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Need Social Science, Not Just Medical Science, to Beat the Pandemic

Human behavior and social inequity are huge confounding factors


by Nicholas Dirks on March 20, 2021






미국에서 발행되는 과학잡지 Scientific American 2021년 3월호에 실린 기사이다. 

저자는 미국 UC Berkeley 역사, 인류학과 교수이자 뉴욕 과학학술원장으로서, 전세계적유행병을 퇴치하는 답은 과학이나 의학이 쥐고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이하는 제가 위의 기사를 발췌 번역해본 내용입니다.)

===================================================================




백신이 나왔어도 바이러스 제압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느냐는 인간의 대응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의학적 도구만 가지고는 바이러스 제압이라는 크나큰 도전을 수행해나갈 수 없다. 사회과학과 행동과학이 과학과 함께 자리해줘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과학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겠지만, 역사적인 예나 인류학적인 예를 보나 요즘 일어나고 있는 전세계유행병에 대응하는 일치하지 않는 반응을 보나 그렇지 않다. 

1918-19년에 스페인 독감때의 경험에서 우리는 배웠어야 했다. 그때 어떤 도시는 바이러스 전파 제압이 더 잘 이루어진 반면 어떤 도시는 그렇지 못하여 결국 지구상의 오천만이 사망하였다. 정부에 대한 불신과 과학에 대한 불신이 합쳐진 결과 마스크착용으로 독감을 제압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큰 혼란을 겪었고, 의학적 조언에도 불구하고 많은 미국인들은 마스크 쓰기를 거부할 뿐 아니라 마스크 착용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에 참여하기까지 했다.

1950년대 소아마비 유행병은 또하나의 가르침을 주는 예이다. 표면적으로는 과학정책, 의학정책의 성공적 사례로 보기 쉽지만 사실은 지금 우리가 COVID에서 보고 있는 것과 매우 유사했다.

1954년 아이젠하워 정부는 모든 어린아이들이 개발 진행중인 폴리오 백신을 접종해야한다고 선포는 했지만 실제로 연방정부 차원에서 그것을 실행할 어떤 일관적 계획도 없었다. 더구나 백신 제조 과정의 질적 수준에 대한 감독도 이루어지지 않아서 일부 어린아이들이 아프거나 사망하였다. 전 국가 규모로 접종하기에 제한된 재원도 문제였다. 1955년 아이젠하워가 소아마지 예방접종 강령에 서명하고 나서야 충분한 연방 기금이 확보되었다. 이러한 대규모 혼란은 이후 대중의 불신을 완화시키는데 수년이 걸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사회학자인 Alondra Nelson이 새로이 과학기술정책국의 부원장으로 임명되면서 말하기를 전세계적유행병은 우리 사회를 비춰주는 거울과 같아서 우리가 허용하고 있는 사회 불평등의 고착화를 반영해주고 있으며 과학은 하나의 사회 현상이라고 하였다. 이말이 의미하는 것은 과학은 그것이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현실적 통찰력을 요구할 뿐 아니라 과학은 또한 사회적인 힘과 의미와의 관계에 따라 위조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회과학은 우리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사회적 반응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회과학은 과학이 사회적 편견과 이해관계를 알고 있도록 우리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인간의 행동은 인간의 지식이 늘어갈수록 함께 발전하고 진화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지식을 해석하는 각자의 방식의 지배를 받는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팽배해져가면서 새로운 지식은 종종 잘못된 정보에 의해 압도되고 우리를 혼란에 빠뜨려 음모론이나 대체사실 (alternative facts)에 쉽게 접근하도록 만든다. 과학의 발전이 새로운 의약을 만들어내는 것 뿐 아니라 더 건강하고 더 정당한 세상으로 이끌수 있도록 과학과 사회과학이 서로 상부상조할수 있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1-03-24 18: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러고 보면 참 인간은 안 바뀐다는 생각이 들어요.
스페인 독감의 예를 봐서라도 이번엔 세계가 공조하면
잘 넘길 수도 있을텐데 여전히 과학과 정부를 의심하고
마녀사냥이나 하고 앉았으니...
가장 모범을 보여야할 미국이 코로나 때문에 혐오범죄만 늘어가고 있으니
어떻게든 극복할 생각은 안하고.
이게 모두 트럼프 때문이어요. 흐~ㅋ

hnine 2021-03-24 23:14   좋아요 4 | URL
과학이 아무리 잘 드는 칼날을 만들어낸다고 해도 칼자루를 쥐고 있는 것은 결국 과학이 아닌 다른 실체일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러니 과학자는 과학자로서의 할일만 다 함으로써 끝나는게 아니라 과학이 제대로 이용될수 있도록 사회과학등 다른 분야와 함께 테이블에 앉아야 하지 않겠느냐는 저자의 의도에 깊이 공감하여 기사를 옮겨보았어요. 이번 코로나에 미국이 보여준 대응방식은 너무나 상식 밖이었는데 저자의 말처럼 그것은 미국사회를 보여주는 거울이라고 생각하니 코로나가 아니라 다른 어떤 재해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반응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네요.
과학, 종교, 사회과학, 역사, 인류학, 등등 인간이 관련된 모든 분야는 적대할것이 아니라 협력을 해야한다는 마무리가 그냥 흘려들을 말이 아닌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