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쓴다,,, 또 쓴다 - 문학은 문학이다
박상률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3월
평점 :
수필이란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따위를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한 산문 형식의 글을 말한다.
내용과 형식에 얽매이지 않기에 인문학 보다는 쉽게 여유롭게 읽어내려 갈 수 있고 소설 보다는 좀 더 깊이있게 생각하면서 읽을 수 있는 게 수필인 것 같다.
채소처럼 시원하면서 깨끗한 과일 향과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해야할까!
이 책이 바로 이런 수필의 특징에 맞게 저자가 경험한 삶의 고백과 한 평생 살아가며 느꼈던 삶의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써 내려가고 있다.
글이란 쉽게 써지는 것은 없다. 그래서 저자는 책 제목처럼 쓰고, 또 쓰고, 또 쓴다.
글을 쓰다보면 쓰는 요령도 터득하게 되고, 글을 안 쓰다 다시 쓰려고 하면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쓰고, 또 써야 잘 써진다 라고 말한다.
작가는 오로지 쓰는 사람이고, 평가는 오로지 독자의 몫이기에 작가는 끊임없이 글을 쓰고 또 써야한다 라고 말 하고 있다.
이런 작가의 글들을 우리는 읽고, 또 읽었으면 한다.
어떤 장르의 글이든 쉽게 읽어지는 것은 없다. 읽고, 또 읽고 , 읽는 과정이 있어야 다양한 글을 읽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우리의 삶의 영양분이 되어 우리들을 더 성장할 수 있게 만드는 자양분이 될 것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언제고, 어디에서나, 무엇이든 무작정 써야하고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간혹 말의 의미를 잘 모르고 살아갈 때가 있는데 잠시나마 이 책의 말의 속내를 읽어 보며 다시 한 번 진정한 말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을 것이다.
사람에 대해 누가나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무도 그렇고 사람 또한 그러하다.
너무 먼 거리는 외로움을 느끼겠지만 적당한 거리에서 그리움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한다면 사랑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얼굴이라는 작품이 있는데 애초에 타고난 관상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말을 하고 삶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얼굴은 달라지고 우리의 삶 또한 변화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글을 쓰고, 좋은 글을 읽는다면 우리의 삶 또한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글은 생각만으로 되지 않고 말(언어)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생각하는 것을 말로 표현하고,
말로 표현한 것을 행동으로 행할 때, 바로
행동으로 말을 증명하는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한다.