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동주 열국지 세트 - 전12권 - 완역 결정본
풍몽룡 지음, 김구용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동양학을 하는 사람에게는 수월하고도 재미있게 지식을 습득하게 해 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도 많은 생각의 자료를 선사해 주는 책이다.

사기 열전은 많은 인물을 다루고 있는데 공부하는 자세가 아니라 그냥 편안하게 한 번 읽기에는 좀 부담이 가는 책이다. 그리고 춘추는 제대로 번역이 된 책도 없고 또 쉽게 읽을 수도 없다. 나는 민족문화 추진회 국역 연수부에 다니며 통감과 춘추를 배우면서 춘추 전국시대의 일을 좀 손 쉽게 대략이나마 알 수 는 없을까 하는 생각을 늘 하였다. 그래서 일본에서 나와 번역된 진순신의 중국의 역사(12권)를 통해 많은 가르침을 받은 적이 있다. 지난 여름 동주 열국지가 완역되어 나와 읽게 되었는데 매우 재미있게 많은 지식을 습득하게 해 주었다. 비록 소설이지만 실제 사서에 기록된 내용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 권마다 붙은 지도는 좀더 상세한 지도를 붙이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개인적으로 삼국지나 수호지, 기타 중국 사서나 우리나라 사서를 읽을 때 전투상황이나 영역 등을 꼼꼼하게 지도를 찾아 따져 보는 편이다.뒤에 붙은 계보나 인물, 연표 등은 상당히 좋은 시도라고 본다.

우리가 많이 읽은 이문열의 삼국지는 평역인데 이 책은 번역이다. 아직 원서를 읽어 보지 않아 번역의 신뢰성은 알 수 없지만 ...작자 나름대로 번안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그대로 번역한 노력도 높이 평가 된다. 이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다만 문체가 전통적인 문체(고대소설 등에서 이어지는 )와 현대적인 문체가 덜 조화된 면이 없지 않은데 그 시도는 높이 평가하고 싶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손에서 책을 놓기가 어려웠고 다 읽고 나서는 상당히 뿌듯했다. 한 번 더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의 전설은 이렇게 말했다.

독서는 나의 휴식이다. 내 지친 영혼이 호수처럼 고요히 쉬는  때는 독서할 때이다. 

바쁘다고 해서 독서를 버려서는 안된다.  독서야 말로 그 바쁜 시간을 바쁘지 하지 않게 하는 지혜와 지식을 안겨 줄 것이다.

책을 많이 읽는데 목적을 두어서는 안된다.  좋은 책을 찾는데 힘을 쏟고 찾은 책은 그 내용에 깊은 흥미를 느끼고 음미하며 즐겨야 한다. 독서를 즐기다면 읽은 책은 절로 많아질 것이고 읽은 내용도 남들보다 깊을  것이다.

여행과 독서야말로 그 사람의 문장력에 중요한 보탬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에 관한 글을 쓰고 싶으면 중국에 관한  많은 고금의 서적을 충분히 읽고  중국   곳곳을 두루 돌아보아야 한다.

 이 여행과 독서에서 얻은 지식을 잘 정리하고 거기서 얻은 교훈을 실천한다면 훌륭한 인격자가 될 것이다.

세상이 각박해지고 사람들이 약아진다고  걱정하거나 우울해 할 필요가 없다. 내가 너그롭게 살고  도의에 맞게 살아간다면 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사람들은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게 된다.  사람들은 각박과 약음보다는 너그로움과 도의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혹 시절이 나빠 자신이 외토리가 되더라도 그 길을 버려서는 안된다.  큰 뜻을 품은 자가 그것을 버리는 것은 자신의 미래와 잠시의 편안함을 바꾸는 꼴이 될 것이고  평범한 자가  자신의 양심을 버리면 나중에 할 말이 없게 될 것이다. 세상의 시류에 영합해서 아무렇게나 사는 것은 오직  천한 자와 소인만이 할 수 있다. 그들은 미래가 없는 현실만을 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음 이런게 생겼군.  이런게 필요하다 생각했더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의전설 2003-12-12 2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에 대한 단상 1

책을 읽는다는 것은 확실히 살을 활력있고 윤기있게 만들어 준다.  죽은 시간들이 살아나고 비리비리한 생활에 물기가 스며든다.  삶을 삶닮게 하는 에너지, 그 에너지 중에 책은 내가 가장 접근하기 쉬우면서도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 준다.

생각해 보면 삶은 책 한 권 읽을 시간의 여유도 주지 않을 때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란  참 이상한 것이어서  그 책을 읽는다고 해서  하는 일을 못하는 것고 아니고 그 책을 안 읽는다고 해서 그 일을 더 많이 하는 것도 아니다.  참 묘하다.

독서는 내가 누리는 가장 행복한 휴식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을 몇 권 골라 책상 한 켠에 쌓아두고  한권씩 읽어나간다. 다 읽고는 그 책에 대한 감상과 비평을 짤막하게 쓴다. 그 시간도 행복이다.  충만함과 흐뭇함이 베어나는 시간이다.

학문이 깊어감에 따라 점차 어려운 책도 하나의 재미난 책으로 읽게 된다. 더 수준 높은 독서를 위해서는 평소에 공부를 많이하여 많은 부분에 깊은 의문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독서를 독서답게하는 가장 좋은 자극이다.

그래서  내 20대 초창기의 독서는 시집과 소설에 치중되었다면 20대 후반의 독서가 전공 서적류에 치중 되었다면 이제는 삶의 각 분야에 걸친 광범한 독서를 하고 보다 깊은 의미가 깃든 책을 향해 나아간다.

모쪼록 새로 일기 시작한 나의 독서열이 꺼지지 않아 우선 서평 100이라는 웅덩이를 지나가고자 한다.

추운 겨울 밤 전기 난로를 피우고 그 곁에서 독서를 하는데 나중에 여건이 좋아지면 정말 난로다운 난로를 구입해 놓고 그 곁에서 독서를 하고 싶다. 책에 푹 젖어 들어 아주 흠뻑. 그리고 내글 도 좀 써 가면서 말이다.  그런 날이 언제쯤 올까.

문득 함박눈이 기다려진다.  


ds1sku 2004-02-02 0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랑 코드가 같군여...^^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