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신화와 전설
무경 지음, 박희병 옮김 / 돌베개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트남 혹은 越南이라는 나라는 아주 특이한 나라이다. 이 나라는 중국과 붙어있으면서 자신의 독자성을 한국처럼 고수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베트남에 대해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이들 지명이 한자로도 표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베트남의 앞 바다의 이름은 통킹만은 한자로는 東京灣이다.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는 河內이고, 하이퐁은 海防이라고 표기한다. 사람의 이름으로 오면 더 친근감이 느껴진다. 베트남의 국부로 칭송받는 호치민은 胡志明으로 그가 독립운동할 당시 사용한 가명 구엔 아이 콕은 阮愛國이다. 이렇게 한자로 모든 지명과 인명이 표기되지만 자신들만이 글자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베트남은 한국처럼 중국의 유교문화를 받아들이고 한자를 사용한 국가였지만 19세기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면서 한자 대신 알파벳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굉장히 낮선 국가로 보이지만 실상 그 내부는 한자의 세계를 통해 서로 통교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친근감은 안정효의 월남전 연작인 '하얀전쟁' 속에서도 살짝 살짝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어떠할까...

베트남은 지리적 위치에 의해 중국과 인도 문화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베트남은 이 두 문명권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베트남의 인근 국가인 캄보디아의 경우만 해도 앙코르와트라는 힌두문명의 영향을 받은 거대한 유적이 존재하지만 베트남에는 그런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베트남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거대한 唐風의 유적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일본의 경우 도다이지東大寺와 같은 중국의 거대 건축 문화의 흔적이 있는 것과 비교가 된다. 물론 베트남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많은 문화재가 인근 국가의 침입과 전쟁으로 파괴되거나 소실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 해도 그렇다. 이것은 한국의 거대문화의 상징인 황룡사가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통일 신라 이후부터 중국의 거대 건축문화를 벗어나 한국의 자연환경에 맞는 건축물을 구축하기 시작한 것 처럼 월남 역시 그러한 길을 밟아 갔던 것이다.

이러한 유사성은 신화 속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의 역사 이전의 시대인 삼황 오제 시대의 이야기 속에 두 나라의 신화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두 나라가 중국과 인접해 있지만 중국 못지않게 역사적 전통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두 민족의 자존심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이 자신들만의 세계 속에서 고립되어 있었을 때 베트남과 한국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고수하기 위해 처절한 문화적 투쟁을 벌였던 것이다. 이 결과 한국에서는 '삼국유사'가 베트남에서는 '영남척괴열전'이라는 책이 저술되었다는 점은 의미심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매 2009-09-13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짧은 글속에 해박함속에서 우러나온 통찰이 들어있네요.
 

 

11. ploughs

쟁기는 맷돌과 함께 중세 초기의 대표적인 동력원이었다. 그런데 유럽의 쟁기는 남부와 북부에서 각각 다른 형태를 사용한다. 남부의 경우 삽을 대형화한 것과 같은 쟁기를 두 마리의 소가 끌게 한다. 이 쟁기는 땅을 깊게 갈이 뒤집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지중해 연안의 건조한 지역에서는 수분의 과잉증발을 막는 효과가 있다. 반면 이런 쟁기는 토지가 습한 북부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북부 유럽에서는 남부 유럽에서 사용하는 쟁기보다 더 크고 무거운 대형 쟁기를 사용하였다. 이 쟁기는 크기 때문에 소 여덟 마리가 끌어야만 했다. 그리고 바퀴가 달려 있었다. 이 쟁기의 장점은 토지를 깊게 갈아 뒤집어엎기 때문에 유럽 남부의 쟁기처럼 십자로 쟁기질 할 필요가 없었다. 잉글랜드에 이렇게 대형 쟁기가 들어온 것은 아마도 데인 족의 침입과 거의 같은 시기로 보고 있다. 

둠즈데이북에서는 잉글랜드에는 이 두 개가 다 풍부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 둠즈데이북에 따르면 조사 당시 잉글랜드에 대략 8만 조 이상의 쟁기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둠즈데이북에 나오는 쟁기는 무거운 쟁기로 이 쟁기 하나에 소 여덟 마리가 배당되었다. 이 기록이 정확한 것이라면 노르망디 공 윌리엄이 잉글랜드를 정복했을 당시 대략 65만 마리의 소가 있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12. Land for

이 단어는 종종 ploughland나 teamland로 번역되어 사용되었다. ploughland는 경작지를 의미하지만 잉글랜드의 역사에서는 경작지단위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ploughland는 120에이커의 토지를 뜻한다. 이 정도의 토지는 소 여덟 마리가 일 년 걸려 가는 넓이라고 한다.  teamland 역시 한 무리의 소나 말이 경작하는 토지를 가리킨다. 이 단어는 둠즈데이 북에서 어떤 다른 통계학적인 단어보다 많이 언급되고 있다.

 

13. Hundred

이 단어는 카운티county의 주된 행정구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재정, 군사, 법률 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봉토에 정착한 사람들은 이 단위에 의해 지리적 위치가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 헌드레드의 판사들은 달마다 중앙에서 만나 정치적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도 하였다. 둠즈데이 북에서 이들의 목소리가 종종 기록되어 있다. 


14. vill

둠즈데이 북에서 이 단어는 가장 작은 행정상의 단위이다. 남부의 패리쉬parish-교회의 교구를 기본으로 한 행정단위-나 혹은 북부의 타운쉽township-대교구를 기본으로 한 행정단위-과 동등한 단위이다.


15. acre

이 단어는 밭을 뜻하는 라틴어 ager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하이드의 1/120의 넓이에 해당된다. 이 단어는 둠즈데이 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 이 넓이는 1/40, 48, 60 하이드로 사용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홍당무가 르 삑씨에게 보낸 편지]

아버님전상서, 기쁜 소식을 알려드리겠나이다. 이가 하나 또 나왔습니다. 아직 그 나이는 아니지만 조숙하게 사랑니가 나는가 봅니다. 원컨데 그것이 하나로 그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저의 착한 행실과 정진으로 아버님을 만족케 해드릴 수 있기를.

[르 삑씨의 회신]

홍당무 앞. 바로 네 사랑니가 나오고 있을 무렵, 내 것이 하나 흔들리기 시작했단다. 결국 어제 아침에 뽑히고 말았다. 이리하여 네 이가 하나 더 나오면 네 애비 이는 하나 없어지는구나. 그럼으로써 세상도 변함없고 우리 식구 이의 총수는 여전하니라.

                    -삼중당 문고 155 金鵬九역 홍당무 가운데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둠즈데이 북
코니 윌리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노르망디의 서자 기욤이 잉글랜드를 정복하고 20여년이 흐른 뒤에 잉글랜드 전역에 대한 대대적인 호구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호구조사는 잉글랜드에 대한 정복왕 윌리엄-프랑스식 기욤에서 잉글랜드식 윌리엄으로 칭호가 바뀌었다-의 자신감의 표현이었다. 그동안 윌리엄은 잉글랜드를 정복했지만 외래인으로서의 조심성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정복 20여년이 흐른 뒤에 그는 전국적인 호구조사를 실시함으로서 잉글랜드에 대한 실직적 통치권을 보여주었다. 이 호구조사는 얼마나 철저하였는지 이전의 지배자의 시절부터 지금의 지배자에 이르기까지 변화된 모습을 수기로 기록하였다. 이 방대한 기록은 교회에 보관되었고, 그 보관된 기록실의 이름을 따라 둠즈데이 북으로 후세에 불리워졌다.

하지만 둠즈데이라는 단어의 종말론적인 상징성으로 인해 이 기록은 신화화 과정을 거쳐 마침내는 종말론적 상징성을 띠게 되었다. 왜 이 책은 수탈의 기록이면서 이런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을까?

중세는 종교의 시대였고, 특히 가톨릭의 시대였다. 그렇기에 모든 행위의 준거는 성서에 근거할 수 밖에 없었다. 구약에 보면 이스라엘의 왕 다윗은 자신이 왕위에 오른 다음 가장 먼저 한 일이 대대적인 호구조사였다. 그런데 다윗의 이런 행위는 예언자들의 비난을 받았고 급기야는 신의 진노를 사게 되었다. 왜냐하면 인긴에 대한 기록과 셈은 신의 행위이지 인간의 일이 아니란 이유 때문이었다. 이런 성서적 기록으로 인해 윌리엄의 행위는 다윗의 행위와 비교되었던 것이다. 즉 인간이 신의 흉내를 낸 것이다.  그러므로 신의 저주가 내릴 수 밖에...

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이런 역사적 배경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오직 둠즈데이 라는 단어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그래서 중세의 가장 처절했던 시기인 14세기 후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여기서는 인간이 아무런 중심적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페스트라는 질병 앞에서 속수무책인 모습을 보여준다.  마치 카뮤의 페스트라는 소설의 상황이 중세에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악이란 부조리 앞에서 인간의 모습이 현대적이 아니라 중세적인 모습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그리고 소설 속에서 부수적으로 펼쳐지는 미래는 우리의 현재 모습의 확대해석인지도 모른다.

이런 상상으로 소설을 읽으면 과거의 모습이 미래에 그대로 재현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즉 과거는 미래의  거울이고 미래는 과거의 재현이라는 상투적인 어구가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된다. 그러므로 이 소설을 세심하게 읽다보면 과거와 미래의 대비적인 모습을 통해 그리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된다.  저자는 이런 모순과 혼돈의 세계를 대비하면서 이런 말을 남긴다. 과거나 미래를 통해서 체제에 헌신적이며 충실한 사람들은 죽을 수밖에 없고 오히려 약삭빠른 자들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한다고 단언한다.  작가의 이런 드러나지 않은 속마음이 '둠즈데이북'이라는 제목을 이해하는 단서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 league

라틴어 레우카leuca에 해당한다. 레우카는 갈리아 인들이 사용하던 거리 단위로 대략 3.25㎞정도 이다. 당시 잉글랜드에서 리그는 대략 12펄롱-1펄롱이 대략 201m,1리그는 약2.4㎞-이었다. 하지만 윌트셔Wiltshire에서는 15펄롱-약3.1㎞- 이상의 거리를 의미했고, 월체스터셔Worcestershire에서는 고작 4펄롱-약800m-이었다. 둠즈데이 북에서 이 리그는 가끔 마일mile과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1리그를 6펄롱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로 볼 때 리그의 단위는 당시에는 통일된 것이 없이 제각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 amber

라틴어 암브라ambra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물건을 잴 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용량은 알 수 없다. 둠즈데이북에서는 고작 2번만 나타난다. 이 두 번 모두 소금의 무게를 재는 경우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용어는 염전지역에서 사용하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 

참고로 앰버는 호박琥珀을 의미하는 단어와 철자가 같지만 뜻이 다르다. 준보석인 호박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앰버는 아라비아어 안바르anbar(이 단어는 용연향龍硯香을 의미한다)에서 유래하였다. 라틴어로 준보석 호박은 수키눔succinum으로 표현한다. 이 단어는 나무의 즙이나 액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단위를 뜻하는 앰버amber은 호박이란 준보석을 뜻하는 단어와 철자는 같지만 연관성은 없다.


8. arpent

이 단어는 프랑스 어에서 온 것으로 둠즈데이북에서는 포도원을 언급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 단어는 둠즈데이북에서 모두 26번 언급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21번이 포도원, 5번은 초지와 삼림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모두 윌트셔 지방의 장부에만 나타난다. 당시에 다른 지역에서는 포도원의 측량 단위로 오직 에이커acre만을 사용하였다. 이 단어와 연관된 다른 것은 현재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월트셔는 잉글랜드 남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9. carucate

데인로Danelaw 카운티의 대부분에서 공적인 세금은 카루카테스carucates와 보베이트bovates 안에서 결정되었다.  카루카테스는 라틴어로 쟁기를 뜻하는 카루카caruca에서 보벳트bovate는 소를 뜻하는 라틴어 보스bos에서 왔다. 둠즈데이북에서 일반적으로 쟁기질을 하는 한 무리의 소는 여덟 마리가 한조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카루카테에는 여덟 마리의 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여덟 마리의 소가 한 조가 되어 일 년 동안 쟁기질 하는 땅을 플로우랜드ploughland-이 경작지는 대략 120에이커, 1하이드-라고 불렀다.  즉 카루카테carucate, 보벳트bovate, 플로우랜드ploughland, 그리고 쟁기질 하는 한 무리의 소는 경작을 하는데 있어 하나의 개념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0. bovate

카루카테carucate를 참조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