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살아계실 때 함께 할 것들
신현림 지음 / 흐름출판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 살아계실 때 함께 할 것들』, 신현림, 흐름출판, 2011.
이십 년 전, 임시직 첫 직장에서 낯도 익히지 못했던 사수가 내게 물었다.
“詩 좋아해? <서른 잔치는 끝났다> 최영미, 좋아할 것 같은데…”
이십대 중반이었던 나는 김광석의 음악을 듣고, 최영미의 시를 읽는 사람이 이 땅에 얼마나 많은지 가늠하지 못했다. 김광석은 이미 천 번째 공연을 향해 가고 있었고, 최영미의 시는 몇 십 만부가 팔렸을 터. 그들의 음악과 시를 나만의 고유한 취향이라고 믿었다. 나의 내면을 들킨 것처럼 깜짝 놀라며, 사수에게 경외감을 느꼈다. 이 정도로 나를 아는 직관이라면, 믿고 따르겠다는 충성심이 저절로 생겼다. 대학을 갓 졸업하고, 직장에서 이런 선배를 만나게 된 건 천운이라고 생각했다. 그 시절의 나는 - 순수했다고 말하기에도 부끄러울 만큼 - 어처구니없는 청춘이었다.
최영미의 시만큼, 신현림의 <세기말 블루스>가 좋았다. 경계 없이 거침없이 넘나드는 세기말의 증후가 느껴지는 그녀의 시를 -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 읽고 또 읽고, 일기장에 필사했다. 이후 출판된 『빵은 유쾌하다』, 『시간 창고로 가는 길』도 좋았다. 하지만 <신현림의 싱글맘 스토리>부터 우리는 이제 저자와 열혈 독자에서 결별해야 할 시간이 왔음을 직감했다.
이번에 『엄마 살아계실 때 함께 할 것들』을 읽으며, 그 생각은 더욱 분명해졌다. 사진작가, 시인, 에세이스트. 세상의 규범에 포섭되지 않을 것 같았던 신현림은 착한 딸, 좋은 엄마, 가족의 울타리 안에서 행복을 찾는 지극히 평범한 소시민, 그 자체로 느껴졌다. 그녀의 생각에 딴지 걸 생각은 없다. 다만 젊은 미혼의 여성에게 다음과 같은 충고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시대가 아무리 변했어도 엄마들은 자식들 시집장가 보내는 일에 최고의 의미를 둔다. 이것은 부모의 본능이다. 자식이 제아무리 괜찮다 해도, 제아무리 잘 나가도 짝을 찾지 못하면 소용없는 일이 된다. 좋은 짝을 만나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드리는 것, 그것만 잘해도 당신은 이미 효녀다.(173쪽)”
보건복지부의 건강사회 캠페인 문구 같다. 마치 결혼하지 않은 사람은 이기적이라는 논리가 느껴진다. 저자는 결혼이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원하면, 노력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인생의 과업이 결혼이었던가? 자녀의 결혼이 부모 행복의 필요조건임은 인정한다. 자녀의 선택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부모의 사랑이다. 둘은 상보적 관계에 있다. 부모든, 자녀든 서로가 어떤 상태로 살게 되더라도 존중하고 지지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우리는 자기 윤리를 실천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가야 한다.
시절 인연이 다하면, 헤어져야 하는 모든 연인처럼, 독자도 떠나야 할 때가 오게 마련이니. “지루한 세상에 구두를” 던졌던 “세기말 블루스”의 저돌적인 신현림이 그립다. 나의 추억은 이만 접고, 하루하루 가족을 더 많이 사랑하고자 노력하며 결 고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신현림의 행복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