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에 이름 붙이기 - 보이지 않던 세계가 보이기 시작할 때
캐럴 계숙 윤 지음, 정지인 옮김 / 윌북 / 2023년 10월
평점 :
이렇게 재미있는 책일지 상상도 못했다. 분류학이라면 요즘도 분류학 하는 사람이 있나 싶을 정도로 생물학 중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인기 없고 사람들 관심에서 멀어져가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두툼하기 까지 하여 과연 이 책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읽힐까 싶었는데, 읽기 시작하고 바로 책 속에 빠져들어 다른 책에 한 눈 팔새 없이 읽어버렸다.
분류학이라는 그 고리타분하고 졸린 이야기를 이 저자는 과연 대중들의 관심을 끌 정도로 '가볍게' 썼는가 하면 그게 전혀 아니었다. 전문적인 내용을 이렇게 설득력 있게 쓰는 사람이 제일 부럽다. 그것은 어떤 분야의 가장 밑바닥 기초부터 첨단까지 아주 잘 알고 있는 사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분류학이 생물학의 한 분야가 되기에 앞서 인간은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새로운 대상들을 접할때 그것을 특징에 따라 구분하면서 하나의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하려는 본성이 있어왔다. 이것은 과학, 비과학을 넘어서 인간 특유의 본성이고, 생명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고자 하는 인간 특유의 시각이다. 이것을 움벨트 (umwelt) 라고 하고 이 책에서 아마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용어가 될 것이다. 린나이우스 (학교 다닐때 '린네'라고 발음했는데 이 책에서는 린나이우스라고 나온다)에 의해 처음 체계적인 생물의 명명법이 제정될때에도 알게 모르게 가장 기본이 된 것은 이 움벨트에 의한 것이었다. 움벨트를 이후에 나오는 수리학적 분자생물학적 분류 방법과 너무 대척에 놓고 생각하면 안되는 것이, 생물에 이름을 붙이고 비슷한 것끼리 무리짓는 작업은 수리학적 방법이나 분자생물학적 방법이 도입되기 훨씬 이전부터 인간이 행해오던 것이기 때문이고 적어도 부족, 민족에 따라 공통된 방법이 통용되기 까지 그 나름대로의 근거를 가지고 분류되고 이름지어졌기 때문이다. 단지, 그 근거에는 모두 객관적인 근거가 아닌 주관적이고 인간 위주의 시각이 포함되었고 그것은 나중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한 생물의 진화상 위치를 실제와 아주 다른 단계에 가져다놓기도 했다. 그렇지만 움벨트가 관여한 명명, 분류 체계에는 인간과 다른 생명체 사이의 '관심'이 있고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분류학자이든 아니든, 생물학자이든 아니든, 인간 모두에게 다른 생명체 사이의 유대관계가 연루되어 있었다.
다윈에 의한 진화론이 체계화되고 받아들여지면서, 그리고 이후 수리분류학자들에 의해 각 형질이 공평하게 같은 기여도를 가지고 생물의 특징을 결정하는 수치로 환산되어 분류의 기준이 되면서, 더 근래 DNA 정보가 빼도빡도 못하는 확실한 분류의 기준으로 제시되면서 과거의 분류학은 도전을 받고, 극단적으로 우리가 물고기라고 분류하던 무리는 존재하지 않는 결과까지 오게 되었다.
사람들에게 이제 분류와 명명은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업이고 결과가 되었으며, 그게 어떻게 되든 관심을 두지 않는 쪽으로 가고 있어서 생명에 대한 인식은 사라지고 오직 우리 인간들의 삶과 소비, 편리함에만 집중하는 안타까운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움벨트가 현대 과학으로 대치되는 상황은 정확한 학문이라는 목적에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사실이지만,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랫동안 다른 생명체를 바라보던 우리의 가치관과 존중의식, 연대감을 이렇게 내치는 것은 우리 인간들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음을 저자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
대중에게 일반적인 주제가 아닐 수도 있는 한 분야를, 이렇게 매혹적으로 설득력있게, 그리고 내용에 충실하게 한 권의 책으로 낼 수 있는 저자의 능력에 별 다섯개도 모자라다는 느낌이다.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의 입장에서도 이 오래되고 케케묵은 분야로 여겨지던, 그래서 학교 다닐 때 가장 지루하게 듣던 수업 중 하나이던 분류학이란 분야의 의미과 방향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새겨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되었다. 특징짓고 분류하는 것은 인간만이 가지는 능력이고 그것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그리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 방법이 더 과학적이고 정확해지면서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간의 의식은 더 멀어져간다는 이 아이러니가 안타까운 정도를 넘어서려고 한다.
너무나 많은 곳에 밑줄을 치고 읽었기 때문에 그중 몇개만 인용해서 옮겨 놓는 것을 차라리 하지 않는다. 그래도 아쉬워 책을 반납하기전 제일 명문이라 생각한 한 단락을 남겨두어야겠다.
생명은 모든 곳에서 끈질기게 버티고, 존재하고, 침입하고, 발산하고, 살금살금 다니고, 튀어나온다. 그리고 움벨트는 (우리가 가격표와 상표가 붙은 물건들에서 벗어나기만 한다면) 마음껏 쓸 수 있으며, 생명의 세계에 대한 움벨트의 전체적이고 풍성한 시각을 한껏 흡수할 수 있는 우리의 것이다. 우리가 구찌와 베르사체에서, 맥과 피씨에서, 에디 바우어와 바나나 리퍼블릭, 허머와 포드와 폭스바겐에서 벗어나 생명있는 존재들에게 돌아가려면 약간의 재훈련은 필요할 것이다. 아기들에게 더 잘 가르칠 수 있을 만큼 우리가 먼저 충분히 배워야겠지만, 희망은 영원히 솟아나며 또 그래야 한다. 한결같이 어서 생명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 세계의 굶주린 움벨트의 허기를 채워주고 싶어 하는 작은 사람이 새로 한 명씩 태어날 때마다 우리에게는 또 한 번의 기회가, 생물에 대해 열렬히 배우고자 하는 또 한 명의 존재가 생겨난다. (393)
마지막 챕터의 제목이 "과학을 넘어"이다. 과학을 이해하는 사람은, 과학 너머의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통적인 분류학의 거장으로 이 책에 자주 등장하는 Ernst Mayr의 책이 집에도 있기에 같이 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