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피아빛 초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6
이사벨 아옌데 지음, 조영실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은 열세 살 때 구식 감광판 대신 종이를 쓰는 현대식 카메라를 선물받는다. 그것은 코닥 카메라 기종이었는데 '나사못 하나하나가 무척이나 정교하고, 우아하고 부드럽고 완벽한 예술가용 카메라' 라고 표현한다. 밤새 악몽에 시달리던 주인공에게 "어디 네가 너의 악몽의 어둠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는지 보자꾸나"(p275) 라면서 선물해준 이 덕분에, 내내 악몽에 시달리던 주인공에게 몇 달 동안의 유일한 목표가 되고, 악몽을 밝히려는 집념에 매달리다가 세상을 사랑하게 되었노라고 고백하는 주인공.

할머니는 사진을 배우게 하려고 사진사에게 주인공을 데려간다. 사회면 기사의 인물사진을 주로 찍어온 사진사가 찍어놓은 다양한 연령대의 수백 장의 초상을 보며 이런 생각도 한다.

스튜디오의 벽에서 나를 쳐다보는 사람들은 우쭐해하는 상류층도 세상에 데뷔하는 미녀들도 아니었다. 그들은 인디오, 광부, 어부, 세탁소 아낙네, 가난한 아이들, 노인들, 그리고 할머니가 '귀부인 클럽'의 융자금으로 구제해 주곤 했던 그런 여자들이었다. 거기에는 고통받는 다양한 칠레의 얼굴들이 있었다. 초상화 속의 얼굴들이 내 가슴을 뒤흔들었고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를 알고 싶어졌다. 가슴을 주먹으로 얻어맞은 듯한 압박감과 울음을 터뜨리고 싶은 억누를 수 없는 욕구를 느꼈다.

- p276

세피아빛 초상

Retrato en Sepia

이사벨 아옌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 406

민음사

짧은 지식 내에서 카메라를 들고 있는 여성을 떠올리면 비비안 마이어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내게 있어서 비비안 마이어는 아이의 그림책을 함께 읽다가 알게 되었던 인물인데, 마침 이번에 관련된 책도 읽고 있던 참이었다. 문득 주인공 아우로라 델 바예와 비비안 마이어가 서로 겹쳐지는 기분이랄까.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영부인 선물도서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피아빛 초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6
이사벨 아옌데 지음, 조영실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우로라 델 바예, 원래 이름이 리밍이었던 주인공이 '두 선량한 부인들, 즉 엘리사 소머스 할머니와 파울리나 델 바예 할머니가 내 양해를 구하지 않고 내 운명을 결정했다는 건 참으로 유감이다' 라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두 할머니들은 전작 『운명의 딸』 에 나오는 인물들이다. 그리고 『세피아빛 초상』의 주인공은 엘리사의 딸과 파울리나의 아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다.

Retrato en Sepia

이사벨 아옌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 406

민음사

전작 『운명의 딸』 의 주인공은 엘리사였는데, 이번 『세피아빛 초상』에서는 파울리나의 존재감이 더 크다. 주인공은 파울리나에 대한 첫인상을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파울리나 할머니는 열아홉 살 때 머리를 몽땅 밀리고도 애인과 달아나려고 수녀원에서 도망치던 놀라운 그 결단력과, 스물 여덟에 선사 시대에 만들어진 얼음덩이를 배로 운반해서 엄청난 부를 주무르던 그 배짱으로 내 태생을 지우는데 공을 들였다. 운명의 실수로 마지막에 계획이 틀어지지만 않았더라면 그 일은 성공했을 것이다. 내가 그녀에게 받은 첫인상은 지금도 선명하다. 나는 언덕 위에 있는 대저택에 들어가 거울처럼 맑은 물과 가지치기를 한 관목들이 있는 정원을 가로질러 갔다. 양쪽에는 실물 크기만 한 청동 사자가 있는 대리석 층계와 짙은 색 목제 이중문이 있고 지붕을 장식한 장엄한 원형 천장의 색유리 아래로 어마어마한 홀이 빛나고 있었다. 이전에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그 광경에 두려움과 동시에 환희를 느꼈다. 나는 곧 원형으로 부조된 금도금 소파 앞에 섰고 소파에는 파울리나 델 바예가 여왕처럼 앉아 있었다.

-p182

'중국 혈통의 과거로부터 완전히 떼어놓을 필요가 있는 괴상한 손녀딸이 치마폭에 들어왔고'(p191), 손녀를 칠레 아가씨로 만들 생각이었기에 파울리라는 칠레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칠레에 도착한 후의 이야기가 더욱 궁금해지는 중.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영부인 선물도서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볼루션 - 어둠 속의 포식자
맥스 브룩스 지음, 조은아 옮김 / 하빌리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수소설 마니아라면 더욱 읽어봐야할 소설이다. 크리쳐 SF 라는 서브 장르. 에일리언 같은 새로운 크리처들이 등장하는 소설의 대가인 맥스 브룩스의 신작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피아빛 초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6
이사벨 아옌데 지음, 조영실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칠레를 대표하는 세계적 작가 이사벨 아옌데의 소설 「세피아빛 초상」은 「영혼의 집」, 「운명의 딸」을 잇는 3부작의 마지막 편으로, 여섯 세대에 걸친 여성들의 역사를 완성하는 작품이다.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 의 여성판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세피아빛 초상

Retrato en Sepia (2000년)

민음사 세계문학 - 406

이사벨 아옌데

민음사

 

 

책들이 출간된 시기별로 보면 「영혼의 집」(1982) , 「운명의 딸」(1999), 「세피아빛 초상」 (2000) 의 순서다. 그런데 책을 펼쳐 읽다보니 등장하는 낯익은 이름들!! 등장인물의 연대기로 보면 「운명의 딸」, 「세피아빛 초상」 , 「영혼의 집」 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내 유년 시절의 오랜 비밀들을 밝혀 내 정체성을 찾고 나만의 전설을 만들기 위해 글을 쓴다. 우리가 온전히 소유할 수 있는 것이라곤 결국 우리가 엮어놓은 기억뿐이다. 각자 자기 역사를 이야기하기 위핸 빛깔을 고른다. 나는 백금 사진의 영구적인 선명함을 고르고 싶다. 그러나 내 운명에는 그런 빛나는 구석이 조금도 없다. 나는 모호한 색깔들과 불분명한 미스터리, 불확실성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내 인생의 이야기는 세피아빛 초상의 색조를 띤다.

 

1862년에서 1910년까지 화자인 아우로라 델바예가 서른 살이 되어 가족과 자신의 기억, 복잡한 가정사, 그리고 사진을 통한 기록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른 소설 속에서 자전적 이야기들을 담아왔던 작가이기에 작가에 대해 먼저 찾아보게 되는 시간.

 

이사벨 아옌데 (Isabel Allende)

 

1942년 페루 리마에서 태어났다. 1945년 아버지가 행방불명되어 외가에서 살다가, 어머니의 재혼 이후 외교관인 의붓아버지를 따라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성장했다. 1958년 칠레로 귀국하여 산티아고에 정착, 대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기자, 편집자, 희곡 작가 등으로 활동했다.

 

“당신은 이 나라 최악의 기자임에 틀림이 없소. 객관적이지도 못하고 사사건건 끼어들려고만 하지. 내가 보기에는 당신이 거짓말도 꽤 하는 것 같던데. 아마 기삿거리가 없으면 꾸며서라도 낼 걸. 차라리 소설이나 쓰는 게 더 낫지 않겠소? 문학에서는 그런 결점들이 장점이 되니까.”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열일곱 살에 언론계에 뛰어들어 잡지의 기사와 텔레비전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었던 삼십대 초반의 기자 이사벨 아옌데는 1973년 파블로 네루다의 칠레 해안가 별장에 초대를 받았다. 건강 악화로 파리 대사 직책도 그만두고 마지막으로 시를 쓰고 있었던 파블로 네루다는 인터뷰를 요청하는 이사벨 아옌데에게 면박을 줬다. “나를 인터뷰하겠다고? 나는 절대로 그런 거는 안 하오.” 파블로 네루다는 이사벨 아옌데에게 차가운 일갈을 던지며 “차라리 소설”을 쓰라고 조언했다. 자신의 고언이 훗날 세계 문학사에 어떤 기여를 하게 될지 파블로 네루다는 알고 있었을까? 이사벨 아옌데는 파블로 네루다에게 바로 응답할 수 없었다. 소설을 쓰기까지 그녀에게는 시간이 필요했다.

출처 : 경향신문, (6)슬픈 가족사 털어 놓듯…‘세상 변화 이끈 여성들’ 작품으로 쏟아내다

 

 

1973년 삼촌인 살바도르 아옌데 칠레 대통령이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쿠데타에 의해 실각함에 따라 그녀의 이름이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른다. 활동에 급격한 제한을 받게 되자 1975년 베네수엘라로 망명을 떠나고 그곳에서 십삼 년을 거주했다. 그때부터 아옌데는 작가 활동을 시작하면서 인생의 전환기를 맞는다.

 

 

1981년 외할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그에게 보내는 편지를 쓰는데, 이를 토대로 탄생한 작품이 첫 소설인 『영혼의 집』이다. 4대에 걸친 가족사를 다룬 이 작품은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완벽한 소설”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이 작품으로 문단에서 입지를 굳힌 아옌데는, 이어서 『사랑과 어둠에 관하여』, 『에바 루나』 등을 발표하면서 명성을 쌓아 가다가, 1991년 식물인간이 된 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자전적 소설 『파울라』를 완성하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했다.

 

2000년 아옌데가 작품의 시대와 장소를 확장하여 야심적으로 계획한 『세피아빛 초상』은 『영혼의 집』(1982), 『운명의 딸』(1999)과 삼부작을 이루며 아옌데 문학의 정수를 보여 준다. 영화와 연극, 발레 등으로도 만들어져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19년 칠레의 현대사를 그린 장편 소설 『바다의 긴 꽃잎』을, 2022년 『비올레타(Violeta)』 를 발표했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다.


*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영부인 제공도서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뷔히너 전집 열린책들 세계문학 247
게오르그 뷔히너 지음,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뷔히너 전집』 에 수록된 당통의 죽음(Dantons Tod). 

4막으로 구성된 『당통의 죽음』에는 당통과 로베스피에르가 등장한다. 게오르그 뷔히너는 『당통의 죽음』 에서 프랑스 대혁명의 마지막 국면, 즉 당통과 로베스피에르가 서로 첨예하게 대치하다가 로베스피에르 일파에 의해 당통을 비롯한 그의 동료들이 처형당하기까지의 약 10일 남짓한 기간을 그리고 있다. 


 

뷔히너 전집 

Gesammelte Werke (1837년)

게오르그 뷔히너

열린책들 세계문학 - 247

열린책들

 

역사 속에서 소재를 취하고, 역사 기록 속에서 일부 텍스트를 발췌하기도 한 작품이기에 역사와 실존 인물을 알고 있다면 작품이 더욱 재미있게 다가온다.

 


조르주 자크 당통(Georges Jacques Danton)

프랑스 혁명기의 정치가이다. 샹파뉴에서 출생한 그는 로베스피에르, 마라와 함께 '프랑스 대혁명의 3거두'라고 불린다. 법률을 공부하여 변호사가 되었다가 혁명이 일어나자 지도자로서 활약하였다. 웅변가로서도 알려졌으며, 특히 “적을 쳐부수기 위해서는 하나에도 용기, 둘에도 용기이다.”라고 한 연설은 유명하다.

1790년 자코뱅당에 가입하여 혁명 재판소를 설치하고 왕당파를 처형하였다. 그러나 로베스피에르와 뜻이 맞지 않는 일이 잦았고 결국 1794년에 전세가 호전되기 시작하자 3월부터 시작된 혁명 세력 내의 중도파, 우파에 대한 탄압 중에 "외국인과 결탁하여 뇌물을 받고 반혁명 세력을 도와 준 혐의"로 혁명 재판을 받고 단두대에서 처형당했다. 단두대로 나서는 길에서 로베스피에르의 집 앞을 지나다가 "로베스피에르 다음은 귀하의 차례다!"를 외치며 끝까지 당당한 태도로 처형되었다고 한다.


 

(왼) 조르주 자크 당통(Georges Jacques Danton, (오) 막시밀리앵 프랑수아 마리 이지도르 드 로베스피에르(Maximilien François Marie Isidore de Robespierre)


막시밀리앵 프랑수아 마리 이지도르 로베스피에르(Maximilien François Marie Isidore de Robespierre)

프랑스의 부르봉 왕조와 프랑스 대혁명기의 정치인, 철학자, 법률가, 혁명가, 작가이다. 프랑스 혁명을 주도한 혁명 정치가로, 법학자이기도 했다. 공포정치를 행하다가 되려 테르미도르의 쿠데타로 반대파에 의해 처형당했다.

파리의 르그랑 학원(Lycée Louis-le-Grand)에서 수학한 후 1781년 아라스에서 변호사를 개업하여 변호사로 활동했고, 루이 16세 및 마리 앙투아네트 등 왕실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1789년 시민층의 지지를 받아 3부회 의원에 피선되고, 국민 의회에서는 제한 선거의 철폐, 봉건제 폐지, 영주(領主)와 귀족이 사사로이 탈취한 토지반환 운동 등을 주관하였다. 18세기 계몽 철학가 루소와 몽테스키외의 이상을 목표로 한 자코뱅 당의 창당에 참여했고 후에 당내 급진파의 지도자로 활약했으며, 프랑스 대혁명 후 1793년 공안위원회(公安委員會)를 장악했다. 사실상 독재자로서 프랑스를 지배했고 숙청을 통한 공포 정치로 많은 반대파를 단두대에 보냈기 때문에 “루소의 피로 물든 손”이라고 칭해졌다. 1794년 테르미도르 반동 때 조제프 푸셰에게 축출되어 그 자신도 단두대의 희생양이 되었다.

 

역사도 공부하고, 실존 인물에 대해서도 알아두고 읽기 시작.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영부인 선물도서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