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다정소감 - 다정이 남긴 작고 소중한 감정들
김혼비 지음 / (주)안온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판매중지


왕좌의 게임,을 남편이 열심히 볼 때 옆에서 잠깐 보고 잊히지 않는 장면이 있다. 용엄마가 정벌한 종족의 무녀에게 '그럼 내가 고맙다고 할 줄 알았냐'고 조롱당하는 장면이다. 나는 자비를 베풀어 너를 살려줬는데, 왜 너는 나를 저주하느냐는 용엄마의 말에, 무녀는 내 일족을 말살했는데, 나를 살려줬다고 해서, 내가 당신을 고마워해야 하는가, 당신을 축복해야 하는가, 되묻는 장면이다. 생존을 걸고 싸울 때 헛된 동정심을 보이는 것은 위험하다. 지금 내가 그런 세상이 아닌 것이 다행이라고, 목숨 자체를 빼앗지는 않는 평화의 시대라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고녀석 맛있겠다,를 읽고서도(https://blog.aladin.co.kr/hahayo/5025827) 나는, 생존을 위한 선택의 순간, 불가피하고 어쩔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나는 그런 선택을 하는 것이 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도 썼다. 

알라딘에서 위선에 대해 말한 적이 있다.(https://blog.aladin.co.kr/hahayo/12584510내가 말하려던 건 뭐였을까, 생각했다. 나는 면전에서 나의 잘못을 말해 주는 사람이 친구라고 생각한다,고 썼다. 뒷담화를 하는 사람은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인터넷 공간처럼 물성이 없는 공간에서 위악만큼 위선도 좋아보이지는 않는다고도 썼다. 친구의 권유로 '예수와 함께 한 저녁식사'를 읽고 마더 테레사나 히틀러나 하나님의 기준으로는 종이 한 장도 차이가 안 나는 거라는 대목을 읽었다. 그렇겠네, 라고 생각하면서도 반발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아마도 그래서, 사람들은 인터넷 세상에서 공감의 말들만 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사람이라서, 나는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지만, 몇몇 꼭지에서 공감하지 못했고, 그런 말들만 아마 남기고 싶다. 게다가 요 근래, 이런 자신을 드러내고 쓰는 책들의 어떤 포지션이 계속 거슬렸어서 그 연장선 상에서 보게 된다. 아마도 스스로 무해하거나, 꽤나 좋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은 글들이다. 스스로가 드러나는 글을 쓰면서 지질하고 약해 빠졌고, 사랑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 같은 비참한 마음을 내비치고 싶은 사람은 없다. 그러니까, 글이라는 건, 말이라는 건 위험하다. 어떤 사람이 자기 안에서 나름 일관성을 가지고 살아가더라도 타인의 눈에 위선이나 위악으로 보이는 것은 그 사람의 말이나 글이 그 사람의 선택이나 행동과 충돌했기 때문인 거다. 말이나 글,과 행동 사이의 간극을 좁히려는 많은 노력은 바람직한 게 맞지만, 그런 면에서 나는 책 속의 그 에피소드-가식에 대하여- 자체에는 공감하지만, 그 다음, 그 다음 글들에 드러난 작가의 어떤 모습에서 다른 인상을 받는다. 

내 맘에 든 글은 '축구와 집주인', '나만을 믿을 수는 없어서'

내 맘에 안 든 꼭지는 '조상혐오를 멈춰주세요', 'D가 웃으면 나도 좋아' 다. 

착하고 좋아보이려고 쓴 글이겠지만, 제사 지내는 어떤 마음에 대해 이해하지 않고 있다. 

매일 새롭게 혐오표현이라고 낙인찍히는 말들의 오랜 역사성을 무시한다. 

김솔통,같은 글을 쓰고 싶다는 말은, 내 말은 가벼우니 반박하지 말라는 말처럼 보여서 또 그러네. 하고 싶은 말은 다 하지만 반론은 사절입니다, 같은 태도로 받아들이는 것은 책이라는 일방적인 소통에 더해지는 감상이겠지. 

공감의 댓글이 잔뜩 달린 타인의 SNS에 대한 반박글인 여행에 정답이 어딨어,라는 글처럼 나도, 공감이 잔뜩 달린 책에 조금은 다른 의견들을 남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2-01-19 10:55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는 가식 없는 사람이 과연 존재하기는 할까 의문입니다. 사람이란 내 자신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보기가 어려운 법이니까요 어떤 일을 직접 경험하거나 책으로 간접 경험한 후에야(것도 아주 마음을 오롯이 연 상태에서)비로소 나도 이런면이 남들보기엔 가식적이었겠구나 하고 조금씩 발견하게 되는 것 같아요.

별족 2022-01-19 11:28   좋아요 3 | URL
제 자신이 엉망진창,인 걸 저는 알고 있어서, 너무 강경한 태도에 자꾸 물러서게 되는 거 같아요. 참 이 글은 미미님 보라고 쓴 글인데요. https://blog.aladin.co.kr/hahayo/13265780

청아 2022-01-19 11:40   좋아요 3 | URL
ㅋㅋㅋㅋㅋㅋ지난번에 읽었어요. 저를 향한 글 같더라구요ㅋ 그 글 보고 나서 생각이 많았는데 이거 쓰면서 저는 별족님생각했어요 https://blog.aladin.co.kr/759250108/13266814 여러지점에서 저랑 생각이 다르시지만 배울점도 많은것 같아요.

별족 2022-01-19 11:46   좋아요 3 | URL
저는 이반 일리치,의 젠더, 를 재미나게 읽었어요.https://blog.aladin.co.kr/hahayo/13206446 저는 남성과 여성은 다르고, 남성이 지배하는 영역(법과 사회)과 여성이 지배하는 영역(이야기와 문화)이 다르다고도 생각해요.

청아 2022-01-19 11:54   좋아요 3 | URL
이반 일리치의 <젠더>궁금하네요. 저도 예전에는 남성과 여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했어요.각자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제2의성>을 읽어보니 그건 그렇게 ‘규정‘되어진 거라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그리고 그 ‘구분‘이 많은 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했고요. 남성중에도 그 ‘구분‘에 부합하는 사람과 아닌 사람들이 상당 수 있고 여성 중에도 마찬가진데 이 규정은 그런것들을 설명해주지 못해요. 단순 이분법으로 자율성과 독창성은 희생당하고 여러 사회문제를 낳는다고 봐요.그걸 이해하고 바라보니 이전보다 명확하게 사회구조가 보이더라구요.물론 공부해야 할 것들이 아직 많이 있지만요. 별족님도 별족님이 믿고 계신대로 계속 공부하시고 저도 그러면서 같이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면 좋겠어요.

별족 2022-01-19 13:11   좋아요 2 | URL
관심이 있으시다면, pc 기반으로 제 서재에서 서재태그 여성, 여성주의 관련 글들을 보셨으면 합니다.

청아 2022-01-19 13:18   좋아요 3 | URL
네~저 은근 별족님 글 찾아보고 있었어요. 계속 볼테니 별족님도 제 글 한번씩 보셨음해요.

별족 2022-01-19 17:17   좋아요 2 | URL
저도 잘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