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마음속으로 몇 번이나 통곡하는 심정으로 읽었는지 모른다. 어린 동구의 인생이, 엄마의 인생이, 그리고 할머니의 인생마저도 그냥 가슴치며 울고 싶게 만들었다. 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닌 저자의 첫 소설이  이렇게 흡입력을 가지고 읽는 사람을 빨아들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글의 배경이 되는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는 내가 화자 (話者)인 동구의 나이와 비슷한 시대였기 때문에 더 실감이 났는지도 모르겠다. 한 집안에서 아이란 존재는 지금 처럼 귀염받고 위함을 받는 주인공이 아니라 그저 어른들의 눈치를 보고, 어른보다 목소리가 커서는 안되는 아직 완전한 인간 이전의 그야말로 '어린애' 취급받던 때.  할머니로부터 온갖 구박과 멸시를 받고, 아버지로부터도 배려와 사랑 대신 침묵과 복종만을 강요받으며 삭아가는 가슴에 멍을 키우는 엄마를 옆에서 늘상 보고 자랐고, 처음으로 자신을 따뜻한 눈으로 봐주는 담임선생님을 만나 그 선생님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지 할수 있다고 믿었던 동구로부터  선생님도 떠나갔고, 태어날 당시부터 자기와는 달리 영리하기 그지없어 온 식구의 귀염을 받던 여동생 영주, 그런 동생을 시기하고 질투하기는 커녕 애지중지 보살피며 자랑하고 다니던 것이 낙이었던 동구에게서 그 동생마저도 떠나보내며, 동구는 그만 초등학교 4학년 나이에 이미 어른이 되었나보다. 서로 다시 공존이 힘들어진 엄마와 할머니를 위해서 자기가 할수 있는 일을 찾던 동구가 결국 한 일은 무엇이었던가.

한번 구경이라도 하고 싶어 기웃거리던 한 동네의 삼층집 정원. 쓸쓸한 겨울 어느날, 빠끔이 열려져 있는 대문으로 들어가 바위위에 앉아 둘러보다가, 동네 개구장이들의 돌팔매질에 죽었다고 생각했던 새, 야윈 곤줄박이가 얼음위에서 날아오지는 못할 망정 살아서 남아있는 것을 보고, 죽었는 줄만 알았던 곤줄박이가 지치고 고단한 모습으로나마 살아 모습을 드러낸 것이, 사랑하는, 하지만 지금은 곁에 없는 이들을 언젠가 다시 만나리라는 희망으로 받아들이고 싶어하며 조용히 눈물을 흘리는 소년.

내가 그 소년 동구의 마음이 되어 엉엉 운다. 소설은 '아름다운 정원에 이제 다시 돌아오지 못하겠지만, 나는 섭섭해하지 않으려 한다.'고 끝맺고 있지만, 나는 그의 마음 속의 그 따뜻함과 진심을 지켜주고 싶은 마음에...그의 마음에 정말 아름다운 정원이 만들어지길 바라는 마음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레져 2006-10-23 1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소설 읽고 하염없이 울었던 기억이 나요.
참 슬픈 정원에 다녀왔었지요.

hnine 2006-10-23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특히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그려지는 상실, 상처...이런 것들은 정말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비자림 2006-10-23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리뷰만 읽어도 애처로운 마음이 드네요.
님, 잘 지내셨죠? 연꽃 이미지도 곱네요. 배경이 진하여 이국적인 느낌도 살짝 풍기고.^^

hnine 2006-10-23 2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자림님, 연꽃은 아마 동학사 가서 찍어 온 사진일거예요. 저는 잘 지내고 있는데 비자림님 팔목은 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