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당분교 올림픽>을 리뷰해주세요
-
-
몽당분교 올림픽 ㅣ 맛있는 책읽기 4
김형진 지음 / 책먹는아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선생 김봉두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촌지를 받아서 시골분교로 발령이 난 차승원이 분교 아이들과 지내는 이야기가 아주 재미있었다. 분교학교에 있는 것이 싫어서 아이들을 서울로 전학보내려고 수를 쓰지만 오히려 그들의 진심을 알고 그들의 편이 된다. 그런데 교육청에서 폐교명령이 떨어지고 마지막 졸업식을 하며 마지막 기념촬영을 했던 것이 기억난다.
배경이 비슷한데 내용은 사뭇 다르다.
내용은 새터민, 코시안, 외국인 노동자의 불법 체류, 다문화 가정, 농촌 총각들의 국제 결혼문제, 월남전의 고엽제 부작용 등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내용은 최근에 읽은 공선옥의 <피어라 수선화>와 비슷하다.
탈북자의 아들 만득이,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엄마,아빠를 둔 영애(대장금의 주인공배우이름을 땀), 도서에서 전학온 예슬이,태국인 아빠를 둔 숨차이, 엄마 아빠가 우즈베키스탄에서 온 에르칸, 또 절에서 사는 동자승 하철수,필리핀 아빠를 둔 호세피노가 몽당분교의 전교생이다.
 |
|
|
|
철수는 국제학교의 친구들이 자신과 다르다는 걸 느끼지 못했습니다.피부색이 달라도, 말씨가 조금씩 달라도 어릴 떄부터 같이 지내 온 친구였고, 또 다른 학교는 다녀 본 적이 없으니까요.
|
|
|
|
 |
이렇게 다국적 학생들이 배우는 국제학교이다. 하지만 언어는 단 하나 국어뿐이다. 이들은 어려서부터 몽당리에 살았다. 그들의 부모 언어는 하지도 못한다.지리적 특징까지 살린다면 강원도 사투리까지 구수하게 구사할 것이다. 이들이 사랑하는 몽당분교가 폐교한다는 소식을 듣고 학교를 살리기 위헤 운동부를 조직해 열심히 운동해 금메달을 따려고 한다.
 |
|
|
|
하고 싶은 일에는 방법이 보이고 하기 싫은 일에는 변명이 보인다(필리핀 속담) |
|
|
|
 |
하지만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고 오히려 운동하려던 사건 떄문에 영애의 부모가 불법체류자로 경찰에 걸려 강제추방 당하게 된다.
 |
|
|
|
190쪽
일본은 단 1명의 산골 소녀를 위해 없어진 초등학교를 되살렸답니다. 산골 동네에 사는 아이 혼자서 멀리 떨어진 본교까지 등하교하기에는 길이 너무 험해서 14년전에 폐교된 분교를 다시 열었습니다.몽당리에도 이런 일이 생기면 얼마나 좋을까요?
|
|
|
|
 |
하지만 이변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게 마지막 졸업식을 하고 막을 내린다.
 |
|
|
|
고구마도 한국에서 뿌리 내리면 우리 나라 거가 되는데, 영애는 왜 외국인이라고 쫓아내는 거예요? 한국땅에서 태어나 살고 있는 애를요?
|
|
|
|
 |
외국인, 내국인 국적 문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정말 까다로운 귀화시험과 법적 절차 말고는 내국인이라는 호칭을 쓸 수 없는 것일까? 이런 동화책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달라진 인종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될 것 같다.
그리고 주변에서 외국인을 볼 때 조금은 자연스러운 눈빛으로 바라 볼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