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을 측정하는 장비로는 버펄로보다 가이거계수기가 훨씬 정확하다˝
(리언 레더먼, 딕 테레시 《신의 입자》)

《컨택트》 영화에서 헵타포드 우주선에 갈 때 방사능을 두려워해 카나리아를 가지고 간 장면은 하나의 미장센이기도 하지만(고요 속 새 울음소리!) 아날로그성, 생물성을 더 우위에 두는 인간 습성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또 다르게 생각해 볼 여지도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인간의 의심과도 연결할 수 있다. 수학, 물리학 등에 사람들이 어려움 내지 거부감을 느끼는 것과도 유사할 텐데, 보통 사람들은 이해가 어려운 계산적 수치보다 기존의 양상 - 경험, 물질적 결과를 더 선호한다. 신뢰가 선호에 끌려다니는 건 늘 안타까운 일이지. 기계의 오류, 한계를 늘 지적해왔지만 알파고 능력에 사람들은 할 말을 잃기 시작했다. 급속히 데이터화 되어가는 현실에서 디지털 경계가 많이 허물어졌어도 인간은 언제나 마지노선을 가지고 싶어 하지. 마지막 마지노선이 늘 자신이라는 걸 잊고서. 안 보이는 신을 믿듯이. 신의 유무에 대한 인식은 과학자들이 끝없이 원자를 깨고 들어가듯 우리가 철저히 자신을 깰 때 가능할 것이다. 니체는 19세기 식으로 깨려 했다고 생각한다. 20세기 식은 다윈?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적어도 인문학자는 아닌 거 같다. 21세기 방식은 누구인지 나는 아직 알지 못한다. 궁금하다.

에이브러험 링컨 대통령 키가 198센티미터였다니... 왜 그림들은 그를 왜소하게 그렸단 생각이 들지. 워싱턴 링컨 기념관의 링컨 동상이 거대해 보여도 198센티미터면 업적이 아니어도 수긍할 만하다!

《신의 입자》 읽으면서 나는 이런저런 딴 생각 순환선... 갈 길이 멀군.
하지만 전자기학(전자)과 상대성이론(빛의 속도), 양자역학(플랑크상수)의 핵심이 담겨 있다는 ‘미세구조상수‘ 137 하나는 잊지 않게 배웠다. 저자는 언어가 안 통하는 곳에서 곤경에 빠졌을 때 137이라고 쓴 푯말을 들고 있으면 물리학자나 물리학 학생들이 이 중요한 숫자를 알아보고 도와줄 거라고 말한다.
너무 오지에 가면 소용없을 텐데. 언어도 안 통하는데 숫자 표기를 알아볼까 싶지만; 137이 666처럼 악마를 상징하는 숫자라고 생각하는 원시 부족을 만나면 어뜩해! 헤이조그 영화 《피츠카랄도》 생각나네. 피츠카랄도의 하얀 증기선을 부족의 구원자로 예언된 하얀 신의 모습이라 생각해 부족이 배가 밀림을 통과하도록 온갖 희생을 감수했던 이야기가. 믿음, 인간의 심리 작용은 우릴 너무 쉽게 움직인다. 그러니 자유의지도 늘 의심스럽지. 배움, 앎 또한 인간의 집단 최면 작용이라면? 인간 종은 세상에 불가해한 비밀이 있다고 생각하는 신비주의자들 같다. 암튼 또 신 얘기. 무슨 얘기만 하면 신 얘기로 도돌이표...빌어먹을 입자(Goddamn Particle)에서 damn을 빼면 쉽게 신의 입자(God Particle)가 되지만, 신 얘기는 신나는 얘기는 아니지. 어쩌면 질소만 가득한 과자봉지 같을 수도 있다는.... 이 과자가 네 고..아니 과자냐. 산신령을 등장시키지만 산신령을 갖거나 되고자 하는 건 아니고 내가 과연 도끼를 얻을 수 있는가가 더 중요한 그런 이야기.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벤투의스케치북 2017-03-10 00: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상념이 자연스럽고 성찰적이시네요.,, 제 리뷰의 무미건조함을 반성하게 하는 글입니다. 다시 한번 읽고 새 리뷰를 쓰고 싶어지네요...자연스러운 연결, 참 좋습니다...^^

AgalmA 2017-03-10 01:15   좋아요 1 | URL
서로 쓰는 성향이 다른 것이지 벤투님이 반성까지 하실 정도의 글은 아닌데요;; 페이퍼식 글쓰기는 벤투님이 더 많이 잘 쓰시잖습니까~
분명 허점 많겠지만 이런 식으로 이 생각 저 생각 하는 게 습관이라...

겨울호랑이 2017-03-10 08:2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금 이 순간 신(神)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깊이 들어가도 신을 발견할 수 없고, 멀리 바라봐도 신을 발견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그러다가 틸틸(치르치르)와 미틸(미치르)의 ‘파랑새‘처럼 주변에서 발견하거나, ‘미운 오리 새끼‘처럼 자신이 백조라는 것을 깨닫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AgalmA 2017-03-12 19:49   좋아요 1 | URL
서양철학에서 이오니아 학파(그리스 자연철학자들)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보다 더 진보적이고 혜안이 밝았는데도 묻혔죠. 그들의 직접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는 게 가장 문제적이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도 그들의 영향을 부정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 들였지만 자기식으로 해석하는 변형이 또 있었죠. 저자는 <신의 입자> 2장에서 그리스 철학자들이 ‘원인‘ 분석적 사유자였다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너무 ‘목적‘적 사유에 치우쳐 신을 상정할 수 밖에 없는 철학틀이었다고 말합니다. 어찌 되었든 그리스 철학자도 소크라테스 이후 철학자도 원인을 더 깊이 파고 들어가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게 3000년 넘게 지속되었고요. 중세 때는 퇴보하기도 하면서.
현재도 끝없이 쪼개고 들어가는 과정 중이죠. 과거 철학자나 과학자들이 원소라 통칭하던 걸 ‘쿼크와 렙톤‘까지로 발견한 상태이지만 어찌 될 지 또 모르죠. 천동설과 지동설 경우처럼 오늘의 탄핵 인용처럼 새로운 관점이 나오면 우린 또 새로운 배치를 시작할테니... 아, 이러다 댓글로 리뷰쓰는 식이 될 거 같아 여기서 마무리할께요^^
겨울호랑이님, 좋은 댓글 늘 감사드립니다^^/ 박 길라임 탄핵도 되고 오늘은 좋은 날~

겨울호랑이 2017-03-10 12:26   좋아요 1 | URL
과학의 발전이 과거의 ‘추상적 사유‘를 보다 논리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에도, ‘과학의 발전속도‘가 ‘생각의 속도‘를 추월하지는 못한다는 생각도 드네요.. ‘빛‘보다 빠를 수는 없는 것처럼요.ㅋ Agalma님 글을 읽다가 든 생각인데, ‘생각의 속도‘와 ‘빛의 속도‘ 중 어느 것이 더 빠를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Agalma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은 아직 읽지 않은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에 포인트로 저장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독서 포인트 제공에 감사합니다.^^: Agalma님 행복한 금요일 오후 되세요!

AgalmA 2017-03-10 12:42   좋아요 1 | URL
우리의 삶은 우리의 사유에서 나오는 것이니 사유의 틀에 갇히면 오도가도 못하는 거죠ㅎ;;
기술에 대해선...지금까지는 효용적인 것으로 많이 운용되었다면 현재는 스스로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그럴 테고요. 핵 경우만 해도 감당할 수 없는 재앙을 스스로 불러들인 격이잖아요ㅎ; 멀리 보지 않는다는 게 대다수 인간의 문제. 쯧쯧....

신의 입자 읽으면서 쿼크와 렙톤이 서로 뭉치고 흩어지면 무엇이든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걸 생각할 때 인간의 사유 속도는 당연히 더 느릴 거란 생각을 저는 하게 되네요^^ 우리의 생각이 그 물질의 모임 속에서 만들어진 2차 가공물이라는 현실적 추론 아니더라도.

아, 루크레티우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책 좋습니다. 도서관에서 빌려서 봐서 다 못 읽고 반납했는데 소장하려고 벼르고 있는 책 중 하나요^^ 루크레티우스 글은 현상학을 벌써 말하고 있었다는 걸 알게 해줬어요/

겨울호랑이 2017-03-10 15:19   좋아요 1 | URL
^^: 저는 기술의 발전 속도만큼 인간의 마음/제도가 못 따라가서 Agalma님께서 말씀하신 현대의 재앙이 나타났다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여러 면에서 균형적인 발전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하게 되네요..

^^: 저는 ‘생각(사유)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에 1표! ㅋ ‘빛의 속도‘는 일상의 속도보다 상대속도는 느려지게 되지만 결국은 실현되는 속도인 반면, ‘생각‘의 속도는 다른 차원으로도 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예를 들면, 지금 탄핵한 박근혜 이후 세계에 대해 우리는 여러 생각을 할 수 있지만, ‘빛‘의 속도로는 그런 미래의 여러 차원에 가기 힘들지 않을까...하는 근거없는 상상을 해봅니다.ㅋ

AgalmA 2017-03-10 13:24   좋아요 1 | URL
우리의 지금 시간 개념은 선형적이라 한계가 있죠. 시공간을 나눈 것도 역시나 한계일텐데, 어찌 되었든 다중 우주 개념으로 생각한다면 이미 실현된 우주도 있을 겁니다. 즉 우리의 현재 사유는 늘 뒤따르는 현상이 아닐지. 기술 재앙에 대해서 우리 맘이 못 따라갔듯이 말이죠.

속도라.... 갈릴레이에서 이미 결론났지만 같은 조건에서는 모든 물질의 속도는 같다고 하죠. 여러가지 요인들이 섞이는 이 땅에서는 무거운 것이 마찰력 때문에 더 빨리 떨어질 뿐이지만. 즉 생각과 빛이 정확히 같은 상황이라는 설정이 필요합니다. 단순 매칭 비교는 인문학적 추론이지 과학적이라고 보긴 어려워요. 하지만 겨울호랑이님 추론은 매력적이죠^^

겨울호랑이 2017-03-10 15:19   좋아요 1 | URL
^^: 제 생각이 즉흥적인 생각이라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았네요.ㅋ Agalma님 덕분에 이 부분에 대해 더 재밌게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어요.... ‘시간‘과 ‘속도‘라는 문제가 지금은 ‘어려운 문제‘라는 생각만 들지만요.. 저의 개떡 같은 질문에 ‘찰떡‘같이 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Agalma님 행복한 오후 되세요^^:( Agalma님과 댓글을 쓰다보면 책나오겠어요...ㅋ)

AgalmA 2017-03-10 13:53   좋아요 1 | URL
겨울호랑이님 사유는 이미 찰떡 같으심^^ 저도 덕분에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어 유쾌하고 유익합니다. 이런 친구 만나는 거 어려운 일인데, 겨울호랑이님 존재가 참 고맙습니다^^/
우리 둘 다 공부가 부족하다! 매일 한탄하니 책이 언제 나올 지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