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점지능 살리면 뜯어 말려도 공부한다
다중지능연구소 엮음 / 아울북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제목이 너무 자극적이다. 다른 책을 구입할 때 함께 받은 책인데, 강점지능, 다중지능에 대한 것은 요즘 교육학에서도 많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인줄 알고 있었기에, 관심이 있던 터였다.
다중지능, Multiple intelligence는 우리가 지능 판별의 기준으로 삼고 있던 IQ의 개념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공간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자연지능 등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성향과 잠재성을 판별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강점지능을 편리하게 구별해내기 위한 것이라고 할수 있으며 여덟가지 다중지능은 서로 대비되는 특징이 있는 것끼리 묶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제로 이 책에는 다중지능 문항검사 항목이 수록되어 있어, 내 아이의 강점지능을 간단하게 테스트해볼수 있게 되어 있다.
아이의 지능이 얼마나 높으냐 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어느 분야에 적성을 보이느냐 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하다고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바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택한 사람에게 직장은 천국이요, 좋아하지 않는 일을 직업으로 택한 사람에게는 같은 직장이라도 지옥이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모든 일에 우수성을 나타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특히 더 좋아하는 분야가 있을 것이며, 어떤 것에도 특기 사항이 없는 것 처럼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재능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꼭 있기 마련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발견을 못 했을 뿐이지.
우리가 알고 있는 영재아들의 부모들은 결코 엄청난 경제력의 소유자도, 박사나 학자도 아니었다고 한다. 사회적 조건으로 봐서는 평범한 사람들이었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던 비범함은 자식에 대한 관심, 그리고 그 관심을 바탕으로 하는 정확한 판단력, 진로에 대한 열린 시각, 자식을 믿고 때를 기다려주는 느긋함에 있었다고 한다. 고정관념을 버리고, 관심을 가지고 아이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강점지능을 찾아 격려해주는 일, 그것은 부모대신 다른 사람 누구도 해주기 힘든 일이다. 누가 부모처럼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아이를 세심하게 관찰해줄수 있을까. 아이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부모의 눈이 아닌, 아이의 마음이 되어 바라볼 자질이 되어 있는 부모가 해줄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책 표지의 '시키지 않아도 공부하는 아이로 키우는 비결' 이런 문구가, 읽고 나서 리뷰를 쓰기에도 꺼려지게 만든다. 시키지 않아도 아이를 공부하게 만들기 위해서 읽은 책이 아닌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