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의 무늬
오정희 지음 / 황금부엉이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오 정희의 소설이 아닌 산문집이다. 그동안 작가는 소설도 그렇지만 산문집도 많이 낸 편이 아니다. 그래서 더 반갑게 집어든 책.

오 정희의 글은 쉽게 읽혀지지가 않는다.
어려운 문장을 써서가 아니다.
한 문장 한 문장 쓰기까지 기울였을 그녀의 진지함과 어려움이 느껴져서이다.
중년을 훌쩍 넘어선 나이이지만, 다작의 작가는 아니라는 것은 그녀에게 단점이 아닌 장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겠다. 그만큼 그녀 내부에 충분히 고인 후에야 어렵게 글 한편을 길어올리는 우물 같다고 할까. 행여나 설익은 글이 함부로 만들어질까, 충분히 고뇌하지 않고 쓰여진 글이 문학이라는 이름에 누를 끼치지 않을까 하는 극단의 조심스러움은 그녀의 글쓰기에 대한 자존심이고 문학에 대한 외경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그녀가 많은 후배 소설가들에게 얼마만한 영향을 끼쳤을지는 표지의 글을 읽어보지 않더라도 짐작이 간다. 지금도 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교과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오 정희의 글.
그녀가 피와 땀으로 길어올린 우물물을 나는 참으로 쉽게 받아 마시는구나. 본문 중 40대의 딜레마에 대해 쓴 부분은 요즘 나의 머릿속을 채우고 있는 고민의 본질을 제대로 표현해주고 있으니, 어째 내 고민의 핵심을 다른 사람의 글에서 발견하고 쾌재를 부른단 말이냐. 작가란 바로 그런 존재인지도 모른다.

한 사람에게,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무늬는 사람마다 다르리라.
문학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일에 이만한 소명 의식과 애정을 가지고 임해야 할 것 같다. 그런 삶이 되어야 할 것 같다. 그렇게, 비슷하게라도 살아야 할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춤추는인생. 2008-07-09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가끔 오정희 선생의 글을 읽을때 무릎이라도 끓고 읽어야 하는 생각이 들어요. 말씀하신것처럼 한문장한문장에 그녀가 기울였을 진지함과 어려움 그리고 망설임이 느껴져서 그저 눈으로 훓기에는 너무나 죄송스러운 마음이 드는 까닭인것같아요. 나인님의 리뷰를 읽으면서 사십대가 되면 꼭한번 다시 읽어야 하겠다 라는 생각을 해보게되요. 오정희 선생님의 마음의 무늬는 어떨까요? 조금은 낡았지만 만지면 보드라울것 같은 느낌일것같아요 그오랜시간동안 고뇌했던 선생의 삶의 연륜이 그마음의 무늬를 부드럽게 감싸안을것같은 예감이거든요.
좋은 리뷰 읽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나이님^^

hnine 2009-10-21 20:22   좋아요 0 | URL
저 사실은 대학교 1학년 때인가, 오 정희 님의 소설을 처음 읽어보고는 무슨 초현실 작품인줄 알았지 뭐예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고, 상상과 현실이 뒤얽혀서는 느낌이 이상하더라구요. 지금 생각하니 웃음이~ ^^
어쨌건 저도 얼룩이 아닌 '무늬'를 그리며 나이들어갈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