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다닐 때 미술 교과서가 이런 식으로 되어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어제 아이 데리고 도서관에 갔다가 덩달아 내가 빌려온 그림책, 제목이<What the painter sees> 이다. 1994년에 프랑스에서 처음 출판된 것을 1996년에 미국의 스콜라스틱 출판사에서 번역, 출판하였다.

되돌려줘야 하는 책이라서 내용을 사진으로 남겨 두었는데 다 올리고 싶지만 저작권이 염려되어 몇 개만 올려본다.  

 

우선 책의 표지는 이렇게 생겼다. 가로 세로 20cm 좀 넘을 정도 크기 정사각형에, 40 여쪽 분량. 아주 부담없는 그림책이다. 책이 꼭 크고 두꺼워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이기도 하다. 내용과 편집만 훌륭하다면. 

 

  

 

 

 

 



 

 

 

 

 

 

 

표지를 넘기면 첫 페이지에, 대상을 보는 화가의 시선 (Ways of seeing) 이라는 제목 아래, 말 (horse)이라는 똑같은 동물을 화가마다 어떻게 다른 시각으로 보고 그렸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몽고의 말탄 무사 그림에서부터 19세기 Gericault 의 그림, 20세기 칸딘스키의 그림에 이르기까지.
긴 설명 없이도 그리는 사람에 따라 어떻게 표현을 다르게 할 수 있는지, 또한 화가의 개성과 관점이 그림을 통해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그래서 그림 하나를 볼때 무엇을 어떻게 봐야하는 것인지 등을 읽는 사람에게 간접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알려 준다. 

 

 



 

 

 

 

 

 

 

 

 

 

 

 풍경화 파트에 수록된 그림이다. 그림 앞에 이렇게 반투명 종이가 붙어, 실제 그림에 겹쳐 봄으로써 소실점, 원근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초상화 파트에서는 인체의 비례 (proportions)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각기 화가가 그린 다른 모델의 그림이지만 눈, 코, 입의 위치가 정확히 포개짐을 보여주기 위해 저렇게 한 페이지를 조각 내어 놓았다.

 



 

 

 

 

 

 

 

어떤 페이지는 펼치면 이렇게 커지기도 하고.
그림을 꼭 정해진 크기로 규격에 맞게 그리란 법이 없듯이, 모든 그림을 꼭 정해진 크기의 지면에 담으란 법도 없다는 듯이. 

  

 

아직도 잘은 모르지만, 그림은 보면 볼수록 '과학' 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9-06-30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지네요. 너무 어렵게 그림의 기법에 대해 설명을 한 책보다 오히려 더 흥미롭게 내용을 잘 받아들일 수 있겠어요. DK나 Scholastic 책은 일단 사고싶지요? 라루스나 킹피셔도 그렇고..
아래 이원아트빌리지는 이쁘다는 얘기 많이 들었었는데, 아이들도 좋아할만한 곳인가요?

hnine 2009-06-30 19:18   좋아요 0 | URL
맞아요, manci님. 말로 자세히 설명한 것보다 훨씬 이해가 빠르겠더라구요. 아이들 대상으로 한 책 중에 정말 좋은 책들이 많다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