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고독 흰 고독
라인홀트 메스너 지음, 김영도 옮김 / 이레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산은 모든 사람에 대한 대답을 가지고 있다.

그곳에는 매일 새로운 해답이 있다.

 

 

-라인홀트 메스너-

 

 

자식을 둔 엄마로서 나중에 그 아이가 무엇을 직업으로 택하든 존중하겠지만 두 가지만 안해주었으면 하는 직업이 있었는데 화이터와 산악인이었다. 취미가 아니라 직업이란 평생 해야하는 일인데, 조마조마함은 둘째 치고 너무 고독하고 처절해보였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라인홀트 메스너는 1944년 이탈리아 남부 티롤 태생의 산악인이지만 여러 권의 책을 낸 문필가이기도 하다.

어릴 때 엄격한 아버지로부터 등산을 배웠고 아홉 형제중 동생 귄터 역시 산악인이 되었다.

1970년, 히말라야 8,000 미터 급 14좌 중 하나인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벌거벗은 산'이라는 뜻)에 동생 귄터와 함께 도전하였고, 정상을 정복하고 내려오던 중 눈사태로 동생 귄터가 실종되는 사고를 당한다 (이때의 이야기는 '벌거벗은 산'이라는 제목의 다른 책으로 나와있다.)

이 책은 그렇게 동생을 잃고 8년 후 이혼의 아픔까지 겪고 난 라인홀트가 낭가파르바트를 단독등반으로 도전하며 쓴 기록이다. 단독등반!

8,000 미터가 넘고, 깎아지른 수직의 빙벽 높이가 수백 미터에 이르는 루트를 산소 호흡기 없이 (무산소), 피켈과 아이젠 외에 별도의 다른 특수 도구 없이 (알파인 스타일), 혼자서 (단독등반), 이 세가지 조건으로 도전한 것이다.

 

나는 산을 정복하려고 이곳에 온 게 아니다. 또 영웅이 되어 돌아가기 위해서도 아니다.

나는 두려움을 통해서 이 세계를 새롭게 알고 싶고 느끼고 싶다.

물론 지금은 혼자 있는 것도 두렵지 않다. 이 높은 곳에서는 아무도 만날 수 없다는 사실이 오히려 나를 지탱해 준다.

고독이 더 이상 파멸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고독 속에서 분명 나는 새로운 자신을 얻게 되었다.

고독이 정녕 이토록 달라질 수 있단 말인가.

지난 날 그렇게도 슬프던 이별이 이제는 눈부신 자유를 뜻한다는 걸 알았다.

그것은 내 인 생에서 처음으로 체험한 흰 고독이었다. 이제 고독은 더 이상 두려움이 아닌 나의 힘이다. (165쪽)

 

 

하지만 그는 혼자가 아니었다. 물론 그의 옆에는 아무도 없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지만 상상의 누군가와 계속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책의 곳곳에 등장한다. 그 상상 속 파트너는 수시로 라인홀트 앞에 나타나 그의 말에 대답해주기도 하고 라인홀트에게 질문도 던져주기도 한다.

삶과 죽음의 문제가 인간이 할 수 있는 궁극적인 문제인 줄 알았는데 고독의 문제가 오히려 삶과 죽음의 문제보다 더 심오한 주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는 생각을 이 책을 읽으며 처음 해보게 되었다. 그 고독은 대부분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고독의 차원이 아니라 8,000 미터 산을 오르기로 혼자 결정하고, 혼자 실행하면서 혼자 경험하는 절대고독을 말한다.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이 내 안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어떤 일이든 완전히 혼자 힘으로 해내겠다는, 마지막까지 혼자서 해내겠다는,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싶다는 그러한 갈망은 낭가파르바트 단독 등반을 마친 후 더 강해졌다. 이것은 모든 능력을 가지고 싶다든가 어떤 일이건 반드시 해내겠다든가 하는 욕구라기보다는 오히려 스스로 완전히 홀로 서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었다. 나는 내 안에서 안식을 찾고 그 안에 있고 싶었다.

나는 때때로 명상에 잠기곤 했는데, 수수께끼로 가득한 이 세상의 모든 신비가 내 안에 있다는- 모든 비밀에 대한 물음과 대답이 내게 있다는- 생각이 마음속 깊이 자리 잡았다.

다시 말해서 내 안에 삶과 죽음의 시작과 끝이 함께 있는 것같이 느껴졌다. (244, 245쪽)

 

 

그동안 나는 고독이란 말을 너무 흔하게 쓰지 않았던가?

이 책의 키워드는 산도 아니고, 정복도 아니고, '고독'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0-08-10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스너. 어려서 많이 듣고 자란 이름입니다. 저희 집(이라기보다 외가집)이 그 염병할 산악인을 좀 배출했습니다. 그들을 보고 전 산에 안 다니기로 했고요. 어찌 그리 다 사회부적응자들인지....
그래도 정말정말 오랜만에 듣는 이름이라 반갑습니다. 추억은 언제나 그렇게 조금은 누추한 것인가 봅니다. ^^;;

hnine 2020-08-10 21:14   좋아요 0 | URL
와, Falstaff님. 메스너란 이름을 어려서 많이 듣고 자라셨다니 분위기가 짐작되네요. 듣고 자라셨으니 그 분야를 미워하면서 안보이게 정도 깊겠어요.
댓글의 마지막 문장을 자꾸 읽어보게 됩니다. 추억은 언제나 그렇게 조금은 누추한 것. 멋진 말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