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를 품은 달 1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단 하나의 운명이고 사랑이었던 여인을 떠나보내야 했던 조선의 젊은 태양 - 훤.
단 하나의 운명이고 사랑이었던 남자의 곁을 떠나 숨어지내야 했던 달 - 연.
죽음마저 갈라 놓을 수 없었던 왕과 액받이 무녀의 사랑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들의 사이에 놓여있는 벽은 서로의 마음도 아니고 밀고 당기는 연애도 아니다.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들이 놓인 위치와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벽이었다.
그들만의 힘과 의지로는 어떻게 해 볼 수 없을 것만 같은 거대한 벽.
안타깝고 애절하고 그래서 더 아름다우면서 때로는 장난같은 그들의 사랑이야기.
MBC가 드라마로 제작하고 있는 소설 [해를 품은 달]의 이야기는 바로 사랑이다.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과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을 읽으면서 이 소설의 존재를 알았다.
'성균관 스캔들'이라는 드라마로 만들어져 인기를 끌었던 [성균관 유생들..]의 작가 정은궐.
그의 소설을 읽어 본 팬들이 말하는 최고의 작품 중의 하나가 바로 [해를 품은 달]이었고
드라마 판권이 팔린 것은 이미 오래전 이었는데 이제서야 뒤늦게 드라마로 나온다고 한다.
[성균관..]과 [규장각...]에 빠져 있을 때 이 소설을 읽어야 겠다고 생각했는데 이제서야 읽었다.
역시 소문대로 정은궐 작가의 대표작이라고 해도 될 재미가 있다. [성균관...] 이상의 재미가.
소설의 중심엔 훤과 연이 있고 그들의 사랑이 있고 그들을 둘러싼 권력을 향한 암투가 있다.
그들이 소설의 주인공이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체임은 틀림없지만 소설엔 다른 이야기도 많다.
연의 오빠인 염을 바라보는 훤의 동생 민화 공주의 해바라기 같은 사랑.
자신의 주인이며 차마 바라볼 수 조차 없는 염을 바라보는 연의 몸종 설의 사랑.
뒤늦게 알게 된 애절함을 오롯이 감추어야만 했던 훤의 호위무사 제운의 연을 향한 연정.
모든 것을 아우에게 양보했음에도 차마 양보할 수 없었던 연에 대한 양명군의 안타까운 감정.
역사 로맨스 소설의 최고 작가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작가는 이 모든 감정을 하나의 이야기로 묶어낸다.
얽히고 설키는 감정의 실타래 가져 온 가슴 아픈 비극과 그 비극의 실타래를 풀어가는 훤과 연의 이야기.
어찌 이 소설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소설에 나오는 모든 감정들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감정인데...
[성균관...]과 [규장각...]을 통해 조선시대 선비들의 삶을 현미경처럼 들여다 보게 해 주었던 작가가
이 소설을 통해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조선시대 왕들의 삶에 대한 정밀한 관찰능력을 보여준다.
작가가 얼마나 많은 사료를 읽고 얼마나 많은 공부를 했는지 소설을 읽는 동안 계속 느낄 수 있다.
복잡한 궁중의 예법은 물론이고 수많은 사람들에 둘러쌓인 왕이 느끼는 한없는 외로움의 깊이까지 들여다 본다.
유교 국가인 조선에서 배척되었지만 궁중의 여인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막강한 힘을 발휘했던 무속 신앙의 모습.
거기에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라는 정치적인 요소까지 버무리는 작가의 솜씨는 놀라울 뿐이다.
그러면서도 결국 '모든 벽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주술은 사람의 마음이다'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세상의 벽을 핑계로 도망치려 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할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가 아닐까?
이미 드라마로 제작되고 있고 내년 1월이면 볼 수 있다고 한다. 김수현과 한가인 주연의 '해를 품은 달'
소설을 읽으면서 두 사람의 이미지를 대입해 보니 나름 잘 맞는 것 같아 한층 기대가 높아진다.
다만 소설에서 글로 표현한 애틋한 감정선을 어떻게 영상으로 표현해 낼 지가 다소 걱정이기는 하다.
그럼에도 소설을 읽고나서 드라마에 대한 기대감이 대폭 상승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달콤한 사랑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충분한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역사 로맨스 소설이다. 강추 !!!
P.S : 드라마가 시작되면 '연' 역할을 할 한가인이 엄청나게 스타덤에 오를 것 같다.
누군지 모르지만 '제운' 역할을 할 배우과 '설' 역할을 할 배우도 분명히 뜰 것 같은 예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