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6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5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5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6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6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210/pimg_7149951631839069.jpg)
강렬하고 독설같은 느낌의 시가 어디 최영미 시뿐이랴마는
어쩐지 그녀의 시는
그 독설이 독설로만 읽히지 않고
그동안 표현되지 못하고 가슴 한 구석에 숨어있던 어떤 감정을
있는지조차 의식 못하고 있던 내 감정을
시인이라는 그녀의 눈부신 능력은
이렇게 시로 구체화시켜 놓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했다.
위의 책들은 그동안 직접 구입해서 읽은 최영미시인의 시집과 산문집이지만
구입하지 않은 그녀의 다른 책들도 (잘 알려지지 않은 소설까지)
도서관에서 빌려서 다 읽어왔다고 생각한다.
2005년 11월에 출판된 시집 <돼지들에게>를 그해 12월에 구입하여 읽었는데
시집에 수록된 시들이
첫 페이지의 시 <돼지들에게>를 포함해서
포괄적 대상이라기보다
어떤 구체적 대상을 비꼬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돼지, 여우, 진주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누구를) 가리킬까
생각하며 읽게 만들었다.
지금 읽었다면 담박에 알았을텐데.
언젠가 몹시 피곤한 오후,
돼지에게 진주를 준 적이 있다.
좋아라 날뛰며 그는 다른 돼지들에게 뛰어가
진주가 내 것이 되었다고 자랑했다.
하나 그건 금이 간 진주.
그는 모른다.
내 서랍 속엔 더 맑고 흠 없는 진주가 잠자고 있으니
(중략)
그가 가진 건
시장에 내다 팔지도 못할 못난이 진주.
철없는 아이들의 장난감으로나 쓰이라지.
떠들기 좋아하는 돼지들의 술안주로나 씹히라지.
(중략)
나의 소중한 보물을 지키기 위해 나는 피 흘리며 싸웠다.
때로 싸우고 때로 타협했다.
두 개를 달라면 하나만 주고,
속이 빈 가짜 진주목걸이로 그를 속였다.
그래도 그들은 돌아가지 않았다.
나는 도망쳤다.
나는 멀리, 그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도망갔다.
친구에게 빌린 돈으로 기차를 타고 배에 올랐다.
그들이 보낸 편지를 찢고 전화를 끊었다.
그래도 그 탐욕스런 돼지들은 포기하지 않는다.
긴 여행에서 돌아온
나는 늙고 병들어, 자리에서 일어날 힘도 없는데
그들은 내게 진주를 달라고
마지막으로 제발 한 번만 달라고 ......
= 최영미, 시 <돼지들에게> 일부 발췌 =
13년이 지난 지금
바뀐게 없는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