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이란 정말 신뢰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니 증인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사건을 재구성하고, 그에 따라 판결을 내리는 재판이란 얼마나 많은 허점을 갖고 있을까 하는 생각까지 든다. 책 내용에 관한 기억은 더더욱 신뢰할 수가 없다. 호들갑을 떨며 재밌게 읽었던 책도 주인공의 운명들이 내맘대로 재구성되곤 하니까. 실제로는 두 연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나는 그저 그 둘이 너무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었나보다.

오랜만에 '위대한 개츠비'를 다시 읽었다. 처음엔 하루키 때문에 읽었고, 그때는 줄거리만 따라가며 주관도 없이 재미있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근데 두 번째 읽을 때는 뭐가 재미있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자신에게 솔직해지자고 생각했다. 그리고 세 번째 읽으면서는 이 소설 굉장히 어렵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데이지에 대한 개츠비의 사랑의 정체성을 따지기 이전에 일단 문장들이 너무 모호하고 어려웠다. 처음에는 정현종 시인의 번역본으로 읽다가, 아무리 읽어도 의미가 잘 들어오지 않는 부분은 친구에게 선물받은 방대수 씨의 번역(책만드는 집,2001)과 원서를 대조하며 읽었는데, 정말 귀찮았지만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다.

처음 두 번의 독서에서는 굉장히 건조한 소설이라는 느낌을 가졌었는데, 내가 쉽게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을 짚어보니, 그 문장들은 공통적으로 자연환경이나 밤의 분위기, 미소 따위에 대한 세부적이고 시적인 묘사였다. 그런 것들은 관찰력이 뛰어나거나 평소 그런 것들에 섬세한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잘 이해하기 어렵고, 또 읽으면서도 딴생각이 들게 되는 부분이다.

그런데, 두 개의 번역본을 비교해서 읽고나니 번역의 스타일에 따라 글이 얼마나 다르게 읽혀질 수 있는가를 새삼 느꼈다. 정현종 시인의 번역은 호흡이 짧고 에둘러 번역했다 해야할까, 그래서 의미가 좀 한 번에 확 들어오지 않는 부분이 있었고, 또 애석하게도 오역도 여러 군데 있었다. 그리고 방대수씨의 번역은 의미를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해서 의미는 잘 들어오지만, 원본에는 없는 자의적 해석이 들어간 곳이 약간 보였다. 그 중에 재밌었던 부분이 있었는데, 먼저 정현종 시인의 번역을 읽고서 대체 저 '바람통'이란 것이 뭘까하는 의문을 가지게 됐다.

나무들을 뒤흔드는 그 날개 소리와 땅의 충만한 바람통[오르간의 바람통이라는 말을 전용했음]들이 개구리에게 생명을 가득 불어넣어 부풀게 하듯, 바람은 계속 오르간 소리를 내며 시끄럽고 밝은 밤을 연주하고 있었다. (정현종 역, 문예출판사, 35쪽)

역자는 친절하게도 '오르간의 바람통이라는 말을 전용했음'이라고 주석을 달았지만 어쩐지 내게는 시원한 설명이 되지 못해서 방대수 씨의 번역을 읽어보았다.

마구 불어대던 바람은 잠잠해지고 밝고 시끄러운 달밤이 되었다. 숲에서는 새들이 날갯짓하고 대지의 힘을 한껏 빨아들여 풍선처럼 부푼 팔딱팔딱 생명이 고동치고 있는 개구리가 목청껏 오르간을 연주하고 있었다. (방대수 역, 책만드는집, 45쪽)

도움을 얻으려던 것이었는데, 나는 오히려 더 혼란스러워지고 말았다. 여기서는 '개구리가 목청껏 오르간을 연주하고 있었다'. 분명 의미상으로는 바람 소리가 마치 울음주머니를 한껏 부풀려 우는 개구리 소리가 바람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오르간 소리에 '비교'되는 것이 맞는 것 아닐까. 그래서 원서의 같은 부분을 찾아보았다.

The wind had blown off, leaving a loud, bright night, with wings beating in the trees and a persistent organ sound as the full bellows of the earth blew the frogs full of life. (25)

이렇게 두 단계를 거치고 나니 그 밤의 장면이 조금 쉽게 그려졌다. 상황이 머릿속에 그려지면 말을 만들기도 훨씬 쉬워지는 것 같다. 나름대로 위의 문장을 번역해 보자면, "새들이 날갯짓으로 나뭇가지를 흔들고 생명력 충만한 개구리들이 대지를 울음소리로 가득 채우듯, 시끄럽고 환한 밤을 뒤로한 채 바람은 계속해서 오르간 소리를 내면서 불고 지나갔다."

문장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부분들은 '재의 계곡'을 묘사하는 부분 외에도 아주 많았다. 그건 아마도 그 묘사의 대부분에서 특이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비유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내가 온전히 그 의미를 느낄 수 없는 것이 안타까울 정도로 아름다운 묘사도 많은데, 그 중에서 개츠비와 데이지가 처음 만났던 어느 가을날 밤에 대한 묘사는 매우 감각적이다.

집들의 고요한 불빛이 어둠 속으로 울려퍼지고 별들이 움직이며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들리는 밤이었다. 개츠비는 그의 눈가로 비쳐드는 시야 속에 보도 블럭이 정말 사다리가 되어 나무들 저 위의 신비한 곳으로 걸쳐져 올라가는 것을 보았다. (정현종, 161쪽)

경험으로 비추어 이런 느낌은 가을보다는 한겨울 밤이 더 쉽게 상상되는데, 아무튼 이 장면은 개츠비가 처음으로 데이지에게 키스하기 직전의 광경이다. 저것은 그야말로 사랑에 홀린 사람의 눈에만 보이는 환상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너무도 꿈만 같았기에, 개츠비의 죽음은 대조적으로 너무나 비참했다. 두 번의 독서에서 개츠비의 사랑에 초점을 두었다면 -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 이번에는 그의 죽음이 더 크게 와 닿았다. 더 정확하게는 그의 죽음 이후의 상황들 말이다. 그는 정말 '위대한'이라는 수식을 받을만 했을까. 아니, 그렇게 외롭게 죽어간 그가 그깟 '위대한'이란 수식어에 편히 눈을 감을 수 있었을까. 그 위대한 개츠비가 우리에게 남겨준 건 세상은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에도 비열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것일 뿐. 그래도 위안을 삼아야겠다면, 이 비열한 세상에서 어차피 죽을 바에야 사랑에 모든 걸 바친 그는 그래도 행복한 사람이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사랑이 성취되었건 아니건 간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7-24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20년 전에 읽었네요. 수업을 하면서요.. 미문이 많았던 기억이 어렴풋합니다. 정말 번역의 묘미란~~

부엉이 2006-07-24 0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번역서만 읽고, 또 한 번만 읽고 그 책을 다 읽었다고 말하기가 부끄럽게 느껴졌어요.

marine 2006-09-30 2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대로 된 책을 읽는다는 건 어쩌면 거의 불가능한 일이 아닐까, 이런 절망감이 드는군요^^

부엉이 2006-10-02 2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책을 만드는 사람 입장에 서고 보니, 정말 더더욱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비로그인 2006-12-15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위대한 개츠비'
미아 패로와 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연을 맡았었지요.
개츠비의 죽음과 냉정한 여인의 태도에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나그네 2009-06-30 0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을 보다가 내용이 어려운 부분이 많아 혼돈스러웠는데 위의 설명을 읽고 나니 저으기 위로가 됩니다.
 

 

                                                     

 

소유에서 집착의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나는 이짓이 하고 싶었다. 이렇게 되면 헌책방에는 이 장을 뜯어내고서밖에 팔 수 없을 거다. 하긴 책을 팔겠다는 생각은 한 번도 안해봤지만. 뭐든 한 번 가지게 된 건 팔아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적이 없다.
이짓은 책의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이 책에 대한 진정한 소유라고 가정할 때, 어쩌면 영원히 이루어지지 못할 소유에 대한 불안감에서 나온 행동일지도 모르겠다.
예상한 것보다 도장을 찍어야 할 책이 많다는 것을 알고나서, 내가 마치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전봇대나 벤치 아래 열심히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 개가 된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책을 읽다가 문득 이 면을 펼쳐서 저 흔적을 확인하곤 하면서, 내가 살면서 뭔가에 대한 소유를 끊임없이 확인했던 적이 있었나를 생각해봤다. 일상적인 물건들은 자매들 사이에서 자랐기 때문에 거의 공동소유나 다름 없고, 옷 같은 경우에도 각자의 취향과 조금씩 다른 사이즈 차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소유자가 정해져서 니꺼내꺼할 필요성을 별로 못느꼈다. 내 필요에 의해 물건을 살 때도 어느 정도는 가족들 중 누군가가 써야할 경우를 생각하며 사게 된다. 그 외에 내가 독립을 하게 되면 꼭 가져가고 싶은 물건은 기껏해야 논문쓰면서 장만한 스탠드 정도?
그치만 책만은 언니 꺼, 내 꺼, 동생 꺼, 확실하게 갈라서 가져갈 것이다. 책은 내가 가족들 중 누구도 배려하지 않고 - 엄마에게 선물한 책을 제외하고 - 온전히 내 취향에 따른 것이고, 내 동생이 아무리 자신은 '호밀밭의 파수꾼'에서 재미를 못느끼겠다고 해도, 내가 동생으로서 널 사랑하는 이유가 그 책에 담겨있기 때문에 나는 그 책을 좋아한다고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솔직히 우리집 식구들 중에 내가 이런 짓을 한다고 해서 야박하다 할 사람은 없다. 스스로 좀 유별나다는 생각이 드는 건 물질에 집착하는게 죄악이라는 인식이 무의식 중에 자리잡고 있어서인가보다. 그렇다하더라도 내가 뭐 책으로 집을 짓는 가학적 수준에까지야 이르겠는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7-24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님의 실명을 알게 되었네요. 책도장도 이름도 참 깔끔하고 어여쁘네요.. 님의 성정과 닮아보여요^^

부엉이 2006-07-24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항상 좋은 말씀 너무 감사드려요~^^ (칭찬 들으면 요즘 마냥 좋은..)
 

 

 

 

 

 

 





얼마 전부터 나는 '파르마의 수도원' 2권을 화장실 수건더미 위에 놓아둔 채, 어쩐지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 이 책을 화장실 갈 때마다 틈틈이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동생은 책을 소리내어 읽는 버릇이 있는데, 어제는 화장실에서 책읽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물론 동생이 다른 책을 읽고 있겠거니 생각했다. 그런데 오늘 늦게까지 걷어내지 않은 이불더미에서 동생이 뭉기적거리며, "언니, 이거 재밌다!" 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나는 그 책이 약간 지루해지던 차에 동생이 재밌다고 한 말에 약간 샘이 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해서 그러냐고 맞장구를 쳐주곤, 잠시 생각한 후에 "근데 그거 2권인데..?"라고 말했다.  
순간적인 적막이 흐른 뒤 동생과 나는 와하하하 웃고 말았다. 물론 2권부터는 전권의 내용과는 약간 분리되어, 파브리스가 감옥에 갇히고 클렐리아와 애틋한 사랑을 나누는 부분이 전개되긴 하지만...
"그래도 책표지에 파르마의 수도원 2라고 써 있고, 안쪽에도 15장이라고 써 있는데 못봤단 말이야?"
동생이 어떤 면에서 조금 무심한 면이 있긴 하지만, 나로서는 "두 시간 후 가엾은 파브리스는 수갑을 차고 작은 마차에 올라 파르마 성채를 향해 출발했다."는 도입부를 보면 의아하거나 궁금증이 생겨서 표지를 확인했을 것 같다.  
내가 1권부터 읽으라고 종용했지만 동생은 끝내, 자기는 줄거리가 다 이해간다면서 여전히 2권부터 읽고 있다. 내가 산세베리나 부인과 파브리스와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고 말했더니 그런 건 알 필요 없다고 너스레를 떤다. 그래, 네가 '파르마의 수도원'에 대한 새로운 독서법을 개척해봐라, 라고 비꼬듯 말하긴 했지만 나름대로 이 책을 읽는 재밌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파브리스의 성격이 어떤지, 왜 감옥에 갇히게 되었는지 등등 스땅달이 책 한권 분량으로 서술해 놓은 정보 없이 파브리스는, 이 소설은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동생의 독후감이 기대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6-09-30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가끔 집중이 안 되는 책은 소리내서 읽어 보곤 합니다^^

부엉이 2006-10-02 2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자주 그런답니다~^^
 


꽃다운 두 생명을 앗아가고도 야속하게 햇빛이 드는구나...
어째 반갑지 않다, 저 따가운 햇살이.
하늘의 두 얼굴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 51. 폴 델보, '대화 The Dialogue'



p.52,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희생The Sacrifice'




p. 68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상상도)



p.75 카두세우스(Caduseus)





p. 81 마부제, '넵튠과 암피트리테'

Jan Gossaert (Mabuse) (1478-1536)
Neptune and Amphitrite
Oil on wood, 1516
74 x 48 5/8 inches (188 x 123.8 cm)
Staatliche Museen, Berlin


p.81 미켈란젤로,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무덤

Tomb of Giuliano de' Medici
1526-33
Marble, 630 x 420 cm
Sagrestia Nuova, San Lorenzo, Florence


p. 82 미켈란젤로, 줄리아노 데 메디치 무덤의 디테일  '낮'

Day
1526-33
Marble, length: 185 cm
Sagrestia Nuova, San Lorenzo, Florence

p. 81 미켈란젤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무덤

Tomb of Lorenzo de' Medici
1524-31
Marble, 630 x 420 cm
Sagrestia Nuova, San Lorenzo, Florence


p. 82 미켈란젤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무덤 디테일 '새벽'

Dawn
1524-31
Marble, length: 203 cm
Sagrestia Nuova, San Lorenzo, Florence


p. 82 미켈란젤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무덤 디테일 '황혼'

Twilight
1524-31
Marble, length: 195 cm
Sagrestia Nuova, San Lorenzo, Florence


p.84 로렌초 로토, '두개골에 월계관을 씌워주는 에로스', 1521년 경



p. 84 독일, '죽음의 무도'





'La danse macabre', 마리엔 교회, 베를린, 1480-1500



p.103 미켈란젤로, '최후의 심판' 디테일.





p.105 로소, '성모자와 성인들'

Madonna Enthroned with Four Saints
1518
Oil on wood, 172 x 141 cm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p.123, 돌턴, '원소들의 무게표' (John Dalton, Table of atomic weights)



p. 125 프락시텔레스, 헤르메스 상

Statue of Hermes and The Infant Dionysus, BC 330.


p.128, 카트린 드 메디시스



프랑수아 뒤부아, '성 바르톨로메우스의 대학살'

François Dubois (1790 - 1871). Massacre sainte Barthelemy
Musée Cantonal Des Beaux-Arts, Lausanne Switzerland


p.129 장 클루에, 프랑수아 1세



p. 158 연금술사 생 제르맹 백작



p.164 한스 홀바인, 헨리 8세

1536, Thyssen-Bornemisza Collection, 마드리드


티치아노, 카를 5세

1548, 프라도 미술관, 마드리드


티치아노, 프랑수아 1세

루브르 소장


프랑수아 1세의 문장, 살라맨더




p.169 menora



p.215 라파엘, 시스틴 마돈나

c. 1512-14, Gemäldegalerie, Dresden


p.217 프라 안젤리코, Coronation of the Virgin Altarpiece from San Domenico

Detail of predella: Saints Peter and Paul Appearing to Saint Dominic
c. 1434
Tempera and gold on panel
83 7/8 x 93 1/8 in (213 x 211 cm)
Musee du Louvre, Paris


p.224, 페르낭 크노프, 내 마음의 문을 잠갔네 세부

p. 361, 보티첼리, '스메랄다 브란디니의 초상'

1475년


p. 362, 보티첼리, '아기 예수를 안은 성모'

1485년


p.364, 보티첼리, 동방박사의 경배

1482년, 우피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