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이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기억의 작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간의 본질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아무도 나에게 그것[시간의 본질]을 묻지 않으면, 나는 그것을 안다. 그러나 그것을 묻는 사람에게 내가 그것을 설명하려 하면, 나는 그것을 모른다.˝
ㅡ한나 모니어, 마르틴 게스만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


관련해 시 한 수...


벌레의 별


사람들이 방안에 모여 별에 대한 토론을 하고 있을 때
나는 문 밖으로 나와서 풀줄기를 흔들며 지나가는
벌레 한 마리를 구경했다
까만 벌레의 눈에 별들이 비치고 있었다
그것을 사람들에게 보여 주기 위해 나는 벌레를 방안으로 데리고 갔다
그러나 어느새 별들은 사라지고
벌레의 눈에 방안의 전등불만 비치고 있었다
나는 다시 벌레를 풀섶으로 데려다 주었다
별들이 일제히 벌레의 몸 안에서 반짝이기 시작했다

ㅡ 류시화





기억은 은폐자인가 신중한 유보자인가. 아이러니하게도 그 신비만큼 취약하다. 광유전학(세포들을 유전학적으로 변화시켜서 그것들이 빛에 반응하게 만드는 것)은 공포를 전이하는 실험에 이미 성공했다. 공포가 가장 만들기 쉬운 지 모른다.
내 그림의 스위치를 아무리 켜도 켜지지 않는다 해도 공포와 연결되진 않을 것이다. 기억은 다른 환영의 길을 어떻게든 만들겠지. 저자들은 기억이 과거 보관소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작동 스위치라고 말하고 있다. 터무니없는 기억 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설득력 있다. 그러나 문을 열면 불이 켜지며 내용물이 보이는 ‘냉장고‘ 비유는 적절한가. 기억이 전기적 활동으로 움직인다는 데서 냉장고를 가져온 건 알겠는데 냉장고에 보관물을 채워놓지 않으면 아무 쓸모없잖나. 화려한 논리와 마찬가지로 비유도 사람을 감탄하게 만들지만 반드시 허점이 발생한다. 자체 허점뿐 아니라 타인의 에토스와 파토스가 그에 상응하고 수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다. 이런 간극을 메우기가 가장 어렵다. 그래서 사실과 객관을 그토록 강조하지. 문학과 예술이 자유를 부르짖는 건 이런 맥락도 작용한다.

「흑인 오르페」를 들을 때마다 자극받는데 (영화, 음악, 개인적) 기억과 연관되는지 감정에 기인하는지 모호하다. 당연히 다층적이겠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르면서 작동하고 겪고 있다. 하여 나 자신에게 늘 이물감을 느낀다. 기쁨은 외부에서만 오는 선물 같고 고통은 너무도 꼭 맞는 슈트 같은 것도 우습다. 터무니없는 일 투성이.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8-25 07:1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기억은 현재에 의해 끊임없이 재해석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불행하다면 과거의 불행의 결과로 지금의 불행을 해석할 것이고, 지금 행복하다면 어려움을 통해 자신의 성장이 이루어졌다고 해석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림의 빛(또는 내리는 비)는 기억을 의미하나요?^^: 미래의 한 점에서 쏟아져 내리는 것이 마치 기억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AgalmA 2017-08-25 02:46   좋아요 1 | URL
말씀에 동의합니다. 역사도 승자의 기록 아니던가요^^;
그림은 저 책 읽기 전에 그린 거라 기억과 직접 관련은 없습니다. 빛 혹은 비처럼 표현하려 한 건 맞아요. 겨울호랑이님 요즘 제 그림 적중률 엄청 높으신데요ㅎㅎb ‘미래의 한 점에서 쏟아져 내리는 기억‘이라...멋진 문장입니다. 언젠가 제가 sf 소설 쓰면 써보고 싶은 문장이네요^^ 이 문장 저한테 선물해 주세요! 보은은 고양이로 태어나면 갚아 드릴지도...말이야 방구야)))

겨울호랑이 2017-08-25 07:15   좋아요 1 | URL
^^: 여태까지 쌓은 AgalmA님과의 친분을 고려하여 저렴하게 문장을 공급하겠습니다.ㅋㅋ 농담이구요. AgalmA님께서는 SF 소설 구상 중이시군요. 조만간 좋은 작품 기대하며 선물 드리겠습니다.^^:

AgalmA 2017-08-25 19:08   좋아요 0 | URL
일에 치이며 남는 시간엔 딴짓만 하고 있으니ㅜㅜ;

페크pek0501 2017-08-23 14: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무도 나에게 그것[시간의 본질]을 묻지 않으면, 나는 그것을 안다. 그러나 그것을 묻는 사람에게 내가 그것을 설명하려 하면, 나는 그것을 모른다˝
- 이 글을 읽으니 이런 글이 생각나네요.
사랑한다고 말하는 순간, 그 의미는 퇴색된다. 라는. ㅋ

AgalmA 2017-08-25 03:09   좋아요 1 | URL
제가 즐겨 인용하는 문장인 ‘도를 도라고 말하면 도가 아니다‘ 그런 셈이죠. 내 안에 있을 때는 보석 같을 지라도 바깥으로 내보이면 흔한 돌멩이나 오류가 되곤 하죠. 류시화 시인의 시도 이런 내용이 있죠. 위 본문에 추가했습니다. 류시화 시인의 저 시집 제목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내용도 일종의 역설이죠. pek0501님이 ‘퇴색‘을 말하시기도 했지만 본질적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우리의 딜레마죠.
여튼 핵심은 타자죠. pek0501님과 제가 자주 겹치는 관심거리이자 문제이기도 할 텐데요. 타자가 끼어들면 관점이 다양해지니 자신이 앎이라 여겼던 것이라든지 소중함이라 여겼던 것이라든지 신비가 쉽게 벗겨지지요^^; 서로의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만 남게 된 달까.

페크pek0501 2017-08-27 15:44   좋아요 1 | URL
˝내 안에 있을 때는 보석 같을 지라도 바깥으로 내보이면 흔한 돌멩이나 오류가 되곤 하죠.˝
- 예를 들면 자기 자식이 제일 잘난 줄 알지만 바깥에 나가면 흔한 사람 중 하나다, 가 되겠네요.
재밌어요.

저는 반대로 해석해 봤어요.
류시화의 시 - 아름다운 것을 보고 욕심 부려서 집에 가져 왔더니 아름다움을 잃었다. 마음(욕심)을 비우고 소유하지 않기로 하고 그것을 제자리로 갖다 놨더니 그것은 다시 아름다움을 되찾았다.
(이런 해석도 재밌지 않나요?)

AgalmA 2017-08-28 20:32   좋아요 1 | URL
마지막 pek0501님 해석이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해석일 겁니다. 저도 처음엔 그 해석이었거든요. 이번엔 다르게 해석해 본 것일 뿐 사실 그 해석의 비중이 제겐 더 큽니다^^

뷰리풀말미잘 2017-09-13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아갈마님! 롱 타임 노 씨! 기체후 일향만강하신지요. (_ _)

˝광유전학(세포들을 유전학적으로 변화시켜서 그것들이 빛에 반응하게 만드는 것)은 공포를 전이하는 실험에 이미 성공했다.˝ 이거 어디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을까요?

AgalmA 2017-09-13 11:41   좋아요 0 | URL
안녕/ 뷰리풀말미잘님/

제가 참고한 건 이 글에 가져온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에서 챕터 제목 ‘버튼을 눌러 회상을 유발하기‘ 부분이고요.
https://books.google.co.kr/books?id=JOEtDwAAQBAJ&pg=PT69&lpg=PT69&dq=공포 유전 실험&source=bl&ots=nDBawZIDVi&sig=gTwlqhdA9xHp7jxMD10cfbMw-Mo&hl=ko&sa=X&ved=0ahUKEwjg3LH4jqHWAhXMu7wKHWbMCuwQ6AEITjAN#v=onepage&q=공포 유전 실험&f=false

에릭 캔델, 래리 스콰이어 <기억의 비밀>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 거 같아요.
https://books.google.co.kr/books?id=O_VCDAAAQBAJ&pg=PT439&lpg=PT439&dq=공포 유전 실험&source=bl&ots=Zr6_T3bxPc&sig=h9oi741m7fw4ORRS6BwA4rLD-hM&hl=ko&sa=X&ved=0ahUKEwjg3LH4jqHWAhXMu7wKHWbMCuwQ6AEIRzAL#v=onepage&q=공포 유전 실험&f=false

강석기 <사이언스 칵테일>도 참고/
https://books.google.co.kr/books?id=KFJ_CgAAQBAJ&pg=PT37&lpg=PT37&dq=공포 유전 실험&source=bl&ots=ZRNatq9E66&sig=I6AuerrtmONoxqXOHX-jGhUnWII&hl=ko&sa=X&ved=0ahUKEwjg3LH4jqHWAhXMu7wKHWbMCuwQ6AEIUTAO#v=onepage&q=공포 유전 실험&f=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