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엄마와 자주 전시장에 갔었다. 그림들을 보는 건 재미있었지만, 엄마가 그림 앞에 서서 한참이나 요리 봤다 조리 봤다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아무리 봐도 똑같은 그림일 뿐인데, 엄마는 몇 번이고 그림을 음미했다. 가까이서 보다가, 뒤에서 보다가……. 그런 엄마의 모습이 참 멋져 보여서, 언제부턴가 엄마를 따라해 보았었다. 느껴지는 건 별로 없지만 한 그림에서 많은 의미를―주로 외적으로 드러난 특이한 점들에서― 찾으려고 노력하고, 나름대로의 생각을 해 보았다. 그런 식으로 쌓아와서인지, 이제는 어릴 때보다는 좀 더 진득하게 작품을 감상할 줄 알게 되었다. 하지만, 그런 '훈련'은 서양화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한국의 미(美)'라. 나는 한국의 미에 대해 뭘 알고 있을까? 호주에 갔을 때 홈스테이 가족에게 선물로 한국화 엽서를 줬는데, 집에서 엄마의 설명을 듣고 갔음에도 그 그림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제대로 설명해주지 못했다. 외적인 묘사를 할 수는 있었지만, 그뿐이었다. <무동>을 보면서 아이가 춤을 추고 있고, 빙 둘러싸고 연주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전통 악기들이라는 것 정도만 말해줬다고 하면 될까? 그건 그림을 보기만 하면 알 수 있는 것이었는데! 나는 그 그림을 보고 있었지만 제대로 '본' 적은 없었던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난 지금, 그때의 어리석은 그림 보기가 더욱 두드러지게 느껴진다. 병색까지 알아볼 수 있는 '진실된' 초상화들, 한 올 한 올 그린 털이 몸의 흐름을 따라 움직일 것 같은 호랑이 그림, 깊은 의미를 가진 생일 화첩……. 이렇게나 은은하면서도 강직하고, 여유로우면서도 깊은 맛을 가진 한국의 미를 외면해왔다는 것은 얼마나 통탄할 일인지. 우리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생기면서도, 스스로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되었다. 그 반성은, 많은 것을 너무 쉽게 해치워버리는 현대인에 대한 반성이라고 해도 좋겠다.
흔히들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말한다. 나도 전통 공연을 볼 때면 '아아, 참 한국적이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한국적인 것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안 적이 있었냐고 묻는다면 할 말이 없다. 그저 느낌에 의존한 반응, 얄팍한 애국심에 기댄 반응이었던 게 아닐까. 공연은 분명 훌륭했겠지만, 내가 그 공연 속에 새겨진 역사와 의미를 제대로 알았다면 더 잘 볼 수 있지 않았을까. 책 한 권 읽었다고 그림 보는 눈이 많이 자라진 않았겠지만, 우리의 미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을 대하는 시선 자체가 상당히 달라진 느낌이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고? 그래, 맞는 말이다.
●이 책에서 내 눈길을 앗아간 것은 김홍도의 <무동>이다. 정말 아름다운 작품이다. 이 춤추는 아이에게는 작가가 경탄할 만한 뭔가가 있다. 아무렇게나 휘감기는 옷자락하며, 그 색깔하며……. 그런데, 작가는 <무동>이 우상→좌하로 보는 작품이라 서양에서처럼 좌상→우하로 보면 정작 중요한 아이를 비껴가게 된다고 했지만, 그런 시선에 관계없이 내 눈에는 언제나 아이가 먼저 들어온다. 옆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과는 다른, 춤에 빠져든 아이의 모습은 얼마나 흥겨운가! 마치, 콘서트에 갔을 때 밴드보다는 가수를 보는 것과 같은 이치로, 나는 언제나 관객이 되어 아이를 보고, 또 보았다.
103p. 먼 산에는 나무가 없고, 먼 강에는 물결치지 않고,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는 눈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