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메이 아줌마 (반양장) 사계절 1318 문고 13
신시아 라일런트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사계절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없이 친척의 집을 전전하며 지내고 있던 여섯살 여자 아이 서머는 어느 날 메이 아줌마와 그녀의 남편 오브 아저씨에 의해 웨스트버지니아의 숲속의 집으로 와서 메이 아줌마와 오브 아저씨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으며 행복한 시절을 보내게 된다. 서머가 열두살 되던 해 어느 날 메이 아줌마는 돌아가시고, 오브 아저씨는 메이 아줌마에 대한 그리움으로 정상적인 일상 생활을 못하고 있고 서머 역시 생활의 중심이 빠진 듯한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 책은 이렇게 돌아가신 메이 아줌마에 대한 회상과 그리움으로 시작된다. 아무도 돌보지 않으려고 하던 여섯살 어린 아이를 작은 천사라고 여기며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그 아이로 하여금 이곳이 천국이라고 여길만큼 따뜻한 사랑으로 키워주고, 남편의 마음 속에 자신의 빈자리를 그토록 크게 남기고 떠난 메이 아줌마로부터, 사람이 한 평생을 살고 떠나면서 무엇을 남기고 갈수 있는지를 생각한다.

이 책을 쓴 신시아 라일런트는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으로 웨스트버지니아의 산마을에서 할머니와 할아버지 손에서 자랐다고 한다. 작가의 경험이 바탕이 되어 쓰여진 이 책은 미국에서 1993년 뉴베리 상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상을 받은 작품이다. 흥미진진한 스토리도 아니어서 길지 않는 분량을 읽으면서도 다소 지루한 감까지 있었고 화려한 수사여구로 쓰여진 것도 아닌 이 책의 진가는,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 읽는 사람에게 조용히 전달되는 그것, 즉 사람이 남기고 갈수 있는 것, 살아있는 동안 사람이 추구하며 살아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데에 있음일 것이다.

--------------------------------------------------------------------------------



 

 

 

저자의 이름이 낯익다 했는데 오늘 우연히 아이의 수첩을 보니 삐뚤빼뚤한 글씨로 신시아 라일런트의 11월 이라고 적혀 있다. 도서관에 반납하기 전, 제목이라도 어디에 적어놓으라고 내가 시켰던 기억이 난다. 사람들로부터 별로 주목받지 않는 달 11월을 주제로, 이 책 역시 말이 무척 절제되고 그림이 가득한 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19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이 세상에 남기고 갈 수 있는 것은 무언지 생각해봤어요.
비도 오는데 더욱 철학적이 되네요.

hnine 2007-07-19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세상에 남기고 갈수 있는 것...무거운 주제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