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 이 영화, '벼랑위의 포뇨' 이다.
1. 영화 중에 등장하는 포뇨의 아버지 이미지에 비해, 어머니의 존재는 어마어마하다. 온 바다를 다스리는 바다의 여신 같은 이미지. 하야오는 여기에 무슨 상징을 담으려고 했던 것일까?
2.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도 느꼈던 바, 이 영화 '벼랑위의 포뇨'에서도 역시 일본의 군국주의적 분위기를 느끼는 것은 나만 그런 것일까? 자연 재해라든지, 나쁜 악의 무리에 맞서는 사람들의 모습을, 개인의 차원에서가 그린다기 보다는 항상 다수의 사람들이 구령과 지휘에 따라 질서 정연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는 꼭 이 대목에서 잠시나마 섬찟함을 느껴오곤 하는데, 내가 지나치게 예민한 것인지 모르겠다.
3. 하야오의 영화는, 보고 있는 중엔, 참 그림 잘 그렸다, 환상적이다, 라는 생각으로 보는데, 다 보고 난 후, 과연 감독이 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다. 귀여운 포뇨?, 인어공주의 패러디? 현세를 극복하려는 도전과 모험 의식? 유전체 조작에 의한 형질 전환 생물 내지는 인간 복제? 그냥 환상과 상상의 세계?
과연 무슨 secret code가 담겨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포뇨가 귀엽다는 것 외에 영화를 보고난 아이들의 감상은 어떨지 궁금하다. 보고난 후 아이에게 영화가 어땠는지 물어보니 재미있었다, 포뇨가 너무 귀엽다라는 말에 이어, "그런데 잘 이해가 안 되요." 크... 그 엄마의 그 아들이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