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모른다 - 여성.여성성.여성문학
김승희 지음 / 마음산책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시들이 우글우글하다.
이제, 맘에 든 시인의 시집을 사서 읽으면 되겠다.

'시는 어려워서 못 읽겠어'
'그냥 좋으면 좋은 거야'
동생의 말을 믿고, 나도 이제 그렇게 읽을 거라고 맘 먹고 간만에 산 시집이었다.

시들은 좋았는데, 좋은 시 골라주신 분께 미안하게도 평이 군더더기처럼 느껴졌다.

여성이란 육체를 가져서, 공유되는 부분들이 시에서 뚝뚝 떨어졌다. 아들로 연결되는 구약의 구절들을 죽 읊고는 말미에 짧게 붙인 한마디 말로 충분하였다. 딸들로 연결되는 긴 고리를 '사설조로'읽으라는 긴 시에서 느끼고, '양변기 위에서'의 심상은 또 그대로 내게 전해진다.

대지인 어머니를 말하지 않아도, 거창해지지 않아도 그 느낌들 알겠다. 시들에 평을 다는 건 그래서 어려운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주의적 유토피아, 그 대안적 미래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20
김미경 지음 / 책세상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간결하게 '지금의 가부장제는 여성 뿐 아니라 남성도 착취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은 사회에서 남성은 가정에서 적절한 비중을 가져야 한다'라고 말하면 충분하였다.

그러나, 대안이 제시되었다면 그 대안은 구체적이어야 하고, 방법은 실천가능하여야 한다. 이 순간 길을 잃게 되는 것은 나같은 초짜 페미니스트뿐만이 아니다. 충분히 연구하고 있는 사회학도 교수님도 길을 잃기는 마찬가지여서, '여성주의'라는 이름을 걸고 보여주는 대안이나 방법은 손쉽게 조소당한다.

그 조소는 한 명의 페미니스트가 보여주는 길을 잃은 논리에 대한 것이 아니라, '모든 페미니즘'에 대한 것이 되어버린다. 안타깝지만, 어떤 조직과 마찬가지로, 학문의 영역에서도 '페미니즘'의 입지는 매우 좁아서 어떤 식의 발언도 '대표자'로써 읽힌다.-'여자들에게 고함'(함인희 저)에 보면 조직 속에서 19%를 점하지 못한 소수자는 어느 경우에건 해당 소수자'대표선수'(민족이건 인종이건 성이건)로 인식된다,라는 연구결과를 보여준다.-

제시한 대안은 너무 안전하였고, 대안에 이르는 방법은 지나치게 개인적이고, 균형을 잡으려는 의도는 주장을 약화시키고 있었다. 시스템에 대한-무자비한 자본주의- 반성없이 도달하려는 유토피아는 세상물정모르는 이가 상상하는 미래처럼 대책없었다.

내게도 자신있는 대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성주의적 유토피아, 그 대안적 미래'라는 이 선명한 제목으로 묶인 이야기는 좀 달랐으면 하는 바램이 내내 떠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낡은 극장에서 생긴 일 - 세계환상문학 걸작선
알베르토 맹그웰 엮음, 윤춘미 옮김 / 문학세계사 / 1997년 8월
평점 :
절판


어디선가 들은 것 같은 이야기들, 무서워서 책을 놓고는 이불 속으로 들어간다.

속기로 결심하는 순간 펼쳐지는 이야기들은 아직 머릿속을 딱딱하게 만들기 전, 어린아이였거나 사춘기 소녀였을 때, 어두운 밤이거나 비라도 내리는 어두운 낮에 친구들과 교실 구석에서 경쟁하듯이 들려주던 무서운 이야기, 놀라운 이야기와 닮았다. 한순간의 공포나, 짜릿한 흥분, 놀라움과 아쉬움, 기이한 낯섬과 낯익음, 피할 수 없는 운명과 짧게 대답할 수 없는 짧은 질문.

'소원을 들어주는 원숭이 발'이나 '악마의 병'은 익숙하고 또 교훈적이고,'저승사자를 만나러 떠나는 하인'은 낯익고 또 재치있고, '완전한 행복을 위한 희생양'의 이야기는 의미심장하고... 죽은 자가 걸어나와 복수하거나 은혜를 갚고, 인어의 사랑을 얻기위해 영혼을 떼어내거나, 마음없는 영혼이 사악해지거나, 조용한 일상이 갑작스레 떠밀려나오거나..

딱딱한 현실이 틈새가 없어서 혹은 현실이 고단할 때 혼자 앉은 낡은 극장처럼 그 많은 얘기들 풀어놓는다. 천천히 살금살금 읽을 일이다, 밤 말고 낮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녀 이야기 환상문학전집 34
마가렛 애트우드 지음 / 문학사상사 / 199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미래(?)소설이 무서운 것은, 결코 멀지 않음을 느끼게 하는 징후들이 지금 현재에 있어서 우리가 서있는 곳이 매우 위태롭기 때문이다. 환경호르몬으로 인간의 생식력이 약해지고, 약자에 대한 착취를 능력의 유무로 설명하려는 자본주의의 광포함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여성에 대한 착취를 '전통'으로 미화하려는 시도들을 마주할 때마다, 이 소설을 기억해낼 것이다.

여성의 모든 권리는 사라지고, 계급의 최상부에게만 허용되는 생식력있는 '시녀'의 존재. 너무 끔찍해서 소름이 돋는다. 밤, 스산함, 황폐한 계급사회, 지켜지지 않는 존엄으로 남아있는 소설속의 가상세계는 내가 결코 속하고 싶지 않은 세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웬디 수녀의 나를 사로잡은 그림들
웬디 베케트 지음, 김현우 옮김 / 예담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나는 읽는 건 잘 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보는 것, 듣는 것, 사실 자신없습니다. 웬디수녀님이 꼼꼼히 설명해 주지 않았다면, '포키온의 재가 있는 풍경'은 상당히 적막한 풍경화, 쯤으로 보고 넘겼을 겁니다. 그림 속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이 있는지, 깨닫습니다.

성경이나, 소설의 한 장면을 그린 그림들, 초상화. 꼼꼼히 바라본다면, 드러나는 커다란 이미지 말고도, 화가의 복잡한 심사, 배경으로 채워넣은 이미지, 그 장면 다음의 어마어마한 드라마까지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수녀님이 친절하게 안내해주시니 더욱 그렇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