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내 운명 - 번역이 좋아 번역가로 살아가는 6人6色
이종인 외 지음 / 즐거운상상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어떤 분야의 일에 대해 관심이 갈 때 제일 해보고 싶은 것 중의 하나는, 그 일을 현재 하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그 일에 대한 얘기를 듣는 것이리라. 번역에 관한 책들을 검색해보니 번역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을 담은 책들은 꽤 나와 있었으나, 번역가라는 직업에 관해 번역가들이 이렇게 직접 설명한 책은 많지 않았다. 최 정화님의 책 중에 그런 자전적 내용의 책이 있었고, 그 외에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책은 현재 활발하게 번역 활동을 하고 있는 여섯 명의 번역가들의 얘기로 묶어진 책으로 2006년에 나왔으니 비교적 최근의 번역계 상황을 엿볼 수도 있었다. 여섯 명의 저자들은 다 달라도 공통적으로 하고 있는 말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공통적인 것은, 이들 모두 어쩌다 보니 번역을 하게 되었다기 보다, 번역이라는 일 자체를 모두 사랑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에서의 지명도가 어떻든, 보수의 낮고 높음을 떠나, 언어의 세계를 탐구하고 파헤쳐가는 이 일을 하면서 행복을 느낀다고 말하는 점이다. "너, 번역해서 먹고 살수 있어?"라고 친구들이 물어올 때면 서슴없이 "먹고 살수 있다!"고 말한다고 한다 (강 주헌). 힘들다, 번역료가 낮다 하면서도, 다시 태어나도 이 일을 할거라고 한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직업이라고 한다 (권 남희). 또한 쉽게 심판대에 오르는 오역의 위험에 대해, 송 병선은 오역을 걱정하는 번역가는 절대로 번역을 할 수 없다며 오역을 두려워 말라고 격려한다. 번역은 가장 세밀한 독서 방법이라니, 책을 좋아하고 글쓰기, 또 글이 주는 매력을 아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고픈 욕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눈 돌려 볼 만하지 않은가. 물론, 그것이 시발점이 될 지 언정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내일 죽을 것처럼 기도하고, 백 년 살 것처럼 공부하라는 말이 책 중에도 나온다. 하루에 8-9시간을 한가지 일에 매달릴 수 있는 끈기와 노력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보여주는 공통적인 모습이리라. 이제는 더 이상 번역이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겨 적는 일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할지라도 번역이라는 작업은 단시간에 이룰 수 없는 거대한 탑을 꾸준히 쌓아 이루어지는 독특하고 치밀한 일임에 틀림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씩씩하니 2007-02-01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역,,그거 증말 무서울꺼 같아요,,,
아,,님이 하고 싶은 일이..무엇인지.알구가요~~~ 저 눈치 빠르지여???

hnine 2007-02-01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계도 한번 망가뜨려봐야 사용법을 잘 깨우친다는 말과 통하는 것 같아요. 뭐든 실수를 지나치게 두려워하면 일의 진도가 느리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