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피크닉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버린 청춘의 날들은 후회스럽기 마련이다. 어른인 척 했던 것에도, 무심한 척 했던 것에도.

이건 고3 마지막 학교의 행사 - 아침에 출발하여 다음날 아침에 다시 학교로 돌아오는 80킬로의 행군-에 참여하는 친구들이 그런 아쉬움들을 만회하려고 애쓰는 그런 이야기이다.

밤이 가져다 주는 감상과 어둠과, 지친 몸을 빌어 용기를 내는.

밤 속에 흩어지는 비밀은, 입 밖으로 튀어나온 비밀은 갇혀 있을 때보다 가벼워지고, 소설의 빛깔은 맑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비호와 아마존호 네버랜드 클래식 23
아서 랜섬 글 그림, 신수진 옮김 / 시공주니어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늘 하는 생각이지만, 난 좀 순화될 필요가 있다. 이런 책들에 대한 반응에 항상 시큰둥하다. 피가 튀고 절대적인 위기 따위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역시 좀 민숭맨숭하다고 느끼게 되어 버린 것이다.

온갖 미덕에도 불구하고, 그런 인상이 먼저 나를 차지했다. 어린이의 모험물이 그런 식이면, 얼마나 끔찍한가, 아이들은 약하고 어린 존재인데, 나쁘고 교활하기까지 한 악당이 등장한다면 이야기가 시작도 하기 전에 피투성이일텐데. 그런데도, 어른들의 모험물, 심각한 하드 보일드들에 길들어져서는 이런 모험물에 시큰둥한 어른이 된 것이다.

자신들의 항해를 기획하는 독립적인 아이들, 아이들의 항해를 지지하는 멋진 어른들, 괴팍한 아저씨, 허술한 악당이 등장하는 멋진 모험물인데도. 

아무래도, 이 책도 좀 더 좋아할 아이에게 선물한 다음 안타깝게 책장 앞에 서성이게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하기의 다른 방법 - 모습들 눈빛시각예술선서 7
존 버거 지음, 장 모르 사진, 이희재 옮김 / 눈빛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가지고 있었던 책은 이게 아니다. 그 책은 더 멋진 표지였다. 사진으로 가득채운 표지에 멋부리지 않은 글씨체로 '말하기의 다른 방법'이라고 쓰여있었다. 그 사진은 흑백사진이었는데, 흑판에는 글자가 가득하고, 어린아이는 팔을 뻗어 무언가를 보태고 있다. 그 책에는 멋진 표지에 어울리는 안 사고는 못 배기게 하는 정말 끝내주게 멋진 서평이 걸려있었다. 그걸 보고 홀랑 반해서 나는 그 때 그 책을 샀다. 다시 그 서평을 본다면, 이 서평을 쓰겠다고 마음먹지 않았을 텐데, 찾을 수가 없었다. 구판정보조차 없다. 아, 모두 과거형이고, 그 책을 다시 볼 수 없다니 왜 이렇게 안타까운지 알 수가 없다.

서평에 홀랑 넘어가 책을 산 게 2002년 8월 31일이고, 그 때 읽으면서 바로 한 생각은 '음, 나는 그만큼 안 좋네'였고,  훨씬 좋게 느껴질 책이 나를 만나서 홀대받는다는 생각 때문에 그 다음부터 누군가 '사진'이란 걸 한다고 하면, 아, 그 사람에게는 더 좋겠는걸, 뭐 이런 식이었는데, 막상 사진을 한다는 누군가에게 선물하겠다고 마음을 먹고 다시 꺼내니, 표지의 사진부터 나를 당겼다. 그래서, 선물하기로 마음먹고 다시 책을 펼쳤었다.흑백의 사진들, 사진에 대한 짧은 이야기들, 말미에 사진에 대한 긴 이야기-그때도 못 읽었고, 다시 볼 때도 역시 못 읽었다-. 사진을 볼 때마다, 아 역시 주고 싶지 않아, 가 닥쳐서 심난했다.  심난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2005년 12월 선물하기는 했다.

지금 들어와, 나를 유혹했던 서평조차 다시 읽어볼 수 없고, 그 애틋하던 표지사진마저 볼 수 없다는 걸 알고 다시 후회가 닥친다. 긴 글을 못 읽겠다면, 그저 그 사진들만 다시 봤어도 좋았을 텐데, 바보같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책은, 혹은 어떤 사람은 둘 중 하나로 충분하다.

그런 생각을 한 것은 '대한민국사'를 쓴 한홍구 교수를 만날 기회가 될 때, 내가 그렇게 만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걸 깨닫고, 또 정작 그 분이 이야기하시는 동안 책을 읽던 때보다 즐겁거나 좋지 않다는 걸 깨달으면서였다. 책으로 충분했다. 이 때 내가 한 생각은, 교수님은 책으로 읽으니 더 좋은데, 책으로 본 얘기 얼굴 보면서 듣는다고, 더 좋지 않은 걸, 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는 이 책을 소개하는 티비프로에서, 한비야씨가 이야기하던 생각이 났다. 물론 거기서 한 이야기는 이 책 전체보다 짧지만, 이야기를 듣는 편이 책보다 훨씬 좋다. 아주 훌륭한 글솜씨가 아니니까, 게다가 사람이 전해야 하는 바쁜 마음이 앞서면, 그런 감정들이 뒤섞이면 잘 쓰던 사람도 쉽지 않으니까 그런 것을 이해한다. 그런데도, 역시 책을 모두 읽고 난 다음에도 여전히 같이 이야기를 하고 싶지, 다시 책을 읽고 싶지는 않은 걸, 한다. 내가 한비야님과 대화를 나누게 될 일은 아마도 없을 테니,  내게 부족한 열정이란 걸 충전하려고 혹시 또 책을 집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 인생의 이야기 행복한책읽기 작가선집 1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훌륭한 책을 만나면 한 숨이 폭 나오고, 할 말을 잃게 되고, 여러가지 앞뒤 생각도 못하고 성큼 빌려주고, 다시 보고 싶은 마음에, 아 내게 없지, 자각하면서 자책하고, 다시 달라고 해야 하는데, 후회하고, 한참을 보낸 후에야 뭐라도 적을 마음이 생긴다.

이 책은 동생에게 가 있다. 너무 좋아, 라면서 나는 이걸 동생에게 건넸다. 모든 책은 나름 좋은 게 있는 거라고 관대한 동생에게 '네가 정말 좋았던 게 아니라면 나에게 권하지 말아줘'라고 말한 언니가 권한 것이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책이 좋으려면, 책을 읽는 나라는 존재가 그 책이 건드리고 있는 부분을 궁금해하고 궁리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관심있고, 고민하는 부분이 아니라면,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조응할 수 없는 것이라고 '단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아닐 수도 있구나, 라고 생각했다. '테이큰'을 진짜 재미없게 본 나는,  외계인과의 대화 따위 관심 없었다. 그런데, 그런데, 수정구라도 앞에 놓고 서로 언어를 익히는 외계인과 과학자들을 중계하면서, 병치되어 진행되는 삶의 이야기를 전하는 이 소설의 구조에 스르르 빨려들어가서는 흥분하게 되었다.

이야기가 되었던 사고의 실마리들은 있을 법하고, 정통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SF도 흥미롭다.

훌륭한 SF는 읽는 사람에게 다른 창을 열어준다. 이 책은 나에게 그걸 알려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