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프 미 시스터
이서수 지음 / 은행나무 / 2022년 3월
평점 :
플랫폼 노동자라는 말이 언제 생겼을까. 이것도 사실 정확한 용어는 아닌 것이, 현재 플랫폼 노동자는 노동자가 아닌 개인사업가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차를 이용하여 노동하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직업이다.
제목 헬프 미 시스터는 중의적이다. 출퇴근 하는 직장 대신 집에서 수익 없는 투자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남편을 둔 수경은 사기를 당해 거리에 나앉게 생긴 친정 부모님, 집 나간 오빠의 아들 둘 까지 한 집에서 빠듯한 살림을 꾸려가고 있다. 직장에서 친하게 지내던 동료가 약을 탄 음료수를 받아 마시고 성범죄를 당할 뻔 했던 충격으로 수경은 직장을 그만 두고 다른 직장을 찾지만 쉽지 않자 생계를 위해 택배 일을 시작한다. 혼자 할 수 있는 일이라 다른 사람과 연관될 일 없어 좋긴 하지만 트럭이 아닌 일반승용차를 가지고 하루에 배송할 수 있는 물량엔 한계가 있어 시간이 곧 돈인 택배 일은 진이 빠지게 한다. 혼자 고생하는 것을 보다못해 나중엔 어머니까지 합세하여 택배 일을 돕고 아버지는 음식 배달일을 나선다.
혼자 일을 할 때보다 한결 힘이 되는데, 아직도 전 직장에서 당한 트라우마때문에 낯선 사람의 호의나 대화에도 불안감을 느끼는 수경은 택배 일도 안전하지 않음을 느끼던 중 여성을 상대로 하는 구인구직 서비스인 헬프 미 시스터라는 시스템을 알게 된다.
이 위태위태한 집안에서 서로 짐이 될 수 있는 가족들은 짐이기 보다 서로 도움이 되어 헤쳐나가는 쪽을 택한다. 그렇게 그들은 쓰러지지 않게 서로 버팀목이 되어 가까스로나마 버텨나간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문단에 데뷔하고도 청탁이 들어오지 않아 생계를 위해 택배일을 했었다는 작가의 경험이 그대로 녹아들어가 있다.
갈수록 늘어가는 플랫폼 노동자의 실상 그리고 여성의 노동 현실과 문제점들이 생생하게 전달된다. 한가닥 희망으로 마무리해준 작가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메시지가 느껴진다.
오래 전 박완서의 소설을 읽었을 때의 느낌이 어렴풋이 생각났다. 여성 문제, 노동과 빈곤의 문제, 그리고 가족 간의 갈등 속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얽혀들어가는지, 박완서 작가처럼 신랄하고 날카롭게 소설로 구현한 작가를 다시 만난 느낌이랄까.
이렇게 견뎌가는 것이 삶인가보다. 기어이 희망을 찾아가면서, 포기하지 않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