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Krapp's Last Tape 크라프의 마지막 테이프.
Duchess Theatre, London. 2010년 11월 3일.    

  사무엘 베케트 작품이라는 것만 보고 영문학도의 혼을 불태우며 보러 갔었는데 이제야 페이퍼를 쓴다. 정확히 말하면 그때 끼적여놓은 것을 간단히 이었다. 일인극인데 덤블도어, 마이클 갬본이 크라프로 분했다.  

  *

  늙는다는 것.  

  *

  크라프는 이제 몸을 숙여 바닥에 떨어진 뭔가를 줍는 것조차 힘겨워졌다. 나이가 들었다. 늙었다. 노인 특유의 고집인 양 책상 위에 뭔가 반듯하게 올려놓는 데 집착을 보이기도 한다. 무대 위에서 그의 시간은 아주 느리게 흘러간다. 크라프가 바나나를 하나 까 먹는 데 몇 분이나 소요되는 모습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어쩌면 지금 그가 먹는 바나나는 삼십 년쯤 전에 먹었던 바나나와는 다른 것이 아닐까? 세 개째 바나나를 먹었던 서른 아홉 생일날 그는 바나나 하나에 그렇게 오랜 시간을 들였을까? 바나나를 가지고 장난을 쳤을까? 노인이 된 그의 시간은 과거를 질투하고 비웃고, 바나나 껍질을 주워서 다시 던져버리거나 테이프 통을 정리하는 데 쓰인다. 하지만 과거의 그에게 시간이란 어떤 것이었을까? 바나나를 그토록 조심스레 털어볼 생각인들 할 수 있었을까?  지금 무대 위 크라프의 시간은 바나나와 테이프로 채워져 있다. 반면 테이프 속 크라프의 시간은 구체적인 사건과 회상으로 가득하다. 곱씹을 거리를 만들어내는 시간과 곱씹는 시간이 한 무대 위에 펼쳐진다.  

  계속해서 돌아가는 테이프. 그는 테이프를 돌려 듣는 그 시간 속에 살아있을 뿐, 테이프에 녹음된 순간은 어떤 의미에서 죽어 있는 것이다. 그가 보낸 시간, 그의 사랑이 담긴 테이프는 이제 케케묵은 먼지에 뒤덮여 있다. 이렇게 종종 꺼내어 틀 때면 늘 똑 같은 말만을 반복한다. 듣고서 다시 돌려 보아도, 언제나 같은 목소리로 같은 이야기를 늘어놓는 것이다. 내용은 물론이고 모양새도 그러하다. 한 쪽은 오른쪽으로 한 쪽은 왼쪽으로- 몇 번이고 다시 듣더라도 테이프 레코더가 돌아가는 모양새는 이처럼 똑같을 것이다. 크라프는 테이프를, 다시 말해 죽은 시간을 소유하고 있을 뿐 ‘바로 그 시간’을 소유하지는 못한다. 그런 의미에서, 살아가는 매 순간은 그 순간의 마지막과 같은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처음 이 극의 제목을 접했을 때 이제 나이를 먹은 크라프가 죽기 직전 마지막으로 녹음한 테이프가 아닐까 생각했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 극 속에 나온 테이프는 크라프가 30년 전에 녹음한 테이프뿐이다.  

  지금까지 내 삶을 녹음해서 보관해야겠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다. 글을 쓰거나 사진을 찍어서 보관하는 것에 집착하면서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좌절하긴 했어도. 녹음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오로지 청각적인 기록만이 있음을 뜻한다. 이는 시각적인 기록과는 전혀 다를 것이다. 내 목소리— 크라프가 몸서리치는 자신의 젊을 적 목소리처럼 지금 나의 목소리도 언젠가 내게 아주 생경한 것이 될 것이다. 녹음하여 기록한다는 것은 그때의 말투, 음색, 어떻게 숨을 쉬고 어떤 분위기를 내는지 세세한 부분까지도 가지려고 하는 욕심의 반증이다. 하지만 크라프의 모습은 어떤가? 테이프를 부여잡고 우는 크라프. 에피와의 소중했던 순간, 그 순간의 떨림이 그 속에 다 들어있건만 그에게는 더 이상 그런 불길은 남아있지 않다. 그녀와 보낸 가슴 떨리던 순간, 그에 대한 묘사는 자신이 겪은 일임에도 다른 사람의 일과 같이 들렸을 것이다. 지금 결코 가질 수 없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흘러가버린 시간과 그 속의 자신일 것이다.  

  크라프는 과거에 대해 많이 질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연극은 ‘I wouldn’t want them back’이라는 대사로 끝이 난다. 지금 이 멘트를 녹음한 것의 시점이 언제인가가 모호해서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나는 이 모호함 또한 의도적이라고 생각한다. 과거는 화가 나도록 샘이 나지만, 다시 그곳으로 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으랴. 바나나를 그렇게 꼼꼼히 지켜볼 생각조차 하지 못했을 그 시절과는 또 다른 ‘그의 삶,’ 박제되지 않은 삶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말이다. 결국 자신의 것이라 부를 수 있는 삶은 지금 뿐인지도 모른다.  

 

덧붙여서...  

참 오랜만이다. 이곳에 다시 뭔가 쓰게 된다면 좋은 모습으로 돌아오고 싶었기에 늘 미루기만 했는데, 뭐라도 쓰지 않으면 ‘좋은 모습’에 가까이 갈 수조차 없다는 걸 깨달았다. 결국 그리도 미루다가 이렇게 정리되지 않은 낙서로 돌아왔다. 하도 간만이라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고향이 그대로 있어 주었다는 사실 만으로 감사하고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10-12-15 0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란님, 반가와요. 많이 성숙되어 보입니다.

明卵 2010-12-16 09:07   좋아요 0 | URL
헤헤, 다시 찾아왔습니다, 마립간님! ^^

BRINY 2010-12-15 0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란님, 잘 지내시고 계신 거 같네요. 사진 좋아요~

明卵 2010-12-16 09:08   좋아요 0 | URL
네... 너무 오랜만에 페이퍼 써서 부끄럽지만 꼭 돌아오고 싶었어요 언제나. 런던에 교환학생 와 있습니다 ^^~

쭈비 2010-12-16 0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연극 봤던 때가 다시 문득 떠오르고 좋다:) 나도 기록해둘껄 엉엉 ㅜㅜ

明卵 2010-12-16 09:09   좋아요 0 | URL
이거 다시 보면서 나도 내가 이런 생각을 했던가'_'... 하면서 앞으로 기록하리라는 욕심을 다졌어@.@
 

  2월 2일은 친구 다인이의 생일이었다. 처음에 금요일에 만나기로 약속을 정했었는데, 뒤에 목요일로 바뀐 걸 내가 못 알아듣고 그냥 폐인상태로 있다가, 약속 시간 20분 전에 어디쯤 왔냐고 온 전화를 받고 부랴부랴 부대로 달려나갔다. (머리도 못 감고 말이다...)

  많은 논란 속에 개봉한 게이샤의 추억은 생각보다 훨씬 '아름다웠다'. 화면만 봐서는 잘 찍은 영화라고도 말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동양의 한 나라를 서양의 시각으로 포장하고 있었다. 특히 게이샤에 대한 잘못된 포장은 일본인들에게 매우 모욕적일 것이다. 이와사키 미네코 작 <게이샤 A Life>를 읽은 적이 있는데, 그 책을 읽고 가졌던 이미지와 영화의 이미지는 사뭇 달랐다. 책 속의 그녀들에게는 품위있는 예술인이었던 반면 영화 속의 게이샤들은 공허했다. 사유리, 하츠모모, 마메하, 펌킨... 영화 속의 게이샤들은 모두 어둠을 안고 사는 모습이었다. 아름다운 얼굴, 화려한 몸놀림 속에 감추어진 텅 빈 가슴을 채우기 위해 그들은 사랑을 찾고, 부를 찾고, 더 아름다운 기모노를 찾았다. 그들은 무엇인가를 갈구하는 한낱 여자일 뿐이었다. 예술에 대한 애정은 찾아볼 수 없었다. 게이샤들은 이 영화 안에서 돈을 벌기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 내가 책을 읽지 않았다면 나도 영화가 만든 게이샤의 허상에 넘어갔을까? 아름다운 화면으로도 감출 수 없었던 그 무성의한 재현을 찬양했을까? 영화가 갖는 힘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明卵 2006-02-07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도 많이 보고.. 큰일이죠, 뭐^ㅅ^;;
 

  아, 간만에 정말 재밌는 영화 한 편 보았다. 2005년 하반기에 극장에서 본 영화들 중 가장 좋은 작품이었다고 자신있게 말하겠다. (참고로 두번째로 좋은 작품은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이다.) 내용과 화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작품은 얼마나 나기 어려운가!

  <웰컴 투 동막골>, <형사>같은 작품은 현대적인 분위기와 강렬하고 화려한 색채로 화면을 가득 메워 '색깔'이 나에게 다가오는 느낌이었던 반면, <왕의 남자>는 모든 색채가 스크린 한 장에 조용하게 녹아들어 한 장면을 이루고 있는 느낌이었다. <웰컴 투 동막골>, <형사> 두 작품을 보면서 옛날을 배경으로 찍어도 채도가 높은 색채로 찍는 게 트렌드인가, 하고 생각했었는데 <왕의 남자>에서는 그런 느낌이 별로 없었다. 그렇다고 이 작품이 화려함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채도가 높은 색상에 안개를 덧입힌 듯한 느낌의 색상을 사용해 화려함은 유지하면서도 색깔이 튀어나오는 감을 줄여주어 서로 어울리도록 하고 있었다.

  또 내용면에서 <왕의 남자>는 광대와 궁중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소재를 잘 이용해 2시간을 한 순간간도 지루함이 없이 이끌어갔다. 특히 끝을 어떻게 맺을지가 궁금했는데 적절한 선에서 결말을 냄으로써 여운을 남기는 마무리를 지은 것이 내용 구성에 큰 플러스요인이 되어주었다. 이 내용을 살려낸 배우들의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장생'역의 감우성의 연기를 필두로 '육갑'의 유해진, '칠득' 정석용, '팔복' 이승훈의 연기가 분위기를 살리는 데 가장 큰 몫을 했다. 뿐만 아니라 '장녹수'역의 강성연, '연산군' 정진영, '공길'역의 이준기 역시 약간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이런 여러가지 요소들이 더해져서, <왕의 남자>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어 2005년 하반기를 장식하는 최고의 영화로 거듭나게 되었다. 혹시 제목때문에 망설이는 사람이 있다면 일단 영화관에 한 판 크게 "놀러" 갔다 와 보라. 그들의 판은 볼 가치가 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루 2005-12-30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어제 봤는데 참 재밌게 봤어요.

놀자 2005-12-30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다음주에나 되서야 볼 수 있을듯...다들 평이 좋네요~ 기대기대+_+

明卵 2006-01-01 1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어제 또 봤습니다^^ 한가지에 빠지면 헤어나오는 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지금 머릿속에서 무한 반복되고 있어요.

어룸 2006-01-08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너무 보고싶은데 두번씩이나 보셨다니 느무 부럽심당!! 저도 꼬옥...>.<

明卵 2006-01-08 2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꼬옥>ㅅ
 

  줄거리와 결말을 알고 봤는데도 감동.

  사만다가, 이안의 '꿈'속에서 죽는 것은,

  이안이 아니라 자신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어떤 기분일까? 하고

  생각해보자니, 너무 잔인해서 관뒀다.

 

 

 

 

[택시기사와 이안의 첫 대면]
D
What if she never come back?
그 여자분을 다시 못 보면 어쩔 거요?

I
What sort of a question is that?
무슨 그런 걸 물어봐요?

D
Come on. Picture it.
아니, 상상해봐요.
You waved good-bye at the airport,
she gets on the airplane,
you never see her agian?
공항에서 배웅해준 다음
다시는 못 보게 된다면?
Could you live with that?
살아갈 수 있겠소?

I
No.  
No, I couldn't.
아뇨.
못 살 겁니다.

D
Well you know what to do.
Appericiate her, and what you have.
Just love her.
그럼 길은 하나지.
그 사람이 있는 것에 감사하고
계산없이 사랑하는 것.

------------------------------------------------------
[사만다와 이안의 마지막 대화]

I
I love you.
사랑해.

S
I love you too.
(건성으로)나도 사랑해.

I
I wanna tell you why I love you.
사랑한다고 말해주고 싶어.

S
It's.. It's raining. you know that, right?
비 쏟아지잖아!

I
I have to tell you this and you need to hear it.
이 말은 꼭 해야겠어, 좀 들어줘.
I loved you since I met you,
but I wouldn't allow myself 
to truly feel it until today.
첫눈에 반했지만
전엔 스스로에게 솔직하지 못했어.
I was always thinking ahead, 
making decisions (???).
항상 미리 계산하고, 
겁쟁이처럼 빼기만 했지.
Today, because of you, 
what I learned from you...
하지만 오늘은 네 덕분에,
니가 가르쳐준 덕분에...
Every choice I made was different 
and my life has completely changed.
평소와 달리 두려움을 떨쳐버렸고
내 하루가 완전히 달라졌어.
And I've learned that if you do that, 
then you're living your life fully. 
그리고 그런 삶을 사는 게
진정 아름답다는 걸 알게 됐어.
Doesn't matter if you have 5 minutes or 50 years.
5분이든 50분이든,
시간따윈 상관없단 걸.
Samantha, if not for today, not for you, 
I would never have known love at all.
사만다, 오늘이, 당신이 아니었다면
난 영영 사랑을 몰랐을 거야.
So thank you for being a person 
who taught me to love, and to be loved.
사랑받고, 사랑받을 줄 아는
그런 사람이 되게 해줘서 고마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고에 간 친구가 1년 전액 장학금을 받게 되었다. 영화 한 편 쏘라고 찔러서, 오늘 아침 부산을 떨어 영화관에 갔다. <에비에이터>를 보려고 했는데, 아니, <네버랜드를 찾아서>가 상영중인 것이다. <에비에이터>는 살포시 젖혀주고 <네버랜드를 찾아서>를 선택했다.

  조니 뎁. 많은 이들이 그를 좋아한다. <가위손>, <길버트 그레이프>, <캐리비안의 해적>을 본 나 역시 그를 좋아했다. 그리고, <네버랜드를 찾아서>를 보고는 더 좋아하게 되었다. <초콜릿공장의 비밀>의 내용은 모르지만, 그 포스터로 봤을 때, 그것을 보고 나면 나는 그를 훨씬 더 좋아하게 될 것 같다. 나에게 조니 뎁은, 동화이다.

  그런 면에서, <네버랜드를 찾아서>는 그에게 꼭 맞는-혹은 나에게 그의 이미지를 더욱 강하게 굳혀주는-작품이었다. 동화같은 남자, 배리와 피터팬에 관한 이야기이니 말이다.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달콤한 향기가 나는. 한 권의 동화책같은 작품을 만났을 때 흔히 쓰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하도 이런 작품이 많아서 이젠 이런 말 쓰기도 미안하지만, 정말 그런 걸 어쩌랴.

  <타이타닉>의 로즈로만 기억되던 케이트 윈슬렛의 얼굴에 이름표가 하나 더 붙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름표는 '로즈'라는 이름표보다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 빛나는 아이가 따로 있다. 실비아의 아들이자, 피터팬에게 이름을 빌려준 아이, 피터로 나오는 프레디 하이모어Freddie Highmore이다. 쪼끄만 게 어찌나 연기를 잘하던지. 대성하거라!

  Unlock your imagination. 상상해보라, 그러면 보일 것이니. 피터팬의 이 아름다운 세계가 말이다.

배리 : Thank you, Peter.
       고맙다, 피터.
부인 1: This is Peter Pan. How wonderful.
       여기 진짜 피터팬이 있네. 어쩜!
신사 : Hey, you're Peter Pan? Well, you must be quiet a little adventurer.
       호, 네가 피터팬이구나? 그렇다면 대단한 모험가이겠는걸!
부인 2 : Look, it's true. He has no shadow.
       어머나, 그림자도 없네요. 호호...
피터 : But I'm not Peter Pan. He is.
       전 아니에요. 아저씨가 피터팬이죠.

  피터, 네가 맞아. 배리는 피터팬이었어.


다른 이야기
1.
  배리가 데이비스 가족을 처음 만날 때의 공원(켄징턴 공원인가?)의 모습을 보면서 계속 어떤 그림이 생각났다. 제목에 '오후'가 들어간다는 것과 그림만 기억나서, 엄마의 전공서적을 뒤졌다. 결국 알아냈다. 쇠라의 '그랑자트섬의 일요일 오후'였다. 1885년과 1904년으로 연도는 (국가도) 차이가 나지만 굉장히 비슷한 느낌.



2.
Trivia
  There were actually five Davies children. The fifth one was born while Barrie was writing the play. Because of this he was not included in the play or in this film. His daughter does appear in the film though. She is the woman in the scene that takes place after the first showing of Peter Pan. She is the one who says something like, "You're Peter Pan?" Her name is Laura Duguid, the daughter of Nicholas (Nico) Llewelyn Davies.

  데이비스가의 아이들은 사실 다섯 명이었다. 다섯 번째 아이는 배리가 연극을 집필할 때 태어났다. 그래서 그는 연극이나 이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딸은 영화에 나온다. 피터팬의 초연 후의 장면에 나오는 여자가 바로 그 딸로, "네가 피터팬이구나?"같은 말을 한다. 그녀의 이름은 Laura Duguid로, Nicholas Llewelyn Davies의 딸이다.
  대체 무슨 말이지?;;; 이해가 안 된다. 아이는 사실 다섯 명으로, 다섯번째는 배리가 연극을 쓸 때 태어났다... 그럼  무지 어린애라는 소리 아닌가? 그런데 그의 딸이 나온다고? 궁금해서 다운까지 받았다. "네가 피터팬이구나?"라는 말을 하는 목소리는 아무리 들어도 어른 남자목소리 같은데...
  아, 혹시, '진짜' 데이비스가의 아이인가? 그래서 지금 자라서, 딸을 낳았고, 그 딸이 이 영화에 출연했다는 건가?

3.
헤르미온느를 닮은 맏아들. 이 애의 이름이 잭으로 나오는 게 맞다면, 이 배우의 이름은 Joe Prospero일 것이다. 정말 닮았다, 엠마 왓슨과! (클릭하면 큰 사진이 나옵니다.)


4. 제일 웃긴 장면

5. 프레디 하이모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개 2005-02-25 1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고싶은 영화군요..+.+

明卵 2005-02-25 2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입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