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YOUR LIFE

색, 다른 공간 이야기

2016.02.25-08.21

대림미술관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4길 21)

 

 

 

전시를 보러 가자 맘먹고 어딜 갈까 검색을 하다가 두군데를 골랐다.

그중 한 곳, 아직 한번도 가본 적 없는 대림미술관을 오늘 다녀왔다.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가는지 적어놓은 메모를 보며 찾아가는 동안, 설레는건 지금 여기서나 오래전 영국에서나 별로 다르지 않구나.

 

경복궁 가까운 곳, 통인동 골목에 있었다.

 

 

 

 

 

 

 

 

 

1층엔 매표소와 기념품샵. 전시는 2층부터 시작된다.

운좋게 도슨트 설명 시간과 맞아 졸졸 따라다니며 설명 듣고 메모하고 사진찍고.

 

"이 전시의 키워드로 공간을 유념하시며 둘러보세요." (도슨트의 말씀)

 

 

여긴 2층 첫번째 방.

여섯명의 사진작가들이 일상 속 색깔들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인간의 눈은 1,700여가지 색을 구별한다고 한다. 자그마치 1,700여가지!

PANTONE이라는 회사에서 이들 색을 분류하여 고유번호를 붙였다. 일명 PANTONE 컬러매칭시스템.

Ives Klein 은 자기가 좋아하는 파랑색을 여러 가지 만들어 IKB (Ives Klein Blue) 라고 이름도 붙였지.

 

 

 

내가 좋아하는 색깔을 클로즈업. (도슨트가 그렇게 해보라고 시켰다)

 

 

 

 

 

 

 

 

 

 

 

 

지나쳤던 일상 속 색깔들.

피부색마저 사람마다 다 달라서 자기 피부색과 똑같은 색을 찾기 어렵다.

 

 

 

 

여러 가지 색깔들 중 눈에 잘 띄는 것은 역시 노랑색. 색이 가진 기능을 생각하게 된다.

 

 

 

 

 

 

 

 

 

2층 두번째 방은 다양한 오브제 속 색깔들이 주제인 방인데

유리, 가죽, 메탈, 패브릭과 색이 만나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위의 작품은 와이어 넘버. 금속과 색.

조규형이라는 우리 나라 작가 작품이다.

 

 

 

 

패브릭과 색.

 

 

 

 

가죽과 색.

 

 

 

 

 

 

유리와 색.

 

 

 

 

여기부턴 3층.

현재 유럽에서 잘 나가는 디자이너 일곱명을 뽑아 그들의 작품을 모았으니 이름을 눈여겨 봐두란다.

대개 영국, 스웨덴 사람인데 이 사람 Bethan Laura Wood는 런던 출신. 색을 조각조각내서 꾸미는게 특기이다.

왼쪽의 테이블 상판을 보니 우리 나라 자개가 연상되었다.

 

 

 

 

 

 Morten 과 Jonas 두 사람이 한조. 색을 덩어리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큼직큼직하다.

 

 

 

 

 

 

 

 

 

슬로베니아 출신 디자이너 Nika Zupanc 작품.

의자 소재를 벨벳으로 하여 부드럽고 우아한 컬러감을 나타내었다.

색이 어떤 소재를 만나느냐에 따라 다른 성질로 태어난다.

 

 

 

 

스웨덴 출신  디자이너 Fredrik Paulsen.

나무를 소재로 하였는데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나무에 그라데이션 효과가 나도록 색을 입혔다. 오묘한 느낌을 주고 싶었나보다.

 

 

 

 

 

 

스웨덴 출신 디자이너 Anton Alvarez.

Stool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색실을 칭칭 감아서 표현 (thread wrapping) 했다.

손으로 감은게 아니라 기계를 사용하였며 도슨트가 동영상을 보여주는데 꼭 옛날 우리나라 물레 같았다.

 

 

 

 

 

지층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항아리.

제스모나이트가 소재인데 원래 가루로 되어 있는 제스모나이트에 물과 원하는 색의 물감을 섞으면 15분 내에 딱딱하게 굳는 성질이 있다고 한다.

 

 

 

 

Lex Pott. 네덜란드 디자이너인데 화학을 좋아했나?

금속 재료를 다른 방식으로 산화시켜 부분적으로 다른 효과를 나타냈는데 금속위에 실제로 Cu (구리), Zn (아연), 막 이런게 써있다.

 

 

 

 

 

 

 

3층의 두번째 방은 가구 속에 나타나있는 색.

65개 가구가 전시되어 있다.

 

 

 

 

가운데 저 화병처럼 생긴 것은 화병이 아니라 의자이자 간이테이블로서, 프랑스의 필립 스탁 작품.

세계 최초로 제작된 투명 의자로서 일명 "고스트 체어"라고 불린다. Polycarbonate 소재.

 

 

 

1959년 덴마크 디자이너 베르너 팬톤 작품으로 세계 최초의 일체형 의자이다.

1959년 작품이라는게 믿기지 않는다. 이렇게 모던할 수가.

집에 와서 궁금해서 찾아보니 원하면 지금도 구입할 수 있다. 가격은 약 1,770,000원.

 

 

 

이 의자 이름은 "오렌지 조각 의자". 색깔은 수박 색깔이지만 등판과 좌판이 오렌지 조각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프랑스 피에르 폴랭 작품인데 "의자는 기능적인 것 그 이상이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는 사람.

 

 

 

 가운데 하트 모양 의자는 이스라엘 출신 론 아라드가 1989년에 제작한 의자.

 의자라면 앉을 수 있어야 할텐데 저기 어디에 앉을 수 있지? 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겠는데 위의 거울로 보면 어디에 앉는지 알 수 있다.

 

 

 

 

이 의자는 어디선가 본 기억이 있어 찍어두었다. 어디서 보았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가운데 파란 의자 이름이 개미의자란다. 의자 다리가 가늘어서일까? 아니면 등받이의 저 잘룩한 부분때문일까.

 

 

 

 

여기부터는 4층 전시실.

공간과 색이 주제이다.

 

 

 

듀럭스라는 회사에서 매년 올해의 색을 지정하는데 올해 2016년의 색은 Ochre Gold. 흙색 느낌이 나는 금색 (안내하시는 분에게 물어봤다)이라고.

 

 

 

 

한가지 오브제에서 느껴지는 색과, 공간 속에서 어우러져 나타나는 색의 표정은 다르다.

 

 

 

 

흐트러져 있는 것 같지만 조화로운

물건들, 색깔들.

 

 

 

 

 

 

 

 

 

 

 

 

 

 

 

 

 

 

 

 

 

 

 

 

 

올라갔던 계단을 내려오며

미술관 2층에서 본 거리.

경복궁 담이 보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Jeanne_Hebuterne 2016-04-18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획 이야기를 듣고 궁금했던 전시인데, 이렇게 포스팅해주셔서 고마워요, hnine님.
저는 늘 검정이 가장 좋은데, 최근에서야 검정은 색이 아닌가..하며 타인의 학설에 수긍하던 차에 보게 되어 더 반갑습니다.

hnine 2016-04-18 09:03   좋아요 0 | URL
검정이 얼마나 멋진 색인데요~ 모든 색이 다 들어가있는 색 아닌가요? 저도 검정색, 회색, 흰색 좋아해요. 에뷔테른님 상상하면 사실 전 파스텔톤 색깔이 떠오르는데요.
어제 전시에는 그런 우리 성향을 중화시켜 주려는듯, 이렇게 다양한 색이 다양한 곳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일깨워주려는 듯한 전시였어요. 가끔 그런 리프레쉬가 필요한 것 같다고 작정한 하루였답니다. 어제 이 전시 보고 사실은 한군데 더 갔어요. 이것보더 더 화려하고 찬란한 ^^ 따로 페이퍼로 올릴려고요.

마녀고양이 2016-04-19 15: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아래, 거울 속에 사진기 들고 계신 분, 혹시 나인 언니세요?
그렇다면 방가 방가~~~ 인사하려구요! ^^

저는 늘 풍부한 색채가 좋아요.
그래서 봄이 가장 좋은가 봐요. 요즘 애지간하면 기분 좋게 지내거든요. ㅎㅎ

hnine 2016-04-19 17:43   좋아요 0 | URL
사랑스런 마녀고양이님, 저 맞아요. 소심한 셀카지요?
사진을 너무 많이 올려서 끝까지 스크롤해서 보기에도 귀찮으셨을텐데 저를 찾아주셔소 고맙습니다~
저 전시회 코알라와 함께 시간되실때 한번 가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저는 혼자 갔지만요.
저 날은 무척 어둡고 울적한 요즘 기분을 제가 달래주려고 계획적으로 찾아 나선 길이었어요.
한낮의 봄기운에선 아주 조금씩 여름 느낌이 나려고 해요. 좋아하는 봄을 만끽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