물보다도 더 큰 존재감을 주는 발란더. 그를 다시 만나는 건 언제나 헤닝 만켈의 펜촉을 통해서지만, 만날 때마다 나는 내 기억 속의 발란더를 끄집어 낸다. 그는 여전히 건재하고, 훌륭하다.
애처롭게도 이번 <방화벽>에서는 용의자에게 폭력을 휘두른 경찰관으로 동료들의 의심과 불신을 사고 있지만 그런들 발란더가, 그토록 충직하고 믿음직스런 친구가 다른 사람처럼 느껴질 리 절대 없다. 어서 빨리 이 누명을 벗고, 또 사건도 잘 해결하고 어떻게든 애인도 사귀고 잘 해나가기만을 노심초사 빌 뿐.
발란더. 그는 나의 숨은 얼굴 같고, 내가 아는 세상사람들의 뒷모습 같아서 자꾸만 자꾸만 정이 간다. 이러게 허구의 인물을 정말인 것처럼 느낄 수 있다니. 어느 누가 소설을 쓴다면, 헤닝 만켈처럼 쓰기를. 그렇게 살아서 움직이는 인물을 독자와 함께 만들 수 있기를, 잘 하라고 행운을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