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론 - 구조, 연대, 창조
앤서니 엘리엇 & 브라이언 터너 지음, 김정환 옮김 / 이학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의 미디어화"는 자신의 경험과 주변에서 흔하게 찾을 수 있는 사례이고, 숙고가 필요한 주제 같다.

공들인 번역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내용이 지루하다.... 또는 산만하다...


Sherry Turkle, 『스크린 위의 삶』Life on the Screen.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람들은 젠더, 성적 지향, 인종, 종족, 지위, 계급 등을 바꿀 수 있다. 요컨대 온라인상의 자아Net-self는 구체적인 상황 속의 자아를 뛰어넘는 것이다. - P216

마크 포스터, 『뉴미디어의 철학』
실시간으로 전 지구상에서 접해볼 수 있는 컴퓨터 글쓰기는 비선형적 시간성 속으로 진입하여 글 쓰는 주체와의 관계를 동요시킨다. ... 컴퓨터 글은 포스트모던한 주체를 만들어내는 공장과 비동일적인 주체를 구성하는 기계를 도입하며, 서구 문화가 가장 만개해 있는 곳 속으로 그것의 타자를 각인시킨다. - P218

William Bogard 왈, "사이버스페이스의 커뮤니케이션은 낯설고 이상하다. 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영토가 사라지고, 멀고 가까움,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내부와 외부 사이의 대립이 붕괴한다.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모조되며, 집단성은 그 경계를 상실한다." 가상의 대화 상대자 사이의 유대를 대인 관계로 기술하는 것은 곤란한데, 가상에서의 대화 흐름은 대단히 예측 불가능하고, 혼합적이며, 개방적인 네트워크 및 연결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때때로 이 가상의 공간은 성별, 젠더, 인종, 종족, 계급, 사회적 지위 등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표지가 무화되어버리는 "정체성이 없는" 낯선 영역이 된다. 가상의 사회성을 권리와 의무 등 통상적인 도덕적 담론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은, ‘스크린 위의 삶‘에는 구조화된 사회적 삶에 저항적인 것으로 드러나는 몸시 환영적인fantasmatic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 P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