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해서 중학교도 중퇴하고 하인, 사무보조, 사서, 은행 사무원, 공장노동자로 살았던 그가 작가라는 소위 지성인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건 그의 잘못이 아니다.
하인... 그래서 그가 <벤야멘타 하인학교>를 썼던 거구나 생각했다.
1차 세계대전을 겪었고, 자살에도 실패하고, 정신병원에도 입원해 봤지만 사는 건 녹록지 않았다. ‘쓰기‘와 ‘걷기‘는 그의 일상, 그의 친구, 그의 안식. 그의 죽음은 쓰기와 걷기 사이에서 마침내 벌어진 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1956년 크리스마스 아침 산책을 나간 길에서 홀로 눈밭에 쓰러져 죽은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이 문장에서 저절로 묵념했다. 그리고 이어지는 짧은 소설들, 어쩌면 산문에 더 가까운.
첫 단편은 시인에 대해서.
두 번째는 죽음에 대해서.
세 번째는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견이나 한 듯한 <크리스마스 이야기>
「모자와 외투는 순식간에 눈으로 하얗게 변했다. 주변의 모든 사물도 사람도 다 마찬가지였다. 천지는 소리가 없고 불빛만이 반짝였다. 마치 지금 이 세상에는 오직 정겨운 집만이,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온통 즐거운 기분만이, 오직 다정한 대화만이, 말할 수 없는 행복만이 넘치는 것처럼.
그 지식인은 지금 분명 눈이 소담스럽게 쏟아지는 창밖 풍경을 바라보고 있으리라. 그도 눈을 보고 기뻐할까? 분명 그렇겠지! 이렇게 아름답고 환상적으로 내리는 눈에 기뻐하지 않을 인간이 어디 있겠나. 눈 내리는 광경을 보면 누구나 다 그 아름다움에 탄복한다.
그 순간 나는 여러 아이들의 아버지이면서 동시에 다시 한 명의 아이로 돌아갔다. 나는 아이를 가슴에 껴안은 어머니이면서 동시에 아직 말도 할 줄 모르는 어린아이였다. 나는 상상 속에서 집을 갖고 있었다. 집 앞에서 개가 짖었다. 명랑한 여인이 착한 남편을 기다렸고 아이는 책상에 앉아 학교 숙제를 했다. ‘눈이 내리면 내 마음은 행복한 시민계층, 행복한 가장의 심정이 되어버리는구나. 무의식중에 아몬드, 오렌지, 대추야자를 먹으며 크리스마스트리의 전나무 가지가 촛불에 타들어가는 소리를 듣는구나. 온 세상의 축제의 향기가 내 앞에서 넘실거리고 나는 기꺼이 한 명의 착실한 남자가 되어버린다. 튼튼하고 강직한 가장이 되어버린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아늑함이라고는 전혀 없는 집으로 돌아갈 용기를 낼 수 있겠는가? 눈으로 덮인 채, 눈 속에 파묻힌 채 온화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자여. 비록 전망은 앙상했지만 그래도 생은 아름답지 않았는가.‘
나는 바닥에 앉아 잠들 때까지 그대로 있고 싶었다. 그러면서 눈 위에 뭔가를 써보기로 했다. 여기 자연상태와 마찬가지로 내 시에도 눈송이들이 어지럽게 흩날리기를 바랐다. 여기서 내가 느끼는 그리움이 표현으로 나타나기를 바랐다.」
아, 그는 크리스마스 아침 죽어가면서 바닥에 시를 쓰고 죽어 갔을지도 모르겠다. 슬펐겠지만 그 순간 스스로를 위로할 방법을 이미 생각해 봤잖은가.
카프카가 발저를 왜 그렇게 좋아했는지 알 거 같다. 두 사람의 글은 마치 쌍둥이 같다. 교육을 혐오하는 것까지도.
한겨울 이 책이 나왔으면 좋았을걸. 겨울이 다시 올 때까지 기다리기엔 글이 너무 아름다워 참을 수 없다. 방법은 간단해. 지금 읽고 겨울에 또 읽으면 되지.
산책자가 걷는 숲의 줄기 하나를 가져온 듯한 연두색 끈, 이제껏 본 책 끈 중에 가장 아름답다. 눈이 시릴 정도로.
상처 난 손가락이 쿡쿡 쑤신다. 눈이 쌓이듯.
Matthew Bourne - Menis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