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살전에 사람됨을 가르쳐라
문용린 지음 / 갤리온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것들은 유치원에서 모두 배웠다는 말이 있다. 살아가면서 지켜야할 기본적인 규칙이나 도리는 유치원 시기까지 거의 모두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 포함된다. 이미 이 시기를 지낸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이 시기에 이르면 이전의 자신의 기본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스스로 되돌아보게 된다.
스폰지처럼 받아들이는 아이들. 그들에게 가르치고 보여줄 수 있는 것들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그 중 인생의 지침이 될만한 것을 제대로 심어주는 도덕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이 시기를 놓치면 나중에라도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특징적인 발달 단계인 뇌의 전두엽 부분이 충분히 발달할 기회를 놓치는 것이라고 한다.
<부모들이 반드시 기억해햐 할 쓴소리>라는 전작과 맥을 같이 하는 내용의 이 책은, 성숙한 인격과 도덕적 품성의 기반이 제대로 잡혀 있을 때 진정한 성공과 행복도 가능하다고 일깨우고 있다.
10년 뒤 내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다른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게 하려면 부모가 무엇을 주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부모들이 질문을 던져 올때 저자는 늘 한마디로 대답한다고 한다. 아이의 인격과 도덕적 능력을 키워주면 된다고.
책의 내용은, 열살 전에 사람됨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에 대해 말한 1장에 이어 그 구체적인 사안들을 2장에 소개하고 있고, 3장에는 사례별로 아이가 이럴 때 부모의 바람직한 대처 방법들은 어떠해야하는지 소개하고 있다. 4장에는 10년 뒤 아이가 반드시 갖춰야 할 5가지 기본 능력으로서 공감, 감정조절력, 분별력, 사랑, 책임감을 제시했으며 마지막으로 아이의 연령별로 아이의 도덕 발달과 그에 따라 부모가 유념해야할 점으로 맺고 있다.
학교 다닐때 도덕재무장이란 뜻의 단체 활동이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우리를 무장시키는 것은 어떤 물질적인 것들이 아니라 바로 이런 기본적인 규칙들, 즉 도덕적으로 잘 발달된 인격과 품성이며 이런 것들의 습득은 10살 이전에, 부모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것들이 아이가 어른이 되어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때 닥치게 될 어려움과 곤경에 대한 든든한 방패 역할을 하는 것인데,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특별한 교사를 통해서가 아니라 바로 옆의 부모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 때문에 오히려 너무 간과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읽는 내내 반성의 기회가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혜덕화 2008-10-26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두엽의 발달에 대해서는 제가 알고 있는 것과는 반대되는 이론이네요. 심리 상담이나 교사 연수에서 받은 교육에서는 인간의 전두엽은 어릴 때부터 스무살 정도까지 서서히 발달한다고 하더군요.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시기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청년기에 들어갈 무렵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너는 생각이 있는 아이니? 없는 아이니?'라고 질책하지 말라고 하더군요. 그 시기에는 생각이 없는 것이 당연하다구요.^^
조국 교수의 강연에서 이 부분을 아주 감명깊게 들었는데 다 잊어버리고 남은 것은 인간의 판단력은 서서히 형성되므로 부모가 함께 행동하고 기다리고 합리적 판단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나름의 결론이었답니다.
엘리베이트에서 가끔 경험하는 건데, 부모들이 자신들은 이웃보고 인사를 안하면서 아이보고는 인사해라고 시키는 것을 봅니다. 그냥 부모가 인사를 하면 아이도 하게 되는 건데 꼭 말로 가르쳐야한다고 믿는 것 같아 혼자 웃는답니다.
부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어디 도덕성 뿐이겠습니까?
우리가 부모의 역할이 이렇게 중요하고 의미 깊은 줄 미리 알았다면, 임신했다고 무작정 좋아하기 전에 부모 교육을 먼저 받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hnine 2008-10-26 23:51   좋아요 0 | URL
아 예~ 그렇군요.
인간이란 어차피 어느 시기이든, 완성된 존재는 아니니까요.
말씀을 들으니 Teaching is showing. 이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부모 역할의 중요성이 새록새록 느껴져 어떤 때에는 부모된 기쁨과 보람보다 훨씬 더 큰 부담으로 느껴지기도 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