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아
준비에브 브리작 지음, 최윤정 옮김 / 황금가지 / 1997년 1월
평점 :
품절




원제는 <Petite>. 이 작가의 이름으로 검색해보면, 어린이 책 들이 주로 나타난다. 이 책 역시 청소년 성장 소설로 볼수도 있겠고, 꼭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다.  열다섯 나이에 성장을 멈추기로 작정하고, 생존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음식만 먹기로 한다. 결국은 거식증이란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나, 그 치료도 거부한채 자기가 세운  성역 안에서 굳게 굳게 자기를 지키려는 소녀 누크. 배고픔은 오히려 그녀에게 엄청난 에너지를 부여한다고 생각한다. 책의 말미에 우연히 알게 된 어느 할아버지와의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그리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조금씩 그 자의식의 굴레에서 빠져 나오는 실마리를 던져 주는데...

성장통이란 우리가 흔히 아는 방식으로 올수도 있고, 조금 특별한 방식으로 올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성장통이란 꼭 십대에서 이십대 초에 온다는 우스꽝스런 편견은 버려야 함도 말하고 싶다. 특히 요즘처럼 대학에 들어가기까지 '스스로'보다는 '시키는대로'  가고 있는 현실에선, 이러한 성장통은 아주 늦게, 그러나 어김없이 찾아올수도 있음을. 어떠한 모습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초기엔 '일종의 정신병'이라고만 알려져 있던 거식증. 작가는 이십년 전의 그 경험을 조금은 익살스럽게, 과장도 해가며 사람들을 즐겁게 해줄 목적으로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하고 있으나, 재미로만 읽기엔 이십년 후의 지금 우리들은 아마도 조금씩 나름대로의 소소한 일종의 정신병을 지니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9-22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좋아하는 성장소설이군요. 그것도 자전적

hnine 2006-09-22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하늘바람님. 우리는 왜 성장소설에 관심을 갖는 걸까 잠시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