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이 모든 걸 충분히 알아보게 만들기 전, 은밀한 임무를 완수하듯 외주 사무실에 일을 갖다 놓고, 나 자신을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아도 되는 혹은 된다고 생각하며 방심하고 있던 내게 달은.
그 광경을 사진으로 찍고 그림으로 변환할 생각을 했다. 문득, 왜 그래야 하지. 이것은 혹여 치장일까. 내겐 그보다 더 큰 매혹이 있다. 이 이미지를 통해 도약하고픈 욕망이다.
˝사진은, 두려움을 주거나 찡그리거나 비난할 때가 아니라 생각에 잠길 때, 파괴적이란 특성을 갖는다. ˝
˝사진가의 투시력은 ‘보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바로 촬영 장소인 ‘그곳에 있다‘는 사실에 있다. ˝
ㅡ 롤랑 바르트 《카메라 루시다》(초판 1986~1998, 열화당) or 《밝은 방》(2006, 동문선)
그렇다. 나는 저 사진 속 공간과 시간을 지금도 한참 음미하고 있다.
모든 표현은 우리가 강렬하게 빠져든 매혹에 대한 증거이다. 그것들은 우리를 이루는 원소들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빅뱅과 인간의 탄생은 매우 유사하다. 응축되고 팽창하는 전 과정이.
막연히 쓰고 싶다, 그리고 싶다, 하고 싶다 말하는 것은 거짓 열정이다. 진정 원할 때 그것은 이미 튀어나와 있다. 그 선정성이 누군가의 맘엔 들지 않을 수도 있다. 지적, 반박, 비난, 매도 온갖 공격이 들어올지도 모른다. 그러나 부차적인 문제다. 진짜 내 속에서 나온 거라면 외부의 반응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향할 수밖에 없다. 조르주 바타유도 그걸 잘 알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몇몇이 더.
어떤 침잠들. 어떤 심지들.
죽음만큼 그것들은 막을 수 없고 그 때문에 우린 파국을 기어이 마주한다.
롤랑 바르트의 《마지막 강의》도 이젠 사야 할 때가 되었다.
ALEPH(알레프) _ Fall in Love Again
https://youtu.be/l25XvvIEiE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