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을 안 하면 노래가 안 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다. 그래서 항상 노래연습을 하고 있다."


- 조 용필, 2008. 4. 16일 40주년 기념콘서트 인터뷰 중에서 -


----------------------------------------------------------


초등학교 1학년에 다니는 아이가 며칠 아팠습니다. 앓고 있는 아이가 안쓰러워 아내는 월요일인 어제 학교에 보내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러자고 했지만 내심 마음이 개운치 않았습니다. 생각해보니 ‘아무리 아파도 학교는 가야지.’라는 마음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나 봅니다. 다시 되물어보았습니다. ‘아무리 아파도 왜 학교를 가야하지?’ 그 근거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일종의 강박관념입니다. 완고하고 비합리적이고 결과적으로 삶에 도움이 되지 않는 집착이고 틀입니다. 

흔히 강박관념은 지나친 승부욕, 불안, 자기불신과 같은 부정적 정신에너지에서 비롯되어 진정한 삶의 성장을 꺾어놓기 쉽습니다. 하지만 모든 강박관념이 다 안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긍정적 강박관념도 있습니다. 이는 자기완성의 욕구, 열정, 자기신뢰라는 긍정적 정신에너지에서 비롯되어 삶을 성장으로 이끌어주는 긍정적 신념이나 자기철학과 같은 마음입니다. 예를 들면 ‘무대에 올라가려면 만족스러울 정도로 연습을 해야 한다.’는 가수 조 용필의 강박관념, ‘연기를 하려면 자신을 버리고 온전히 그 배역이 되어야 한다.’는 배우 김명민의 강박관념, ‘사진은 나의 열정이고, 진실에 대한 추구는 나의 강박관념이다.’라고 했던 사진작가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의 강박관념 등이 있습니다. 이 마음들이야말로 그들의 삶을 옭아매는 틀이 아니라 그들의 삶을 더욱 넓게 펼쳐나갈 수 있는 날개가 되어 준 긍정적 강박관념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에게는 어떤 강박관념이 있습니까? 그 생각은 당신을 옭아매는 틀이 되고 있습니까? 혹은 당신의 능력을 펼치는 날개가 되고 있습니까? 만일 당신에게 긍정적 강박관념이 없다면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의 말을 인용하여 빈 칸을 채워보면 어떨까요?

‘00은 나의 열정이고, 00에 대한 추구는 나의 강박관념이다.’

 
   

 ----------------------------------------------------------------------------------

나의 강박관념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로.  

살아가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강박관념의 유무, 혹은 그것으로 인한 고민이 아니라,
위와 같이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융통성'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9-04-14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강박관념이 없는 거같아요 그게 오히려 문제인듯^^

hnine 2009-04-15 16:52   좋아요 0 | URL
없으면 좋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