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에 올라가면서부터 내 책상은 동생과 함께 쓰던 방에서 아빠의 서재로 옮겨졌다. 서재라고 해서 넓직하고 근사한 그런 서재라기 보다, 아빠의 책들이 빼곡히 꽂혀 있는 책장 세개가 나란히, 그리고 작은 티 테이블, 아빠 책상, 그리고 오갈 데 없어 어울리지 않게 자리잡은 서랍장, 부엌에 가지 않고도 커피를 끓여 마실 수 있게 전기 포트, 커피, 설탕 등이 한 쪽 구석에 있는, 크지 않은 방이었고, 거기에 내 책상이 또 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저녁을 먹고 나서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나는 거기 책상에 앉아 책도 읽고 라디오도 듣고, 편지도 쓰고, 라디오 프로그램에 보낼 엽서도 꾸미고, 일기도 쓰며 시간을 보내다보면, 내가 거의 잠자러 서재를 나설 시간쯤 되서야 아빠께서는 들어오셨다. 내가 뭐하고 있나 잠깐 들여다보시고는 늦은 시간이었지만 가끔 음악을 들으셨다. 아 참, 그 방에는 위에 말한 것들 외에도 낡은 턴 테이블과 수백장의 LP판이 책꽂이가 아닌 LP판 전용 꽂이에 가지런히 정리되어 책장 위에 올려져 있었다. 어떤 날은 클래식을, 어떤 날은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어떤 날은 영화 스타워즈 주제 음악, 아빠의 취향은 그야말로 어느 한 분야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그 날도 늦게 오신 아빠께서는 판을 하나 골라서 턴테이블에 올려놓으셨는데, 그때 흘러나오는 음악을 듣는 순간 나는 그야말로 꼼짝도 할수가 없었다. 몰입되었다고 해야하나. 아빠를 무척 어려워했기에 이 곡의 제목이 무엇인지, 어떤 느낌이라던지 하는 말은 감히 꺼내지도 못하고, 눈은 그냥 보던 책을 향하고 있었고 고개도 못든채 그냥 안듣는 척 하면서 듣고만 있었다.
슬픔이라고 해야 할까, 그런 감정이 밀려와 온 몸을 휩싸고나면, 어느새 그 슬픔의 감정을 서서히 덮치고 솟아오르는 느낌은 숭고함이라고 해야하나, 지금도 나의 부족한 표현력으로는 형언할 방법이 없다. 너무나 아름다운 음악. 금방이라도 눈에서 눈물이 뚝뚝 떨어질 것만 같아서 참느라 애쓰며 듣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