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이 늦는 거야 조금 기다리면 되니까 상관없어요. 문제는 책 상태죠.
* 책 상태 판정에 대한 이의제기
제가 싫어하는 중고책 상태가 있는데요.
책날개를 읽는 표시로 이용하는 사람의 책이에요. 이렇게 책 읽는 분들, 제발 그러지 마세요ㅜㅜ 급할 때 한두 번이야 그럴 수 있지만 읽는 내내 그렇게 읽었으니 이렇게 됐겠죠. 뭐 그런 책도 중고로 팔 수 있는 거니까 그렇다치고, 서점측의 책 상태 판정이 문제죠. 이런 책은 책날개도 변형되고 가장자리도 흉하게 휘어요. 단지 낙서나 얼룩이 없다고 해서 [상]급이 아니라 이런 책도 [중]급이라고 해야 해요. 이렇게 한 번 변형되면 위에 책을 눌러 놓는다고 펴지지 않아요. 서점이 이걸 모릅니까.
* 책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처리
코팅이 안 된 책은 조심히 다뤄야 해요. 보풀도 잘 생기고 금방 때가 묻으니까요. 그래서 어떤 매장은 이런 책을 비닐 래핑하고 가격 스티커를 붙이죠.
신촌점에서 온 책은 가격 스티커 떼다가 표지도 같이 찢어져서 안그래도 상한 기분에 급폭발했어요. 최상 상태였던 책이 한순간에.... 이렇게 훼손된 거 반품도 안될 거잖아요.
래핑이 번거롭다면 스티커의 접착력을 책에 맞춰 제작했어야죠. 책을 보호하는 온갖 굿즈 만들면서 서점 현장에서는 이게 뭡니까.
우주점 이용 많이 했지만 이번 신촌점 중고도서엔 정말 화가 많이 났어요. 책을 다루는 서점이 이렇게 미숙하면 어찌합니까.
책을 신격으로 받들자는 게 아니라 쉽게 손상되는 물건이니 조심히 다루고 섬세하게 살피자는 거죠.
알라딘 중고 서점 많이 이용하지만, 읽고 싶은 맘이 싹 달아나는 구매였습니다.
신촌점에서는 다시 구매 안 합니다!



고객생애가치란 한 고객이 생애에 걸쳐, 즉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간 동안 기업에 가져다주는 가치의 총 합계를 뜻하며 보통 수익의 합계로 나타낸다. 고객생애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업은 소비자가 서비스에 접속해 있는 동안 어떠한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는 2023년에는 제품 판매 기업 중 75%가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스트리밍 라이프의 핵심 키워드는 결국 ‘개인의 취향을 얼마나 만족시켰는가’라는 소비자 맞춤형 경험이 될 것이다. 『스트리밍 이후의 플랫폼』의 저자 노창희 미디어미래연구소 실장은 구독형 서비스 사업자들에게 이용자의 피드백은 무시할 수 없는 핵심 자원이며, 미디어 생태계를 이용자가 주도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설정하는 전략도 기존 렌탈 시장의 잔존가치 계산법이나, 제품 가격에 배달 금액을 더한 배송산업처럼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소비자가 기꺼이 내고자 하는 금액, 소비자가 이 서비스의 가치라고 판단하는 금액이 되어야 한다. 저성장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취향의 수준이 높은 밀레니얼 세대는 낮은 가격만을 우선시하지 않는다. 구매 후 얻을 수 있는 혜택과 만족감이 크다면 가격은 첫 번째 고려 요소가 아니다. 소유하지 않으면(빌리면) 가격이 싸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른 관점이다. 스트리밍 라이프에서 소비자는 스쳐 지나가는 뜨내기손님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야 하는 동반자에 가깝다. 끊임없이 고객을 파악하고,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변신하고, 고객이 마음에 들 만한 신제품을 찾아 나서야 한다. 구매가 아닌 구독의 시대, 고객과의 접속은 더 쉽고 빨라졌지만 관계를 맺고 소통을 이어가기는 더 어려워졌다.
피보팅은 계획보다는 실험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연속적·불연속적 혁신과 다르다. 피보팅은 미리 철저하게 계획하고 실행하는 혁신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소비자 니즈에 대응하고자 ‘가설 설정-실행(테스트)-수정-실행’을 끊임없이 반복하며 전략 방향을 수시로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디커플링』의 저자 탈레스 테이셰이라Thales S. Teixeira 교수에 따르면 기업이 실패하는 주된 이유는 혁신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많은 기업들은 혁신 기술을 보유한 경쟁사 때문에 자신들이 흔들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이들이 뒤처지는 이유는 소비자의 바뀌는 행동 양식에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장 파괴의 주범은 ‘기술 혁신’이 아니라 ‘소비자의 선택’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