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매우 초록 - 어쩌면 나의 40대에 대한 이야기
노석미 지음 / 난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66쪽에 이르는 긴 이야기를 아껴 가며 읽었다. 문장마다 흙냄새가 났다. 한 편의 글이 마무리될 때마다 자연스레 계절이 흘렀다. ‘땅 구하기’로 시작해 ‘익숙한 길’로 끝나는 이야기의 곳곳에 초록이 있었다.


글을 지은 노석미 작가는 경기도 양평에 집을 짓고 고양이 씽싱이를 키우며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살고 있는 40대 여성이다. 주민들의 추억이 깃든 산에 새집이 들어온 것을, 여자 혼자 사는 것을, 또렷한 직업 없이 그림을 그리는 것을, 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이웃들과 함께. 그 안에서 자주 불편함을 느끼지만 혼자가 아닌 ‘함께’를 택한 사람의 이야기가 담백한 글과 맑은 그림으로 묶여 묵직한 책이 되었다. 산문집이면서 동시에 작품집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많은 작품이 실려 있어, 읽는 재미뿐 아니라 보는 재미도 풍성하다.

_

‘전원생활’하면 떠오르는 풍경과는 달리 작가의 삶은 분주하다. 기르고 만나는 일만으로도 하루가 금방 간다. 정원과 밭을 가꾸고, 동물과 사람을 만나는 일만으로도 300쪽이 넘는 이야기보따리가 채워질 만큼. 바쁜 중에도 매일 그리고 쓰는 일을 놓지 않고, 나를 찾아온 존재들을 소중히 기르고, 효율보다는 기쁨을 택하며 자기 몫의 생활을 성실히 꾸려나가는 작가님의 글을 읽으며, 건강한 에너지가 차오르는 기분이 들었다.


책에 실린 작품 중 <베리 그린 시리즈>(사진 1)와 <눈이 온 뒤 시리즈>(사진 2)가 참 좋았다. 글을 통해 친숙해진 양평집의 풍경을, 작가님이 매일 보는 산의 변화를 함께 보는듯한 생생함이 좋았다.

_

(332쪽) “내가 주로 하는 드라이브라는 건 그 산들 사이로 난 작은 지방 도로를 천천히 달리는 것이다. 산과 논, 밭, 작은 개울, 조금 큰 강, 그리고 드문드문 집들이 놓여 있다. 어딜 가나 이것들의 순열 조합이다. 하지만 어디를 가나 다르다. 계절마다 다르다. 날씨마다 다르고, 내 마음 따라 다르다. 그러니 질릴 수가 없는 풍경이다. 적당한 곳에 차를 세우고 그 풍경 속으로 들어간다. 혹은 그 옆에 가만히 서 있기도 한다. 이곳에서 산을 많이 그리게 되었다. 언제나 산을 그리고 싶었는데 어느 날 산을 그리고 있는 나를 깨닫는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 계절이나 다 유니크하고 아름답다. 특히 여름의 산길을 드라이브하다보면 거대한 초록색이 뚝뚝 내게로 떨어지는 것만 같다. 매우 초록. 그 쾌감은 엄청나다.”

_

여름이 다가온다. 거대한 초록색이 내게로 뚝뚝 떨어지는 것만 같은 여름의 산길을 신나게 걷고 싶다. 올여름에는 부디 조금 더 자유롭게 집을 나설 수 있기를. 아, 느끼고 싶다. 매우 초록의 그 엄청난 쾌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독임 - 오은 산문집
오은 지음 / 난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어가 모국어라서, 이 즐거운 말놀이에 나도 모르게 푹 빠질 수 있어서 다행이다, 참 좋다고 느꼈다. 산문집 <다독임>을 읽는 내내.


‘교교하다’라는 말을 발견하고서 벅찬 마음으로 노트에 적던 때가 있었다. 입시 준비로 바빠야 할 시절, 나는 ‘나만의 사전’ 따위를 만들며 즐거워하던 고등학생이었다. ‘교교하다’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 적고 그 아래 ‘교교한 달빛’을 예로 적었다. 소설을 읽다 건진 표현이었다. 교교하다, 교교하다, 교--교--. 처음 본 낱말을 천천히 발음해보며 그 소리와 의미를 익히는 순간이 좋았다. 그 말을 언젠가 꼭 써먹어야겠다고 다짐하는 내가 좋았다. 


그 후로 20여 년이 흘러 이 책 <다독임>을 만났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저자가 쓴 79편의 글은 “성별,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일상의 언어로 가득 차 있었다. 별생각 없이 쓰고 그냥 흘려들을 법한, 평소의 말들이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그 말들에서 빛이 났다. 평소와 달라 보였다. 이미 다 안다고 생각했는데 자꾸 낯설어졌다. 그래서 같은 말을 읽고 또 읽으며 소리와 의미를 다시 익혔다.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말들을 잘 구별해서 써야겠다고 다짐했다. 모국어의 미묘(微妙)함을, 그 덕에 얻는 재미를 실컷 누리고 싶어졌다.


내가 읽은 <다독임>은 재미있는 우리말 사전이자 좋은 놀이책, 귀고픈 사람의 살뜰한 일기다. 짤막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고운 순우리말을 새로이 알게 되고, 뜻이 헷갈렸던 말들이 시나브로 또렷해진다. 평소의 말들만 있어도, 지나가는 아이들의 말을 귀담아듣기만 해도, 얼마나 재미있는 놀이를 할 수 있는지, 그 재미가 우리의 하루하루를 얼마나 풍요롭게 만드는지 생생히 전달된다. “실컷 듣고 싶은” 귀고픈 사람이, 차곡차곡 모아놓은 일상의 언어들이 너무나 일상적인 그 덕분에 친밀하게 우리를 다독인다. 


‘아이쿠’라는 감탄사를 자주 쓰는 시인에게 나는 ‘아이쿠 요정’이라는 별명을 붙여준 적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그 앞에 붙일 또 하나의 꾸밈말을 찾았다. 책 속에 무려 다섯 번이나 나오는 이 말을, 나는 볼 때마다 웃었다. 무릎을 '탁' 치며 '아이쿠'를 내뱉는 감탄의 순간들이, 그런 순간마다 해사하게 웃는 시인의 모습이 그려져서.

_

📚

ᆞ재기 넘치는 사연을 접하고는 무릎을 탁 치기도 했다. (30쪽)

ᆞ미처 깨닫지 못했던 물건들을 발견하고 무릎을 탁 치기도 했다. (50쪽)

ᆞ산책을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무릎을 탁 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온다. (90쪽)

ᆞ신조어를 처음 들었을 때는 재미있어서 낄낄거리고 재치 있어서 무릎을 탁 치게 되지만. (150쪽)

ᆞ불현듯의 어원이 ‘불 켠 듯’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무릎을 탁 쳤다. (184쪽)

_

이제부터는 ‘무릎을 탁 치는 아이쿠 요정’이라고 불러드려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란 - 박연준 산문집
박연준 지음 / 난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덮으며 기어이 눈물을 쏟아내고 말았다. 개운한 눈물이었다. 눈물이 나간 자리에 봄의 기운 같은 것이, 움트는 생명력 같은 것이 차오르는 기분이 들었다. 모든 것이 멈춰버린 시기에 덩달아 움츠러든 어깨를, 쪼그라든 마음을 쫙 펴고 싶게 하는 소란騷亂이었다. 이 책과의 만남은.

읽은 것이 아니라 내내 겪은듯한 독서였다. 흰 종이 위에 차분히 놓여 있던 글자들이 읽는 즉시 생생하게 살아났다. 죽은 듯 누워 있던 생선이 톡 건드리면 팔딱 튀어 오르듯, 읽으며 만난 모든 이야기가, 그 속의 사물들이, 223쪽 내내 살아 움직였다. 자꾸 말을 걸고 얼굴을 들이밀고 손을 잡아끌었다. 좋았던 문장을 인용하는 일이 무색하게 모든 문장이 좋았다. 자주 책장을 덮었고, 사랑하는 이를 안듯 책을 끌어안았다.

가장 좋았던 것은 낯선 비유들. 공상의 전문가가 한참을 들여다본 단어와 풍경들이 책장을 넘길 때마다 후두둑 쏟아졌다. 손우물에 그것들을 담아 읽고 또 읽다 보면, 경험한 적 없는 세계를 감각하는 것만 같았다.

그리고 솔직함. 수치스러움을 모르는 작가의 솔직함 앞에서 자주 시원했다. 나 역시 그렇게 시원하게, 수치스러움을 모르고, 일곱 살처럼 쓰고 싶었다는 것을, ‘부재’한 줄 알았던 욕구의 ‘존재’를 이 책을 다 읽어갈 때쯤 깨달았다.
_
‘가장 좋아하는 책’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오늘, 바뀌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는 일곱 살 때 안 힘들었어요?
정용준 지음, 고지연 그림 / 난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한 일곱 살 아이를 만났다. 이름은 나나("나요, 나!" 하고 떼쓰는 듯한 이름이잖아).
_
새벽까지 잠을 자지 않으니 항상 늦잠을 자고, 바닥에 물을 자꾸 쏟고, 할 일이 너무 많다는 말을 달고 사는 데다, 비 오는 날엔 달리기를 하겠단다. 어서 자라고 하면 “아빠도 안 자잖아요”라고 하고, “아빠는 할 일이 많잖아”라고 하면 “나도 할 일 많아요. 너무너무 바빠요. 아빠는 말해도 몰라. 내가 해결해야 해”라고 받아친다. 일곱 살 꼬마가 대체 뭐가 바쁘다는 건지.

그런데 이 꼬마, 조금 재미있다. “그런 게 있어요”라면서 신기한 말을 툭툭 던진다. 예를 들면 이런 거.
_
📍“난 나쁜 기억을 바다에 던지지 못하겠어요. ... 나쁜 기억을 갖고 있으면 힘들어요. 답답하고 가슴이 콕콕 아프고 눈물도 나고... 그런데요, 그 기억은 좋은 기억도 함께 섞여 있어요. 그래서 힘들다가도 행복하고 눈물이 나다가도 웃음이 나와요. 난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_
어? 일곱 살 아이가 저런 복잡한 감정을 느낀다고? 나쁜 기억을 바다에 던진다는 건 또 무슨 의미지? 철든 어른처럼 말한다싶더니. 저 녀석, 또 바닥에 물 쏟았네. 정말 귀찮다. 너란 아이.

소설가 정용준이 쓴 동화 <아빠는 일곱 살 때 안 힘들었어요?> 속 ‘나나’의 첫 인상은 딱 ‘미운 일곱 살’이었다. 착한데 말은 참 안 듣고, 자꾸만 사고를 치고, 밤마다 우는 동생 라라 때문에 늘 ‘피곤한 엄마’와 주문이 밀려 잠도 못 자고 일하는 ‘바쁜 아빠’에게 놀아달라며 자주 떼를 쓰니까. 그런데 이 미운 일곱 살이 나를 자꾸 데려갔다. 27살의 나, 17살의 나, 7살의 나로. 그러면서 던져버린 줄도 몰랐던 나쁜 기억들을 찬찬히 건져냈다. 꺼내고 보니 나나 말이 맞았다. 거기엔 정말, 좋은 기억도 함께 섞여 있었으니까.

조심성이 없어서 물을 쏟는 게 아니었다. 그건 ‘나나의 나라’로 들어갈 수 있는 비밀열쇠, 물방울 비행기였다. “하트 모양 잎사귀를 가득 달고 있는 나무들과 솜사탕을 닮은 보라색 구름, 시원하게 쏟아지는 콜라 폭포와 부글부글 거품이 이는 강, 크고 작은 사탕 바위들과 뾰족뾰족한 밤송이처럼 그린 것 같은 노란 별들, 하얀 설탕이 깔린 사막과 젤리로 채워진 호수”가 나나의 나라였다. 나나가 좋아하는 것들로 가득한 꿈속의 세상. 그 낯선 풍경을 보며 일곱 살 때 나의 나라, 그 시절 내가 좋아했던 것들을 상상했다. 분명 지나왔지만 생경한 그 시절, 내 전부였던 것들을.

일곱 살 나나의 나라에선 토끼도 스컹크도, 사슴도 기린도 모두 달리기 선수들이었다. 1등한 나나도, 간발의 차로 2등이 된 얼룩말도, 더 늦게 들어온 동물들도 모두 즐거운 나라. 다치지 않고 무사히 달리기를 마친 것이 커다란 기쁨인 나라. “좋아해!”를 다섯 번 더하면 ‘사랑해’의 뜻이 되고, 아빠가 나를 사랑하고 나도 아빠를 사랑하면 그게 바로 ‘아름다운’ 것인 세상이었다.
_
‘미운 일곱 살’ 나나를 만나는 동안, 나는 이미 알고 있던 말들이, 너무 쉬워 뜻을 찾을 필요도 없는 그 말들이 자꾸만 낯설어졌다. 이를 테면, 나쁘다 좋다 기쁘다 슬프다 좋아한다 사랑한다 슬프다 같은. 뱃속에서 일하는 아저씨가 열심히 일하다 힘들어 쉬는 한숨이 ‘방귀’라는 아빠의 말에 “그 아저씨는 정말 이상한 아저씨예요. 에휴-라고 해야지. 뽀옹이라고 한숨 쉬잖아요. 그리고 아저씨에게 칫솔 드려야겠어요. 입냄새 지독해”라고 말하며 배에 치카치카 양치질하는 이 아이 덕분에, 방귀 하늘 바다 파도 밤 별 낮 해 같은 말들을 어떻게 잘 소개할 수 있을까 신나게 고민했다.

생각할수록 정말 이상한 일곱 살 아이를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상의 바이올린
진창현 지음, 이정환 옮김 / 에이지21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소리에 꿈을 타고

 

진창현 선생께서 사인을 하시기 전에 먼저 적어주신 글귀다. 저 한 마디에 그의 인생이 담겨 있음이 이제서야 절절히 다가 온다. 책을 읽기 전, 강연회장에서 먼저 선생님을 만나 뵈었다. 왜소한 체격에 반쯤 쉰 목소리, 하지만 그 눈빛만은 그 자리에 있던 어떤 젊은이의 것보다도 강렬했다. 약간은 알아 듣기 어려운 한국말이었지만 곧 함께 웃을 수 있었던 것은 말이 아닌, 마음과 마음이 소통하는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여운이 참 오래 남을 것 같은 책이다. 장인의 혼에 정신을 빼앗겨 그저 숙연한 마음이다. 한 사람의 일대기를 통해 어떤 역사책보다 생생한 한국과 일본의 역사를 보았다.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 시대를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랄까? 지금에 와서는 도저히 이해도, 상상도 할 수 없는 고통과 억압의 시대. 그 시대를 살아 내는 것만으로도 위대하다. 그런데 저자는 마음 속에 품은 꿈을 한 번도 잊지 않았고, 마침내 최고의 장인으로 조국의 후손들 앞에 섰다.

 

나라면 어땠을까? 계속해서 질문했다. 생각만으로도 끔찍하고 괴로운 시대, 도무지 희망이라고는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 곧바로 무기력해졌다. 지금 나는 얼마나 편한 시대에 살고 있는가. 내 앞에 놓인 모든 고민들이 부끄러워졌다. 감히 역경이라는 말을 붙일만한 어려움은 하나도 없다. 진창현 선생의 것에 빗댈만한 시련은 한 번도 겪지 못했다. 갑자기 힘이 난다. 세상에 못할 일이 무어냐! 움직이자. 호기심을 갖고 열심히 찾아 나서자.

 

강연을 마치고 참석자 한 명이 이런 질문을 했다. 요즘 젊은이들이 꿈도, 의욕도 없이 그저 그렇게 살아가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선생의 대답은 간단명료했다. 호기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순간 모든 것이 분명해졌다. 어려서부터 나는 유난히 꿈이 많은 아이였고, 항상 뭔가를 배우고 싶어했다. 일상에 지루함을 느끼는 친구들 사이에서 나는 특이한 아이였다. 매일 바쁘게 생활하면서도 지치지 않고, 항상 재미있다는 말을 달고 살았으니까. 나는 세상 모든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다. 배우고 싶고, 알고 싶은 것도 많고, 그래서 매일 이리저리 바쁘게 움직인다. 이런 내 삶의 원동력이 호기심이었음을, 삶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호기심을 잃지 않는 것임을 그 순간 알게 되었다.

 

새롭게 시작하는 월요일에는 좀더 바빠질 것 같다. 많이 보고, 많이 느끼고, 많이 생각하고, 끊임 없이 도전해야 할 이유를 찾았기 때문이다. 도전하지 않았다면 바이올린을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새로운 분야에 호기심을 갖지 않았다면 진창현 선생의 삶을 180도로 바꿔놓은 그 강의도 들지 못했을 것이다. 위험을 감수하고 밀림까지 가서 바이올린 제작에 쓸 재료를 구하는 선생의 용기에 감탄했다. 하지만 그저 감탄만 하고 실천이 없다면 그의 조국 방문, 후배들을 향한 그의 애정은 의미를 잃고 말 것이다.

 

소리에 꿈을 타고. 선생님은 저기에 소리를 쓰셨지만, 저는 다른 무언가로 채우겠지요? 그 무언가를 자신 있게 써내려 갈 수 있는 그 날을 위해, 귀한 이야기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그 날이 오면 저도 꼭 오늘의 선생님처럼 제 삶의 이야기를 후배들과 나누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희망의 증거가 되어 저희 앞에 서 주셔서 고맙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uê xe 2013-08-07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dịch vụ cho thuê xe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