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Img725472183609479.jpg)
어쩌다가 그날은 심야의 영화관에 혼자 가게 되었을까. 보고나면 오랜 친구와 함께 소주 한 잔 기울이고 싶어질 거라던 이 영화. 그러나 그런 기분을 함께 나누고 싶은 친구는 멀리 있었고, 가까이 있는 친구들은 이 영화를 보고싶어 하지도 않았거니와 같이 가준다고 했어도 내가 거절했을 것이다. 보고나서 정말 누군가와 술잔을 기울이고 싶어진다면, 내 속의 많은 나 중에서 하나를 불러내면 될 일이었다. 그렇게 나름대로는 강단지게 마음먹고 혼자 나선 길이었는데,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사실 쓸쓸했다. 후에, 이 영화를 떠올릴 때마다 벌거벗은 이얼이 기타를 치는 모습과 함께, 관객도 많지 않던 심야의 영화관에 혼자 앉아 있던 내 모습이 떠올라 가슴이 아려지곤 했다.
하지만 그 가슴아림은 이제 잊혀질 것 같다. 얼마 전 TV로 다시 접한 이 영화에서 내가 본 것은 이전 영화관에서 느꼈던 삶의 어떤 남루함이나 고단함이 아니라, "사랑밖에 난 몰라" 라고 한 마디로 잘라 말할 수 있을 어떤 희망이었던 것이다. 예전엔 미처 봐내지 못한 희망을 새로이 느낀 것만으로도 충분히 고마운데 오늘 이들은, 그날의 쓸쓸했던 나를 잊을 수 없노라고, 정말 고맙다고, 당신이 있어 영화가 영원히 기억될 것이고, 또 이 음반도 나올 수 있었노라고, 그러니 이제 당신을 위해 특별한 공연을 시작할 거라고 하고 있지 않은가. (아, 나는 정말 영광스럽게도 이 영화를 본 15만 관객 중 한사람이었고, 지금 뒤늦게 이 사운드트랙을 구입해 나를 위한 그들의 특별 공연을 만끽하는 중이다)
쉿, 이제 시작한다. "야간업소의 비틀즈, 와이키키 부라더스"가 함중아의 "내게도 사랑이"를 부른다. 아, 이런 뽕스런 노래가 이렇게 귀에 착착 감겨드는 것을 보니 나도 어느새 나이가 든 것인가. 한때는 귀에 꽉 차고 들어와 내 속에서 끓어올라 나를 아예 폭발시킬 것 같은 음악만을 들었는데, 이렇게 좀 빈 듯하고, 그 빈 부분을 노랫말과 또 나의 상념이 채우고 드는 음악이 좋아지는 걸 보니 기호란 게 정말 영원하진 않은가 보다. 다른 노래들은 배역을 맡은 배우가 직접 노래를 하는데, 이얼은 노래실력이 좀 아닌가, 이건 김진석이라는 가수가 부르고 있다. 하, 이거 부클릿에 가사만 떡 있었다면 더없이 좋을 텐데, 아쉽다. 가사를 제대로 몰라 따라 부르는데 애로가 상당하다.
오, 벌써 한 곡이 끝났다. 우리의 착한 스쿨밴드, 훗날 와이키키 브라더스가 되는 충고보이스가 부르는 송골매의 노래 "세상만사"다. 이 곡을 부르는 목소리는, 고교시절의 성우를 연기한 박해일이다. 연주와 목소리에서 고등학생의 치기와 열정이 느껴진다. (고 하면, 내가 뭐 음악을 썩 잘 들을 줄 아는 사람인 것 같지만 사실 나는 음악 좀 듣는다는 사람으로부터 이맹(耳盲)이란 소릴 듣는 사람이다. 그러니 제대로 알고 들어 그렇다는 게 아니라, 그냥 느낌이 고등학생의 연주와 노래 같다는 거다) 박해일은 이거, 분위기만 좋은 줄 알았더니 <질투는 나의 힘>에서의 연기도 썩 좋았고 노래도 곧잘 부른다. 키워주고 싶다. 무슨 수로 -_-;;
아, 다음 곡이다. I love Rock & Roll 이 곡을 부른 여자애는 서울예대의 "디기딥밴드"의 보컬이던 문혜원이란 아이다. 임순례 감독이 어느 TV 프로에서-나도 봤는데, 제목을 잘 모르겠다- 저 디기딥밴드가 나온 걸 보고 이 친구를 인희의 고교시절 배역으로 찜했단다. 연기가 다소 어색하긴 했어도 뭐 원래 그런 친구들이 좀 뻘쭘하고 후까시는 있는대로 잡고 다닌다는 걸 감안하면 그다지 나쁜 연기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노래를 이렇게 잘 불러내지 않았는가. 이 친구의 목소리는 살짝 김윤아의 초기시절을 연상케 하는데, 그녀보다 더 앙칼지다. 생긴 것도 꽤 괜찮아서 성공하겠다 싶더니, 곡을 잘 못 만드는가, 팀을 잘못 만났는가, 아직 잠잠하다. 아쉽지 뭐.
잘은 모르지만 송골매와 함께 아마 당시의 스쿨밴드들이 가장 많이 카피했을 옥슨 80(맞나?)의 노래 "불놀이야"가 이어 나온다. 역시 목소리는 박해일이다. 목소리 조오코~
잠시 쉬었다 간다. 충고보이스가 와이키키브라더스로 개명되는 순간의 장면 약간. 비키니 금발이 쭉쭉빵빵 걸어가고...그렇지, 심하게 와닿는다. 한때 내 친구네 밴드 이름은 "립스틱 킬러"였다. 작명이 반이라며 온갖 멋있는 단어들은 다 끌어다대더니 결국 저 이름을 만들어 내고는 오래 못가 해체됐더랬다. 내 생각에 우리나라 밴드 이름 중 최고는 "시나위"다! 더 말해 무엇하랴.
다시 박해일의 목소리로 Come Back이 흘러나온다. 디스코텍에서 꽤 흘러나왔을 노래 같다. 몸이 절로 들썩인다. 내가 가장 아쉬은 것이 왜 우리나라에선 락과 헤비메탈이 대중 속으로 파고들지 못할까 하는 것이다. 몸소 다녀보고 판단하건대, 춤추고 놀기에 나이트보다 작은 클럽 공연장이 백배 나은데도 말이다. 낯선 남자의 어깨에 내 팔을 걸고, 낯선 남자의 팔을 내 허리에 감고 그 상태로 방방 뛰며 머리를 흔들고 놀다 보면 바로 오르가즘인데...뛰다보면 덥고, 덥다보니 하나씩 벗어던지고, 그러다보면 어느새 얇은 면티 한 장, 살짝살짝 풍겨주는 건강한 암컷과 수컷의 땀냄새..흐미..걍 로또대박만 터져라. 내가 하나 차린다! (아, 이거 정말 로또나 사볼까..느낌에 샀다하면 바로 대박날 거 같은데 ^,,^;;)
쫘아, 이제부터 뻘쭘한 드러머 황정민의 노래 나가신다. 지금 저 남자는 스테이지 중앙에서 길숨한 몸 흐느적이며 유혹의 눈꼬리 살살 흔드는 때밀이 아가씨를 사로잡아 보겠다고 열심히 오버 중이다. 황정민이란 배우, 바람난 가족에서도 그랬지만 배역에 제대로 녹아들어간다. 게다가, 노래도 잘하네. 김현식의 "사랑사랑사랑"과 신촌블루스의 "골목길" 연달아 나온다. 따라서 좀 불러줘야지, 이런 노랜. 크하하..코러스 죽인다. 샤라라라~~
이제 이어서 나올 노래는 바람둥이 키보디스트 박원상이 부르는 칠갑산과, 김진석의 회상..이건 그냥 조용히 들어주고....
트랙 13번에선 좀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19초짜리 "서울 야곡" 이다. 봄비를 맞으면서 충무로 걸어갈 때 쇼윈도 그라스에 눈물이 흘렀다. 기타 하나, 동전 한 닢으로 평생을 살아온 늙은 기타리스트가 술만 마셨다 하면 불러대는 곡이다. 인희와 함께 하지 못했다면 결국 성우의 테마가 되었을 노래지만, 다행히도 그들을 위해선 다른 노래가 준비되어 있다.
곧이어 김진석이 부르는 "어머님의 자장가" 흘러나오고, 애잔한 그 노래가 끝나자 친구 하나가 우리들 중에 지 하고 싶은 일 하면서 사는 놈은 너밖에 없잖아. 그렇게 좋아하는 음악하면서 사니까 행복하냐? 라고 묻는다. 행복?
주점에서 벌거벗고 돈지랄 떠는 인간들 앞에서 돈이 울어 벌거벗고 기타나 쳐대야 하는데, 행복? 차라리 꿈은 "그리움의 영역으로 남아 있을 때" (이동진 기자 왈) 가장 아름다운 게 아닐까...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왔고, 또 앞으론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하는 걸까.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하냐고..? 인희를 연기한 오지혜가 노래로 말해 줄 거다. 그대 내 곁에 선 순간, 그 눈빛이 너무 좋아. 어제는 울었지만, 오늘은 당신땜에 내일은 행복할 거야. 얼굴도 아니 멋도 아니아니 부드러운 사랑만이 필요했어요. 지나간 세월 모두 잊어버리게 당신 없인 아무 것도 이제, 할 수 없어. 사랑밖엔 난 몰라. 무심히 버려진 날 위해 울어주던 단 한 사람, 커다란 어깨 위에 기대고 싶은 꿈을 당신은 깨지 말아요. 이날을 언제나 기다렸어요. 서러운 세월만큼 안아주세요. 그리운 바람처럼 사라질까봐 사랑하다 헤어지면 다시 보고 싶은, 당신이 너무 좋아. 프로포즈는..내 주제에..라고 말하던 성우에게 이만한 대답이 어디 있을까. 가슴이 괜히 벅차 올라 눈물이 다 난다. 아, 오지혜..나는 이 여자가 너무 좋다...
엇, 이런 끝인가 했더니 또 한 곡이 남았네. 나이트 삐끼 류승범이, 판돌이가 되어서 부르는 "아가씨"다. 오..이거 혼자만 부른 게 아니네. 어린 시절의 와키 멤버들이랑 다 같이 부른다..오예~신나는구만..근데 역시 이맹이라 어떤 게 누구의 목소린지, 류승범 말고는 잘 모르겠다. 심지어 위에서 계속 들어오던 박해일의 목소리도 분간을 못 해내겠네. 웃차..이제..
사랑밖에 난 몰라의 연주곡을 들으면서, 마무리 체조를 하고..이제 잠자리에 들어야 겠다. 내일도 어김없이 7시 30분에 일어나, 헬스장에 가야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